조회 수 26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전에 없던 새로움을 탐하다 ②

6개월간의 대장정 선거 방송을 준비하며

 

 

UHD 실사 촬영

 이번에는 포맷용 실사 촬영을 UHD급 이상, 10bit 이상 영상으로 하기로 했다. 최종단에서 전체 영상 톤을 맞추기도 용이하고 HD 화면의 4배 사이즈이기 때문에 CG용 재가공 시에도 유용하다. 또 고화질의 CG 영상 배경이 HD급이면 전체 포맷 퀄러티가 낮아질 수밖에 없다.

 

 고퀄리티 영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UHD 촬영뿐만 아니라 후반 작업까지 병행해야 하는데 사내 DI 팀이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어서 순조롭게 진행했다. 색 보정이 끝난 소스는 감탄이 나올 만큼 풍부한 색감을 가지고 있었다.

 

 포맷용 영상 소스는 Black Magic의 Ursa Mini Pro 카메라의 b-raw 코덱을 이용해 제작했다. 간단한 색 보정은 다빈치 리졸브 프로그램으로 직접 보정했다.

 

 각사의 사정이 다르겠지만 사실 보도영상에서 UHD 소스를 다루기가 쉽지는 않다. 고용량 데이터 처리 문제를 비롯해서 색 보정과 HD 컨버팅까지 분초를 다투는 보도 실무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기술은 갈수록 발전할 것이다. 해외 주요 언론도 기획성 보도물의 경우 고퀄러티 영상을 지향하고 있다. 유튜브가 난립하고 정보가 흘러넘치는 시대에 지상파가 내세울 강력한 무기는 고퀄리티 콘텐츠 제작 아닐까? 시간이 다소 걸리더라도 UHD 영상 소스에 대한 연구와 제작 경험은 꼭 필요하다.

 

  FPV 드론 촬영

 

 

 드론 조정모습.png      국회지붕.png

                            ▲ FPV 드론 조정모습                                      ▲ FPV 드론 스폿 중 국회지붕

 

 

 

 

  First Person View 드론. 스포츠 드론에 시네마틱 영상 장치를 부착한 드론으로 VR 안경을 쓰고 촬영을 한다. 육안 비행보다 훨씬 근접 비행이 가능해 일반 드론보다 훨씬 더 역동적인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번 선거 방송에서는 이 FPV를 이용해 전국 주요 명소 포맷을 촬영했다. 선거 방송 오프닝에서 이 결과물을 사용하기도 했다.

 

 협회의 많은 동료, 선후배들이 MBC 사옥 외부에서부터 로비와 부조정실을 거쳐 스튜디오 안까지 원테이크로 이어지는 영상을 보고 많이 궁금해했다. 비밀을 밝히자면, 어느 정도 눈치는 챘겠지만 사실 그것은 (한 컷이 아닌) 3컷을 이어 붙인 영상이다.

 

 FPV를 이용한 영상의 첫 컨셉은 전국의 주요 명소와 거기 살아가는 사람들을 지역 특색에 맞게 촬영해 보자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충남이라면, 끝없이 펼쳐진 갯벌과 거기서 일하는 사람 들, 충주의 경우에는 택견, 부산은 영도 다리 고개, 대구는 쪽 염색, 수원은 궁수, 전남은 신안 염전 등이다. 하지만 이번에도 코로나 19로 대부분의 스케줄이 취소되고 일정은 뒤로 미뤄지기 일쑤였다. 결국 코로나 19로 인해 대구, 경북 지역은 대구 MBC와 안동 MBC 자체 보유 영상, 혹은 자체 촬영한 일반 드론 영상을 사용해야 했다. 세종시와 제주 역시 허가 등의 문제로 기존 영상을 재활용했다.

 

 전에 보지 못한 역동성 있는 FPV 드론 영상은 제작 단계에서부터 호응이 좋았다. 특히 충주의 택견 영상은 일정상 촬영 현장에 외주 감독이 가서 현장 연출을 했는데, 생각보다 훨씬 더 다이나믹한 영상이 촬영되어 업로드 즉시 선거 방송 스폿으로도 쓰였다. 국회의 지붕 위를 날아다니고 MBC 알센터를 통과하는 등 전에 없던 장면이 표현됐다.

 

 다시 현업으로

 6개월의 장기 프로젝트. 데일리 뉴스는 고도의 집중력과 순발력을 요구하지만, 방송이 나가고 나면 업무 부담감은 완전히 소멸된다. 하지만 선거 방송의 경우에는 매일 매일 사라지지 않는 부담감이 쌓여서 막바지에는 체력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꽤 힘들었다. 하지만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었고 평소 꿈꿔왔던 모든 일을 원 없이 해 볼 수 있어 기회가 된다면 꼭 선거 방송에 참여해 보라고 권하고 싶다.

 

  선거 방송의 명가 MBC. 사실 모든 방송사가 자사 선거 방송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지만, MBC가 선거 방송에 대해 가지는 애착은 남다르다. 타사를 압도할 만한 엄청난 콘텐츠를 가졌기 때문이 아니라 MBC 전 구성원이 선거 방송을 준비하는 기간 만큼은 전사적으로 똘똘 뭉쳐 비상한 각오로 준비하기 때문이다. 이번 ‘선택 2020’ 역시 지역사를 포함한 MBC 구성원들이 모두 하나가 되어 최선을 다했다. MBC가 저력을 가진 집단임을 다시 한번 실감했다. 개인적으로는 식어 가는 열정에 다시 불을 붙이게 된 좋은 계기이기도 했다.

 

 선거 방송이 끝난 후 운 좋게 영상 소스와 자료를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이 있었다. 지난 6개월간의 여러 가지 활동을 곱씹으며 선거 방송 사안을 넘어 나 스스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지상파 방송, 그리고 영상 기자 둘 모두의 위기가 심심찮게 회자되고 있다. 위기는 언제나 있었다. 결국 변화에 적응하는가, 가 관건이리라. 단순히 취재하고 편집하는 일의 좁은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 누구보다 방송 전반적인 시스템을 가장 잘 이해하는 집단이 되어야 한다. 1인이 많은 걸 할 수 있는 직군을 목표 삼아야 한다. 결국 업무를 새롭게 디자인하고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한다면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으리라.

 

 

현기택 / MBC (사진) 현기택 증명사진.jpg

 

 

 


  1. <영상보도가이드라인> 지키지 않을 이유가 없다

    <영상보도가이드라인> 지키지 않을 이유가 없다 올해로 ‘영상기자상’ 심사 4년차가 되었다. 심사위원으로서의 소감을 밝히자면, 정말 즐겁고 보람찬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냥 하는 말이 아니고, 진심이다. 영상보도를 ‘뉴스현장 속에서 피어난 꽃’이라고 한 서...
    Date2024.05.08 Views112
    Read More
  2. [프레임 밖에서] 39년 동안 화성에서 산 우주인 _ ‘오펜하이머’와 상관없는 노래

    [프레임 밖에서] - 음악 추천 39년 동안 화성에서 산 우주인_'오펜하이머'와 상관없는 노래 크리스토퍼 놀란의 새 영화 ‘오펜하이머’가 개봉됐다. 전작인 ‘인터스텔라’에서는 상대성 원리와 블랙홀, ‘테넷’에서는 앤트로피라는 과학적 개념을 영상화했는데, ...
    Date2023.08.31 Views113
    Read More
  3. 건강을 위해 하루 자전거 한알

    건강을 위해 하루 자전거 한알  제 취미는 자전거 타기입니다. 올해로 자전거를 탄 지는 꼭 십 년이 되었습니다. 강인하고 날렵한 신체. 현장을 누비는 영상기자에게 미덕이자 사명에 가깝다는 지론 속에 건강과 체력을 지키기 위해 시작한 운동이었습니다. ...
    Date2023.11.15 Views123
    Read More
  4. 영상기자, 한국과 국제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게 된 행복한 시간

    <2023힌츠페터국제보도상 통역 자원봉사 참여기> 영상기자, 한국과 국제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게 된 행복한 시간  언론 쪽으로 관심이 많고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에 재학 중인 저에게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은 제 꿈에 한발짝 더 다가갈 수 있게 만든 ...
    Date2023.12.21 Views130
    Read More
  5. [프레임 밖에서] 어떤 상황에도 "카메라를 멈추면 안 돼!"

    [프레임 밖에서] - 영화 추천 어떤 상황에도 "카메라를 멈추면 안 돼!"  "카메라를 멈추면 안 돼!” 선배가 후배를 교육할 때 하는 말이 아니다. 일본 저예산 독립영화의 제목이다. 이 영화는 약 3,000 만 원의 제작비로 300억 원이 넘는 수익을 냈고, B급 영...
    Date2023.11.15 Views131
    Read More
  6. 기후변화로 달라진 기상 재난 현장. 우리는 얼마나 준비되어 있나?

    [기후취재특집]  기후변화로 달라진 기상 재난 현장. 우리는 얼마나 준비되어 있나? 현세 인류의 기원은 약 250만 년 전으로 본다. 그리고 인류는 약 249만 년을 원시인 형태로 살았다. 이유는 기후다. 약 1만 2000년 전 마지막 빙하기인 플라이스토세(Plei...
    Date2023.08.31 Views158
    Read More
  7. 평범한 일상과 업무 속에서 새로운 문제의식을 찾아가는 것의 중요성

    <2023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자 국제교류행사 참여기> 평범한 일상과 업무 속에서 새로운 문제의식을 찾아가는 것의 중요성  누군가 ‘왜 기자가 되었는가?’라며 고리타분할지도 모르는 질문을 한다면, 그래도 마음 한 편에 고이 모셔둔 ‘사회에 보탬이 되는...
    Date2023.12.21 Views164
    Read More
  8. 여름 휴가에 가서 세네카를 만나자

    [책 추천]  여름 휴가에 가서 세네카를 만나자  세네카는 고대 로마의 철학자이자 정치인, 문인이다. 한 백과에 따르면 그는 대표적인 스토아 학파의 철학자 중 한명으로, 로마제국 최초의 공인된 폭군 네로의 스승으로도 유명하다. 3대 황제 칼리굴라 시대...
    Date2023.06.28 Views165
    Read More
  9. 체르노빌의 기자들을 잊지 않은 한국에 감사

    <키이우에서 온 편지> 체르노빌의 기자들을 잊지 않은 한국에 감사 ▲유리 볼다코프 ▲아나스타샤 리지나 (유리 볼다코프의 손녀)  친애하는 조직위원회와 여러분,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인사드립니다. 저는 오월광주상 수상자이신 유리 볼다코프, 할아버지 ...
    Date2023.12.21 Views167
    Read More
  10. [뉴스VIEW] 진실을 가짜로 만드는 무소불위의 힘은 누구인가

    [뉴스VIEW]  진실을 가짜로 만드는 무소불위의 힘은 누구인가 ‘가짜’에 상을 수여한다는 희괴한 소식을 들었다. ‘자유언론국민연합’이라는 단체 주최의 ‘2023 상반기 10대 가짜뉴스 시상식 & 기념토론회’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이 3천만 원이나 지원한다니 ...
    Date2023.08.31 Views173
    Read More
  11. 우리가 찾던 ‘저항의 언어’

    <2023 광주민주포럼을 다녀와서…>  우리가 찾던 ‘저항의 언어’ <채종윤 한국영상대학교 교수> 2차세계대전 이후 인간의 실존적 주체성을 강조하는 측과 구조 속에 인간됨을 이해하려는 측, 과연 ’인간은 주제적일 수 있는가‘에 관한 뜨거운 논쟁이 서양 사상...
    Date2023.06.28 Views174
    Read More
  12. 내가 사랑한 영화 '냉정과 열정사이'

    [프레임 밖에서] - 영화 추천 내가 사랑한 영화 '냉정과 열정사이'  극장으로 가는 발걸음에 묘한 설레임과 두려움이 교차했다. 영화를 보러 가며 이런 감정을 느껴본 적이 있었던가? 마치 오래전 첫사랑을 재회하듯, 기대감과 실망감 언저리의 정의할 수 없...
    Date2023.12.20 Views178
    Read More
  13. 취재를 잊은 언론, 진실을 숨긴 언론

    [뉴스VIEW] 취재를 잊은 언론, 진실을 숨긴 언론  #장면1. 11월 22일 우리 대통령이 영국 다우닝가 10번지 총리 관저를 패스해 홀로 직진하는 장면이 생중계되었다. 현장 외신 기자들은 “어디로 가는 거야?”, “이거 다 촬영했지?”라며 웅성거렸다. 영국 언론...
    Date2023.12.21 Views191
    Read More
  14. 영상을 통한 공감과 연결, 더 나은 미래의 모색

    [2023 광주민주포럼 발표문 요약2]  영상을 통한 공감과 연결, 더 나은 미래의 모색  브루노 페데리코 (Bruno Federico, 제1회 힌츠페터국제보도상 특집상 수상자)  권력과 자본이 저지른 폭력과 범죄의 고발을 위해 시작한 영상기자로서의 삶 저는 영상저...
    Date2023.06.29 Views193
    Read More
  15. [뉴스VIEW] 졸속과 파행의 공영방송 공격

    [뉴스VIEW] 졸속과 파행의 공영방송 공격   정권이 바뀌면 새로운 정책이 입안된다. 그 정책에 많은 관심이 쏠린다. 자원과 사람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정책의 종류는 다양하다. 미디어정책도 그 하나다. 정권을 잡았다고 해서 정책이 반드시 성공하는 것은...
    Date2023.06.29 Views206
    Read More
  16. 박수칠 때 떠나자: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의 자립 선언

    [2023 광주민주포럼 발표문 요약3]  박수칠 때 떠나자: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의 자립 선언  김성해 (대구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과 교수)  국제뉴스를 향한 타는 목마름과 분열의 자화상: 미,영의 언론들을 통해 세계를 보아 온 한국 언론의 관성과 학습된 ...
    Date2023.06.29 Views209
    Read More
  17.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투쟁과 한국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2023 광주민주포럼 발표문 요약1]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투쟁과 한국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미하일 아르신스키 (Mikhail Arshynski, 제1회 힌츠페터국제보도상 '기로에 선 세계상(대상) 수상자)  루카센코 장기독재에 신음하는 벨라루스 민주주...
    Date2023.06.29 Views220
    Read More
  18. ‘불특정 그룹 샷의 난민사진을 본 사람들, 반난민정책 더 선호’

    [영상저널리즘 연구소] ‘불특정 그룹 샷의 난민사진을 본 사람들, 반난민정책 더 선호’ - 취재윤리, 국가가 중심의 언론 통제가 아닌 현장기자들의 주체적 판단 속 정립돼야 지난 늦봄에서 이번 여름까지 캐나다 토론토와 프랑스 리옹에서 열린 두 개의 국제...
    Date2023.08.31 Views240
    Read More
  19. 길(路)의 재발견

    길(路)의 재발견 ▲ 성산대교 밑 보도 한쪽에 잠자리를 사냥한 거미의 모습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19가 시작됐다. 첫 보도는 원인 모를 폐렴으로 우한 시민들이 목숨을 잃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그때는 이것이 나의 삶과는 상관없을 줄 알았다. 그러...
    Date2020.11.17 Views245
    Read More
  20. 부동산 정책? 건강한 인식(認識)이 먼저

    부동산 정책? 건강한 인식(認識)이 먼저 ▲ 새 집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필자의 가족 <사진/김원> 결혼을 하고 5년째 되든 해, 어린 시절부터 살던 동네에 작은 집을 하나 마련하게 됐다. 1기 신도시라 연식도 오래됐고, 많은 사람이 선호하는 인 서울...
    Date2020.09.15 Views257
    Read More
  21. 전에 없던 새로움을 탐하다 ②

    전에 없던 새로움을 탐하다 ② 6개월간의 대장정 선거 방송을 준비하며 UHD 실사 촬영 이번에는 포맷용 실사 촬영을 UHD급 이상, 10bit 이상 영상으로 하기로 했다. 최종단에서 전체 영상 톤을 맞추기도 용이하고 HD 화면의 4배 사이즈이기 때문에 CG용 재가공 ...
    Date2020.09.15 Views26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