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3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큰불’로 시작된 취재

 

불을 진화 중인 소방관들.png

▲ 전북 군산시에서 불법폐기물에서 난 불을 진화 중인 소방관들<사진>

 

 

쓰레기 산.png

▲ 불이 꺼진 뒤 드러난‘쓰레기 산’<사진>

 

 

 

 올해 6월 25일, 군산에 있는 어느 공장에서 큰 불이 났다. 매일 얼마나 껐나, 언제 꺼지나를 두고 언론사마다 단신 기사를 쏟아낼 정도로 불은 대단했다. 6백 명 넘는 소방 인력이 매일같이 물을 쏴 결국 불은 일주일 만에 잡혔는데, 화염이 걷힌 뒤 드러난 광경은 더 대단했다. 취재하면서 그런 건 처음 봤다. 공장 안에 있던 건 엄청난 규모의 ‘쓰레기산’이었고, 양은 1만 톤에 달했다.
 

 반복되는 화재 사건. 동기 취재기자와 함께 <불법 폐기물은 왜 이곳으로, 어떻게 왔나> 원초적 궁금증을 풀어보기로 했다.
 

 도주
 4월 2일에도 군산 한 공장에서 큰 불이 났다. 역시 불법 폐기물이 쌓여있던 곳이다. 현상만 놓고 보면 폐기물 화재 사고였고, 흔한 일이었다. 하지만 두 화재에 얽힌 속 얘기는 달랐다.
 

 4월과 6월, 잇따라 불이 난 두 공장의 임차인은 같은 사람, 그러니까 김 씨였다. 김 씨를 비롯해 불법 투기 일당이 남의 공장을 빌려 벌인 일이었고, 김 씨는 불이 났을 땐 이미 도주한 뒤였다.
 

 추적 끝에 붙잡힌 ‘김 씨’
 법원은 영장을 발부했고, 경찰은 김 씨를 쫓았다. 저희 취재진도 그를 추적했다. 취재를 시작하며 던진 “폐기물이 왜 이곳으로, 어떻게 왔나”를 탐사하려면, 먼저 투기범을 찾아야만 했다.

 

 저희는 김 씨와 함께 일한 폐기물 브로커의 영업 동선을 거꾸로 추적했고, 광주광역시로 갔다. 그리고 거기서 만난 한 폐기물 업자로부터 주요한 정보를 얻었다. 업자는 충북에 있는 한 공장에서도 같은 일, 폐기물 불법 투기가 벌어지고 있다고 귀띔했다.
 

 그리고 충북 진천으로 갔다. 공장엔 주인도 모르게 폐기물 3천 톤이 쌓여있었다. 공장주는 “제조업을 한다는 어느 남성에게 공장을 빌려줬더니 이렇게 됐다”, “그와 곧 만나 쓰레기를 치우는 문제를 논의하기로 했다. 아직 경찰에 신고는 안했다”라고 했다. 임대차 계약서에 적힌 이름, 우리가 쫓던 수배 중인 김 씨였다. 추적 끝에 투기범 김 씨는 도주 5개월 만에 붙잡혔다.
 

 취재 끝에 밝혀낸 폐기물의 불법 고리

 취재 처음 던진 ‘원초적 궁금증’의 답을 알려면, 고리의 시작점까지 가야 했다. 결국 김 씨와 폐기물 브로커 사이 고리는 밝혀졌다.
 

 취재와 기획 보도는 사법기관의 수사를 앞서갔다. 저희가 불법 폐기물 문제를 투기범에 한정하지 않고 고리를 쫓았기에, 경찰 수사도 윗선 수사를 이어갈 수 있었다. 취재로 밝혀낸 폐기물업체 관계자들이 줄줄이 입건됐고, 탈법이 확연히 드러난 일부 업체는 지자체로부터 영업정지 행정 처분을 받았다. 저희는 사건의 현상을 바라보는 데 그치지 않고, 원인을 찾아나섰다. 허술한 제도와 지방정부의 관리 부실을 지적했고, 최근 환경부는 해양쓰레기 처리 용역과 관련해 관련법을 손보는 일을 전향적으로 다루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역습에 당하지 않으려면 진열을 잘 정비해야 한다. 없는 제도를 꾸리고 있는 제도의 허점을 메우는 일은 정부가 할 일이다. 지금이 ‘반복되는 불법폐기물의 고리’를 쳐낼 칼을 벼릴 때가 맞다.
 

 

 

김동균 / KBS전주 kbs전주 김동균.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1인 5역이 아니면 안 되는 곳 울릉도! 2005.10.12 8453
2007년 10월, 2차 남북정상회담 취재기 file 2018.04.26 1302
2008년 4월,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인 탄생하다! 2008.01.10 6949
2009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취재하고``` file 2009.01.15 10594
2010 남아공 월드컵, 한국 축구 가능성 보여줘 file 2010.07.20 10557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 취재기 file 2018.12.19 450
2023 특집 다큐멘터리 [우리도 광주처럼] file 2023.12.18 139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발표 취재기 file 2023.12.21 230
30년 만에 우리나라에서 열린 올림픽 ‘평창 21박 22일의 취재기’ file 2018.04.26 1272
39년 만에 광주를 찾은 전두환 file 2019.05.08 389
3D 시대는 오는가? CES쇼를 통해본 3D시대 file 2010.01.13 11316
4.11 총선 취재기 - 국회 4진 2012.04.28 4131
4.11 총선 취재기- 12월 대선,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file 2012.05.04 10724
5.12 중국 쓰촨성 대지진 참사 - '8'의 저주 2008.07.04 8005
50일을 넘긴 역대 최장기 장마 file 2020.11.18 428
6.25전쟁 프랑스 종군기자 앙리 드 튀렌 인터뷰 file 2010.07.15 10622
64년만의 폭우, 그 피해 현장 스케치 2005.09.09 7267
6자 회담 취재, 이렇게 했습니다. "mpeg2 파일로 송출" 2008.09.01 9117
71세 김상일씨의 엄마찾기 2003.02.24 7797
8일간의 기록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 사태 2013.10.07 3886
<7.30 재보궐선거> 20년 이상 지속되어온 지역구도의 벽 무너져 file 2014.08.13 76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