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4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영상기자 디지털 팀, 뭘 만들까?

 

 1. 글 기사 : “이게 돼?!”- 그냥 ‘글ONLY’ 기사만 써도 출고가 된다?!

 

‘캡틴 아메리카, 타이완 반도체로 중국 때린다’ - KBS 고형석 기자

 

image01.png  image02.png

 

 

 TSMC 같은 파운드리 반도체 업체가 미국의 대중국 압박 지렛대로 쓰여, 자국 안보에 혁혁한 공을 세우고 있다는 <국제&IT뉴스>입니다. 

 

 재료공학과를 전공한 고형석 기자의 관심사가 투영된 작년 12월 12일 인터넷 기사인데요, 영상기자가 쓴 ‘글 기사’라는 점이 특기할 만합니다. 

 

 내용만 좋다면 지면 기사나 칼럼 작성에 이렇다 할 사내외의 장벽이 없었습니다. 또, 고형석 기자의 ‘애플, 이러려고 충전기 없앴나?’라는 12월 24일자 IT 기사는 당시 KBS에서 출고된 모든 기사들 중, 이틀 연속으로 가장 많은 조회수와 반응을 기록했습니다. 

 

 

 2. 외신활용 기획영상 : AP, AFP, CNN 등, 제휴사 고품격 영상소스 활용

‘트럼프의 진단키트‘언박싱’…대체 뭐길래? - KBS 선상원 기자

 

image03.png

 

 

 타 방송사에서 뉴스화하지 않고 있던 외신 영상을 포착해, 발 빠르게 디지털 출고한 기사입니다. 

 

 트럼프가 신속진단키트를 소개하는 장면과, 미국 주요 도시 곳곳의 팬데믹 실태를 교차 편집해 5분짜리 웹뉴스를 만들었고, 74만 뷰 가까이를 기록했습니다. 

 

 고품질 외신 소스를 활용할 수 있는 제도권 언론사의 강점인 것 같습니다.

 

 

 3. 현장영상 : 영상기자의 숨결이 담긴 클린픽쳐 활용

‘[현장영상] 전두환 씨 “말 조심해 이놈아!” 자택 앞에서 버럭’ - KBS 선상원 기자

 

image04.png

 

 이처럼, ‘공분’을 자아내는‘사회’아이템이 인터넷 세상에서는 독보적 도달률을 보입니다. 직접 제작해보면 넷상의 반응이 정말 뜨겁다는 걸 느낄 수 있는데요. 한편으론, 조두순 출소일에 ‘공공의 적’을 발견한 유튜버들이 라이브 대전을 벌이던 모습과 맞닿아있는 것 같아 씁쓸하기도 합니다.

 

 

 ‘[현장영상] 2021 수능. 문·답지 전국 시험지구에 배부’ - KBS 이제우 기자

 

image05.png

 

 

 때로는 예상치 못한 곳에서 열렬한 반응이 터지기도 합니다. 인터넷 뉴스는 종잡을 수가 없습니다. ‘수능 시험지 배포’를 다룬 현장 영상에, 삽시간에 1378개의 응원 댓글이 달려 유튜브 ‘수능 성지’가 됐습니다. 코로나 시대의 수험생들이 그만큼 불안해하고 있다는 방증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4. 시네마틱 스토리텔링 : 개별 프로젝트성 자체 제작

 

‘[이산70년기획] 내 나이가 구순 넘었는데, 오백 년 살고 싶습니다’ - 팀 공동 작업

 

image06.png 

 

 image07.png

 

 

 디지털 ‘시네마틱 스토리텔링’이라는 장르의 웹 콘텐츠들이 있습니다. BBC의 REAL, CNN의 Great Big Story, 알자지라의 CLOSE UP, 뉴욕타임즈의 Op-Docs와 같이, 특정 주제와 인물에 대해 짧은 다큐를 표방하는 기획입니다. 영상기자의 클린 픽쳐를 잘 녹일 수 있는 장르이기도 합니다. 

 

 KBS 디지털콘텐츠팀도 ‘나의 살던 고향은’이라는 [이산70년 기획영상]을 제작해봤습니다. 섭외-컨셉-촬영-색보정-편집-자막 대부분을 1인 제작시스템 기반으로 만들다 보니... 이런 형태의 아웃풋이 지속되려면 제작비가 절실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직종의 틀 내에서 디지털뉴스의 자구책을 타진해본다는 게 쉽지만은 않습니다. 수용자의 니즈에 정확히 대응하고 있는 것인지도 가끔은 헷갈리고요. 아무튼 KBS 디지털콘텐츠팀은 조그만 가능성 하나라도 더 찾아내려는 척후병처럼, 오늘도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지선호 / KBS  (사진) KBS 지선호 증명사진.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첫 취재를 함께 했던 언론인 동료이자 친구인 故쉬린 아부 아클레 기자의 죽음 영상으로 담아낸 고통 …팔레스타인의 진실 계속 취재할 것” file 2022.11.01 211
“오송 지하차도 참사가 우리에게 주는 숙제” file 2023.08.31 178
“슈퍼 태풍이 온다” file 2021.01.08 448
“속도보다는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다면적 보도해야… 한·일 저널리즘, 세계적 영향력 갖추길” file 2022.11.01 294
“백야의 잠못드는 밤 코펜하겐” file 2010.01.14 10611
“모든 것이 처음이었던, 나의 첫 해외출장” file 2023.06.29 397
‘큰불’로 시작된 취재 file 2020.11.18 331
‘우리는 절대 혼자가 아니다’ 5.18 지난 시간의 이야기 file 2017.07.21 1864
‘보이콧 재팬’ 일본 현지 취재기 file 2019.09.09 446
‘모바일, 그 다음’을 엿보다 file 2017.05.23 1709
‘만족합니다’ file 2019.01.02 678
‘기적의 생환’ 조은누리, 온 국민이 한마음 한뜻으로 file 2019.09.09 455
‘극한출장, 베트남 2차 북미정상회담’ file 2019.05.08 491
‘그들의 광주 우리의 광주’ 취재를 마치고 file 2017.07.21 1626
‘가슴 뛰었던 첫 출장, 뜨거웠던 쿠알라룸푸르’ - 말레이시아 출장기 file 2017.05.22 2304
[현장에서] 카메라와 아이디어로 담아낸 현실의 부당함과 저항, 인간의 투쟁이 세상의 조명을 받도록 file 2022.07.01 270
[현장에서] 역대 최악의 울진 산불 현장을 취재하며 file 2022.05.03 1088
[현장에서] 여전히, 오늘도, ENG. 다시 생각하는 ENG카메라의 미래 file 2022.08.31 1840
[현장에서] “독재와 권력에 맞설 우리의 무기는 손에 든 카메라와 마이크입니다.” file 2022.07.01 243
[현장에서] ‘세계적 보편성’ 인정받은 ‘세계의 지역성’ …‘ATF2022’와 다큐멘터리 ‘화엄(華嚴)’ file 2023.03.03 241
[헝가리 유람선 사고 취재기] 화려함 아래 잠긴 슬픔 file 2019.09.09 373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