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11 15:28

익숙함, 설렘

조회 수 4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익숙함, 설렘

 

 

(사진 1) 익숙함과 설레2.jpg

▲보신각 앞에서 취재하는 필자

 

 

 2021년, 조용한 새해가 밝았다. 2020년에서 2021년으로 해가 바뀌는 그 순간, 보신각 제야의 종은 울리지 않았다. 보신각 제야의 종 타종 행사는 지난 1953년부터 한 차례 중단 없이 계속 이어져 왔지만, 이번에는 코로나19 여파로 69년 만에 중단되었다. 예년 같았으면 사람에 치여 발 디딜 틈 없었을 텐데 집합 금지 조치로 보신각 주변이 썰렁하다. 한참 일하는 중에 전화벨이 울렸다. 아내였다. 새해 복 많이 받으라는 전화다.

 

 ‘새해구나....’ 사람들이 북적이지 않아서였을까? 아니면 제야의 종소리가 들리지 않았기 때문일까? 새해라는 설렘도 전혀 없이 일에 빠져 있었던 것이다.

 

 어렸을 적에 매년 마지막 날 밤엔 온 가족이 TV 앞에 모여 보신각 타종 행사를 지켜봤다. 그 시각 또 한 살 먹는다는 설렘이 있었다. 곧 바뀌게 될 학년과 새롭게 만날 친구들을 생각하며 다가올 한 해를 기대하곤 했다. 어느덧 30대 중반을 바라보는데 익숙함때문인지는 몰라도 그 설렘이 사라져 버렸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카메라를 처음 잡았을때의 설렘은 과연 지금도 남아있는가?

 

 카메라는 익숙하지만 취재 현장은 여전히 낯설다 ? 언제나 그렇다. 열이면 열, 백이면 백 현장은 저마다 전부 다른 조건이다. 다양한 취재 환경에서, 내가 촬영한 영상이 편집 과정을 거쳐 시청자들에게 어떻게 전달될지 생각해보면 설렘이 일어난다.

 

 이 직업을 갖게된 후 지난 1년을 되돌아보면 여러 설렘의 순간들이 있다. 

 

 지난해 6월, 남북관계에서 긴장의 끈이 가장 팽팽했던 순간 연평도로 향했을 때. 남쪽을 겨냥하고 있는 북한 옹진반도의 해안포문이 열린 장면을 포착해야 했다. 첫 출장의 소식을 가족들에게 전하자 위험한 것 아니냐며 걱정했다. 여든아홉의 내 할머니는 괜히 기자를 해서 위험한 곳을 찾아다닌다며 땅이 꺼지도록 한숨을 쉬었다. 하지만 나에게 연평도는 설레는 기회의 땅이었다.

 

 처음으로 다뤄본 망원렌즈로 연평 앞바다, 그리고 저 멀리 보이는 북한 땅 구석구석을 들여다보며 얼마나 설랬는지 모른다. 이 직업을 갖길 잘했다는 생각이 드는 순간이었다. 해무가 짙은 탓에 몇 날을 기다려 북한의 해안 포문을 카메라에 포착할 수 있었던 바로 그 순간. 그때 희열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짜릿했다.

 

 익숙함과 매너리즘은 종이 한 장 차이일것이다. 비록 해가 바뀌는 것이 설레지 않은 나이이지만 그저 매일 주어지는 보통의 하루가 나는 설레고 또 설렌다.

 

 

김현우/ MBN (사진) MBN 김현우 증명사진.jpe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특별기획-브라질월드컵] 포르투알레그리에서의 3일 file 2014.08.13 7353
[특별기획-브라질월드컵] 4년 후 승리의 포효를 하는 기분 좋은 상상을 해본다 file 2014.08.13 7430
[특별기획-브라질 월드컵] 응원석 태극기가 펼쳐질 때의 뭉클함을 잊을 수 없어 file 2014.08.13 7695
[카타르 월드컵 카타르 현장 취재기] 월드컵 역사상 다신 없을 카타르 월드컵 file 2022.12.28 262
[카타르 월드컵 거리응원 현장 취재기] 뉴스의 중심에 선 ‘사람들’을 위해 그들과 등지고 서다. file 2022.12.28 197
[인도취재기]인도는 지금 변화로 몸살을.. file 2009.12.15 10609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폴란드 국경지역 취재기] 전쟁 속에서 꿈꾼 자유와 평화 (2022.2.17.~3.13) file 2022.05.03 403
[고성 산불 취재기] 화마와의 사투 file 2019.07.01 549
[고성 산불 취재기] 고성 산불 그 후 file 2019.07.01 544
[U20 월드컵]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과 한국의 아쉬운 16강 탈락 file 2017.07.20 1507
[2023년 4월 11일 강릉 경포동 산불 취재기] 강풍은 곧 대형 산불로…반복되는 재난 보도 대비 절실 file 2023.04.26 300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소감] 인류최악의 원전사고, ‘체르노빌원전사고’를 알린 네 명의 영상기자들 file 2023.11.20 71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소감]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 러시아의 소프트파워 (Russian Soft Power in The CAR)” file 2023.11.20 117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소감] “인사이드 러시아: 푸틴의 국내 전쟁(Inside Russia: Putin’s War at Home)” file 2023.11.20 95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소감] “바흐무트 전투(The Battle of Bakhmut)” file 2023.11.20 100
[2018 제3차 남북정상회담 평양 취재기] '2018 평양' 그 새로운 여정 file 2018.12.19 377
WBC 그 '위대한 도전'의 현장을 가다 file 2009.04.14 10368
Sky Diving 하늘을 날다. 2003.02.24 7365
Ryu 캔 두잇 file 2013.07.30 10451
Re:노젓는 판사 2007.07.11 7861
Re:Re:MBC 태그의 뻘쭘함. 2006.11.14 7737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