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8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뉴스VIEW
노동이 사라진 대선, 영상이 사라진 방송 뉴스

5면 탁종렬.jpg


 노동이 사라진 대선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노동’은 대선에서만 사라진 것이 아닙니다. 언론에서도 ‘노동’은 사라졌습니다. 얼마 전 당선이 유력한 국민의힘 대선 후보인 윤석열의 ‘최저임금제’, ‘주52시간제’, ‘중대재해법’ 관련 발언이 화제였습니다. ‘반노동 인식’이 그대로 드러났다는 비판이 높았습니다. 며칠 후 윤석열 후보가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중소기업 입장에서 보면 최저임금 180만~200만원일 때 '150만원이라도 충분히 일할 용의가 있다'고 하는 사람을 (일) 못하게 한다면 어떻게 되겠느냐", "주52시간을 1~2개월 단위로 평균을 내 유연하게 적용하는 근로조건을 노사가 협의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보고 있다"고 하자 언론은 이 발언을 ‘반노동 발언 진화’라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이 발언은 헌법의 최저임금제를 부정하고, 변형근로·탄력근로제 도입의 전제인 ‘근로자 대표·노동조합’의 사전 동의를 무력화하려는 발언입니다. 하지만 어느 언론도 사실을 확인하는 보도를 하지 않았습니다. 방송 뉴스도 마찬가지입니다.

# 장면 

[소상공인지원] 맞춤형 대책…뭐가 있나? 어떻게 받을까? - 12/10
OECD 가입 25주년…우리나라는 과연 선진국 됐나  - 12/10
“온실가스 못 줄이면 80년 뒤 기온 4℃ 올라”…한반도에도 큰 영향 12/10
“매일 자식 죽음 생각 힘들지만, 또다른 죽음 막기 위해”… – 12/12
코로나19 의료 인력의 현장 증언…“아비규환, 아수라장, 전쟁터” - 12/13
신문 1면 ‘쩍 갈라진 제주 해안도로’는 ‘오보’ - 12/15
“회의에도 부르지 않고, 호칭은 ‘야’”…공기업 정규직이라 좋아했는데 – 12/18
3년 만에 비극으로 끝난 21살 청년의 ‘공기업 정규직’ 생활 - 10/22
“내 월급도 중간에서 사라진다”…어디까지 괜찮은 걸까 - 12/18

 지난 2년 동안 방송사 뉴스를 모니터 하면서 ‘이상하다’는 생각을 자주 했습니다. 오래전부터 지적이 있었지만 여전히 방송 뉴스는 2~3분 포맷의 형식을 유지하고 있죠. 그러다보니 뉴스를 모니터하면서 노동과 관련한 뉴스는 항상 ‘2% 부족하다’는 아쉬움을 갖습니다. 그런데 “어! 이 기사 매우 좋은데” 하는 뉴스는 대부분이 노동현장의 현실을 보여주는 영상이 없는 텍스트 기사들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한 공영방송사의 심층기획뉴스 코너가 대표적입니다. 세상의 변화를 알 수 있는 해외특파원들의 리포트들로 구성된 프로그램들도 노동 관련된 문제에서 현장의 영상이 없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얼마 전 페이스북에 ‘공영방송사의 뉴스는 3무방송?’이라는 자극적인 글을 포스팅했습니다. 실제 한국의 기자들이 열악한 노동현장에 들어가 땀 흘려 취재한 ‘취재·분석영상’이 없다는 취지였습니다. ‘영상’으로 제작한 뉴스에는 ‘취재와 분석’이 없고, ‘취재와 분석’이 있는 뉴스에는 ‘영상’이 없다면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그만큼 ‘영상으로 만드는 뉴스’가 어렵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올 한 해 동안 노동인권저널리즘센터의 [레시톡톡]이란 유튜브 영상을 몇 편 만들면서 ‘담론’을 영상 뉴스로 제작하는 일은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란 것을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한정된 시간에 맥락과 사실, 스토리를 ‘영상’으로 제작하는 일은 많은 시간과 투자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이겠죠. 

 하지만 말이죠. 그래도 누군가는 해야 하지 않을까요? 누군가는 그러더군요. ‘지금 방송 뉴스 수준이라면 일부를 제외한 많은 기자들의 일은 가장 빨리 AI로 대체될 것이다’고. 하지만 ‘영상’은 언제까지 ‘사람’의 일로 남지 않을까요? 그러기 위해서 노동현장의 생생한 현실과 목소리를 담고, 분석한 영상이 있는 뉴스를 만나고 싶습니다.

탁 종 렬 노동인권저널리즘센터 소장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병아리 깃털과 초콜릿 상자 file 2020.11.17 434
방종혁의 씨네노트 - 사극의 두 얼굴, 허구와 실화 '군도-민란의 시대' VS '명량' file 2014.08.14 3516
방종혁의 시네노트 - 흑백으로 되살린 전쟁범죄의 기억-『지슬』 file 2013.06.04 3478
방송환경의 변화에 영상기자들의 변화 file 2018.01.10 757
박주영의 세상보기 - 역경은 창조주가 준 선물 file 2014.03.21 2201
박수칠 때 떠나자: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의 자립 선언 file 2023.06.29 209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투쟁과 한국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file 2023.06.29 220
미디어의 속도와 책무감에 대해서 file 2018.12.19 580
미디어 풍요시대, 필요한 건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file 2021.07.06 429
무선마이크 900Mhz 전환기 file 2021.01.07 1205
무분별한 운영, 드론의 위험성 file 2019.09.09 472
마스크가 바꾼 2020년 취재현장 file 2021.01.08 451
디지털 경험을 통해 새롭게 보이는 것들 file 2020.01.08 287
드론의 구체적인 제도화가 필요하다 file 2017.08.30 606
드라마는 감독의 작품인가 file 2020.03.11 367
도심 속 고궁 산책 file 2020.11.17 274
데이터 저널리즘과 영상 file 2021.01.08 298
다양한 경험, 재치 그리고 순발력 뉴미디어 콘텐츠 만드는 데 밑거름 file 2021.01.08 476
다시 찾아온 기회 그리고 설렘 file 2019.05.08 350
다기능 멀티플레이어가 요구되는 시대 file 2017.07.21 743
다가오는 '본격' 지방자치시대 지역방송사, 무엇부터 준비해야 하나? file 2018.01.10 68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