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02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No Attached Image

유언(遺言)에 대하여(2)

 

지난 지면에서는 유언제도의 취지와 유언의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지면에서는 유언의 효력 및 유증(遺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언은 유언자가 사망한 때로부터 그 효력이 발생하게 됩니다.(민법 제1073조 제1항)

유언자는 유효한 유언을 한 이후라도 살아있을 때에는 언제든지 자유롭게 전부나 일부를 철회할 수 있도록

유언철회의 자유를 인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언자가 유언을 철회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사유가 있으면 유언을

철회한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를 법정철회라고 합니다. 법정철회사유로 ‘전후(前後)의 유언이 저촉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전(前)유언은 철회한 것으로 봅니다. 예를 들어 ‘내가 죽으면 00아파트를 A에게 준다.’라고 유효한 유언을 하였다가

살아있는 동안 ‘내가 죽으면 00아파트를 B에게 준다.’라고 또 다른 유언을 하였다면 시간적으로 앞선 유언은 철회를 한 것으로

 보게 됩니다. 또, ‘유언 후의 생전행위가 유언과 저촉되는 경우’에는 전(前)유언은 철회한 것으로 봅니다.

예를 들어 ‘내가 죽으면 00아파트를 A에게 준다.’라고 유효한 유언을 하였다가 유언자가 살아있는 동안 00아파트를 B에게

매도한 경우 그 매매는 유효하고 앞선 유언은 철회한 것으로 보게 됩니다. 또한 유언자가 유언증거나 유언의 목적물을

훼손한 경우에는 그 훼손한 부분에 관한 유언은 이를 철회한 것으로 봅니다.

유증(遺贈)이란 유언에 의하여 재산을 무상으로 증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유증의 종류로는 포괄적 유증과 특정적 유증이 있습니다. 포괄적 유증은 상속재산의 전부 또는 비율에 의한 유증으로 예를

들면 상속재산의 3분의 1 또는 2할을 준다는 형태의 유언을 말합니다.

특정적 유증은 개개의 재산상의 이익을 구체적으로 특정한 유언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은 장남에게 동산은 차남에게

 현금은 장녀에게 준다. 라는 형태의 유언입니다. 유증을 받는 자를 수증자(受贈者)라고 하는데,

유언자의 사망 전에 수증자가 사망한 경우 유증의 효력은 당연히 발생하지 않습니다. 포괄적 유증을 받게 되는 수증자는

상속인과 마찬가지로 상속재산의 일부비율을 가질 수 있는 권리가 있게 되므로 상속인이 한 명 늘어났다고 보면 됩니다.

특정적 유증의 경우 유언자가 사망하게 되면, 일단 상속인에게 그 특정물건이 상속되고 수증자는 그 상속인에게 그 특정한

물건에 대해 유증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는 청구권을 취득한다고 해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유언자가 사망하였다고 하여 수증자가 특정물건에 대한 소유권을 곧바로 취득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입니다.

유증의 목적이 된 권리가 유언자의 사망 당시에 상속재산에 속하지 않은 때에는 그 유증은 효력이 없다고 할 것입니다.

다만, 유언자가 자기의 사망당시에 그 목적물이 상속재산에 속하지 아니한 경우에도 유언의 효력이 있게 할 의사인 때에는

유증의무자는 그 권리를 취득하여 수증자에게 이전할 의무가 있습니다. 그런데, 유증의무자가 그 권리를 취득할 수 없거나

그 취득에 과다한 비용을 요할 때에는 그 가액으로 변상할 수 있습니다.

유증을 받는 수증자의 경우 유언자가 사망한 이후 언제든지 유증을 승인 또는 포기할 수 있고, 일부분만을 승인하고

일부분은 포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유증의무자는 상당한 기간을 정하여 그 기간 내에 유증을 승인할 것인지 포기할 것인지

를 수증자가 답변을 하도록 최고할 수 있고, 그 기간 내에 답변을 하지 않으면 수증자가 유증을 승인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신/ 협회 고문변호사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언시 장수생이 언시 장수생들에게 file 2021.01.07 838
자가격리 14일간의 기록 file 2021.01.07 277
영상기자라는 이야기꾼 file 2021.01.07 353
데이터 저널리즘과 영상 file 2021.01.08 249
다양한 경험, 재치 그리고 순발력 뉴미디어 콘텐츠 만드는 데 밑거름 file 2021.01.08 419
마스크가 바꾼 2020년 취재현장 file 2021.01.08 399
[줌인] 행복하고 의미있는 2021년으로 만들어 나가시길 file 2021.01.08 251
느린 국회, 멈춘 영상기자 file 2021.03.09 298
Unprecedented - 코로나 1년과 영상기자 file 2021.03.10 323
가슴이 뛰는 일, 한국에서 다시 시작합니다 file 2021.03.10 482
[이임사] 회장 임무를 마치면서 file 2021.03.11 625
[취임사] 영상기자 100년을 위해 함께 합시다! file 2021.03.11 325
영상 기자와 보건소 직원 부부의 1년간의 사투 (feat. 코로나19) file 2021.05.06 290
힌츠페터 어워즈, 히어로 메이커 2.0 file 2021.05.06 222
세상의 민주주의를 위한 , 세상에 없던 상의 탄생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제정의 의미 file 2021.05.06 306
<영상기자상>, 첫 심사를 마치고… file 2021.05.06 268
[릴레이 기고 - 협회에 바란다①] 내 삶과 가까운 협회, 내편이 되어주는 협회 file 2021.05.06 334
미디어 풍요시대, 필요한 건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file 2021.07.06 359
“2021년, 질문이 달라졌습니다” file 2021.07.06 269
한국영상기자협회 입회에 즈음하여… file 2021.09.24 328
아프가니스탄 전쟁 20년, 다시 탈레반의 시대로… file 2021.09.24 260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