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3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특별기고>

       대통령선거와 카메라기자

 

19대 대통령선거는 조기 대선으로 짧아진 대선 기간 동안 한명의 유력한 후보에 대한 집중과 견제를 지속하며 선거 흥행을 위해 대항마를 조명하기에 분주한 선거보도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각당의 네가티브 발언에 대해 충분한 검증도 하지 않은 퍼나르기식 보도 프레임으로 일부 매체는 편향성 시비로 여론의 도마에 오르기도 했다. 특히, 여론조사에서 꾸준한 ‘1독주는 선거 중반까지는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를, 선거 막판에는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가 상대적으로 집중적인 언론의 조명을 받았다. 현장의 유권자들의 이야기를 듣기 보다는 형식적인 따옴표보도, ‘확성기보도와 여론조사와 지지율에 초점을 맞추고 딱딱한 정책분석 보도에서 탈피하지 못한 것은 이번 대선 언론보도의 한계점 이라고 할 수 있다.

언론 보도 측면에서 이번 19대 대선보도에서 가장 큰 특이점은 미국발 가짜뉴스 논란과 이에 따른 언론사들의 팩트체크 열풍이었다. 대부분의 언론사가 가짜뉴스 검증을 위한 다양한 팩트체크 시스템을 선보였고 방송사 중에는 jtbcSBS가 선도적으로 활용하였다. 하지만 팩트체크 시스템이 언론사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밝혀지는 기현상도 발견할 수 있었다. 팩트체크가 문서를 통한 단순한 사실 확인 뿐만 아니라 영상 분야까지 확대되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영상은 왜곡 없이 있는 그대로를 기록하기 때문에 팩트체크에 있어서는 팩트체커의 근간을 이루는 것이 바로 영상임을 다시금 떠올려야 한다.

카메라기자들이 촬영하는 정치인들의 말 한마디가 역사의 기록이자 팩트체크의 근간이 됨을 카메라기자들이 자각해야 한다. 따라서 정치인의 발언을 팩트체크를 할때도 과거의 발언을 '기사'가 아니라 영상으로 직접 확인해야하며 이를 뉴스영상 아카이브에서 대선보도에서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시스템 필요하다. 다음 대선때는 주요 대선후보들의 주요발언들을 미리 모아서 정리해놓고 빅데이터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앞으로 대선 보도는 공급자 중심의 일방적인 뉴스가 아니라 유권자 중심의 쌍방향적인 뉴스로 거듭나야 한다. 정당이나 후보자들보다 유권자들의 살아있는 생생한 이야기를 더 많이 담아내는 선거보도는 항상 현장의 최일선에 서있는 카메라기자들에게 더 많은 노력을 요구 한다. 유권자중심의 보도는 정치권의 '받아 적기' '인용' '확성기'보도를 지양하고 유권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뉴스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대선보도의 대부분이 정치인의 동정이나 여론조사 등을 시청자들에게 전달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데 반해 향후 대선보도는 유권자들을 농민, 청년, 노인, 여성, 지역과 같이 세분화하고 계층화하여 이들의 목소리를 대선 후보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창구 역할을 언론이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이템 발제 단계에서부터 국회나 청와대 등 풀기자단에서 중심에서 탈피하고 카메라 기자들이 적극적으로 아이템을 발제하여 시민들의 목소리를 담아 내야한다.

 이민규.PNG

이민규 교수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힌츠페터 어워즈, 히어로 메이커 2.0 file 2021.05.06 269
힌츠페터 국제 보도상 심사 후기 - '응답의 책임감’(answerability) file 2021.11.17 415
확진자의 동선, 취재진의 동선 file 2020.03.12 394
호모 비디오쿠스는 진화 중 file 2019.09.09 471
헬기 위 영상취재, 매년 반복되는 풍경 file 2019.05.08 439
험지 취재에 유용한 경량 백패킹 file 2020.09.16 413
해외 출장의 필수 관문 ‘까르네’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file 2023.06.28 375
해외 출장 후 자가격리기(記) file 2020.07.16 390
해외 사례로 ‘검찰 포토라인’ 철폐 톺아보기 file 2020.01.09 391
한국의 전략가들이 주시해야 하는 미국의 전통적 대외정책 file 2019.01.03 1588
한국영상기자협회 입회에 즈음하여… file 2021.09.24 374
한국 영화 100年史 속 봉준호, 그리고 김기영 file 2020.05.07 365
한국 미디어가 주시해야 하는 ‘소리 없는 세계통화전쟁’ file 2017.11.04 637
필사는 창작의 왕도 file 2017.11.04 651
피의자 신상공개 결정의 고뇌와 함의 file 2020.05.11 526
피의사실 공표 논란, '쉼표'가 될 기회 file 2020.07.17 31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세계질서 file 2020.07.17 283
평범한 일상과 업무 속에서 새로운 문제의식을 찾아가는 것의 중요성 file 2023.12.21 164
펭수는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을까? file 2020.01.08 426
판소리로 춤을 추게 만드는 밴드 이날치를 만나다 file 2020.11.17 330
판문점 북미정상회담과 보도영상 file 2019.09.09 27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