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7.20 07:03

지상파 UHD 방송 현황

조회 수 146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지상파 UHD 방송 현황


이헌주/MBC기술연구소


지난 5월 31일부터 세계 최초로 지상파 UHD 방송이 시작되었다. UHD는 Ultra High Definition의 약자로, 

기존 HD방송보다 4배 이상 선명한 화질과 입체적인 음향을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TV에 인터넷망을 연결하여 양방향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런 지상파 UHD 방송과 현황에 관해 궁금한 점을 얘기해 

보고자 한다.


UHD.jpg

<홈포탈> 


Q. 지상파 UHD 방송이란 무엇이며, 어떤 기술이 사용되었을까.

4K(3920x2160)의 해상도를 가지는 지상파 UHD 방송은 초당 표현하는 화면의 수도 HD보다 두 배가 되어 훨씬 더 세밀하고 부드러운 화면을 제공한다. 그 외에도 HDR(High Dynamic Range) 기술로 훨씬 자연스러운 색감을 표현하며, 객체 오디오를 지원하여 현장감 있는 사운드를 전하는 등 실감미디어로 한발 더 다가서는 방송이다. 전송기술면에서 살펴보면 미국식 ATSC 3.0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였다. ATSC 3.0은 전송효율이 매우 좋으며, UHD 방송뿐만 아니라, A-HD(Advanced HD) 채널 및 부가서비스 등을 RF신호 하나에서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확장성도 뛰어난 기술이다.


Q. 지상파 UHD 방송으로 할 수 있는 다른 서비스는 어떤 것이 있을까.

제일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로 양방향 방송 안내(Advanced ESG) 시스템이다. 단순한 미래 방송의 편성 정보 확인에 그치지 않고, 시청자가 원하는 과거/현재/미래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 및 Thumbnail 뿐만 아니라, 하이라이트 영상, 예고 방송 등의 기능을 제공 받을 수 있다. 그 외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홈포탈 

서비스를 들 수 있다. 방송망과 인터넷망을 결합한 새로운 시스템으로 PC 혹은 모바일 환경에서만 가능하였던 연관클립 재생, 프로그램 다시보기 등의 양방향 서비스를 UHD TV만으로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아직 추가 채널에 대한 방송통신위원회의 허가를 받지 못했지만,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환경과 수신품질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도 원활히 수신이 되는 A-HD 채널은 향후 핸드폰 및 각종 포터블 단말에 탑재되어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지상파 방송을 누리게 할 예정이다.


Q. UHD TV를 갖고 있는 사람은 모두 지상파 UHD 방송을 직접 수신할 수 있을까.

지상파 3사는 기존 DTV방송과 다르게 수도권에 단일 주파수를 사용하여 지상파 UHD를 구축하였으며, 사용자에게 이전 보다 훨씬 좋은 수신 품질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지상파 UHD 본방송을 시청하려면 2017년 3월 이후 출시된 미국식 ATSC 3.0 UHD TV를 통해서만 가능하며, 이전 출시된 유럽식 UHD TV를 가지고 있다면 가전사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셋톱박스를 구매해야 한다.


Q. 수신 품질이 좋아졌다면 실내에서 직접 수신도 가능한가요? 그리고 내장형 안테나는 TV에 장착이 되었을까.

지금도 서울이라면 대다수 가정에서도 안테나만 연결한다면 실내에서 직접 수신이 가능할 정도로 수신 

품질이 많이 좋아졌으며, 연말 추가 중개소도 계획하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 모바일 및 포터블 단말들에 

주로 탑재될 A-HD를 위해서도 수신 품질 향상을 위한 노력은 계속될 것이다.

안타깝게도 아직까지는 TV에 내장안테나를 탑재시키지 못했다. 만약 TV에 안테나가 내장 된다면 핸드폰처럼 전원만 연결하면 어디서든 지상파 UHD 방송을 쉽게 수신하게 되어 낮은 직접 수신율을 돌파하는 계기가 될 것 이다.


Q. 현재 지상파 UHD 방송 수신 가능 지역과 다른 지역으로 확대 일정은 어떻게 될까.

지상파 3사는 현재 서울·경기·인천 등 대부분의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지상파 UHD 방송을 송신하고 있다. 12월부터는 광역시 권역과 평창 동계올림픽 권역으로 확대하고, 나머지 지역은 2021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Q. UHD로 모든 방송을 제작하려면 비용이 많이 들 것 같은데 UHD로 제작된 프로그램의 비율은 어떻게 될까.

현재는 하루에 한 시간 정도의 비율로 UHD로 제작된 콘텐츠를 송출하고 나머지 시간에는 HD 방송을 Up Scaler를 통해서 화질을 높여서 방송을 하고 있다. UHD 편성 의무비율은 올해는 5%이며, 2018년 10%, 2020년 25%로 단계적으로 늘어나 2027년에는 100% UHD 방송을 편성토록 되어 있다. 


  1. 특별기고-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위해

    ‘한국형 모델’을 제시한다 ‘이명박근혜 정부’ 시절 권력의 하수인으로 전락했다는 KBS, MBC 공영방송의 몰락은 결국 구성원들을 2017년 9월 또다시 파업으로 몰아갔다. 정치권은 서로 ‘네 탓’ 공방을 하며 ‘특별다수제’를 대안으로 제시했다가 이것 역시 새로...
    Date2017.11.04 Views609
    Read More
  2. 특별기고 한반도 주변 불안정과 달러 위기의 연관성

    한반도 주변 불안정과 달러 위기의 연관성 1999년 유로화 탄생 이후 국제정세 불안정의 이면에는 세계 기축통화인 달러의 위기와 연관성이 깊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다. 그래서 미국의 달러 패권을 둘러싼...
    Date2018.03.15 Views688
    Read More
  3. 트라우마를 경험한 취재원, 그리고 셀프케어

    트라우마를 경험한 취재원, 그리고 셀프케어 ▲ 필자가 지난 8월 27일 호주 멜버른 다트센터에서 방송기자연합회 연수 대상자 기자들에게 ‘트라우마를 경험한 지역사회 보도 사례’를 주제로 발표했다. 1979년 10월, 박정희 유신독재에 반대해 일어난 부마항쟁이...
    Date2020.01.08 Views252
    Read More
  4. 클라우드시대의 영상기자

    클라우드시대의 영상기자 보도영상 관련 기술은 계속 발전해왔다. 화질은 SD에서 HD로, 기록 매체는 테이프에서 메모리로 진화했다. 이러한 변화는 영상취재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지만 영상기자의 역할까지 바꾼 것은 아니다. 하지만 MNG는 기존의 위성 장비를...
    Date2020.03.11 Views470
    Read More
  5. 코로나19, 대구에서

    코로나19, 대구에서 ▲ 청도노인요양병원에서 코로나19를 취재하고 있는 필자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로 인해 약 917만 명(2020년 6월 24 일 기준)이 넘는 사람들이 감염되거나 목숨을 잃었습니다. 국내에서도 연일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감염 확진자가...
    Date2020.07.16 Views237
    Read More
  6. 취재현장의 유튜버, 취재의 자유와 방해의 경계에서…

    취재현장의 유튜버, 취재의 자유와 방해의 경계에서… ▲ 유튜버들의 취재 방해를 다룬 MBC 온라인 채널 〈엎어컷〉 화면 갈무리 지난 8월13일 이재용 부회장이 서울 구치소에서 석방됐다. 당일 이른 아침부터 검찰 기자단을 비롯한 각 사의 현장 취재진이 이재...
    Date2021.11.17 Views390
    Read More
  7. 취재를 잊은 언론, 진실을 숨긴 언론

    [뉴스VIEW] 취재를 잊은 언론, 진실을 숨긴 언론  #장면1. 11월 22일 우리 대통령이 영국 다우닝가 10번지 총리 관저를 패스해 홀로 직진하는 장면이 생중계되었다. 현장 외신 기자들은 “어디로 가는 거야?”, “이거 다 촬영했지?”라며 웅성거렸다. 영국 언론...
    Date2023.12.21 Views115
    Read More
  8. 체르노빌의 기자들을 잊지 않은 한국에 감사

    <키이우에서 온 편지> 체르노빌의 기자들을 잊지 않은 한국에 감사 ▲유리 볼다코프 ▲아나스타샤 리지나 (유리 볼다코프의 손녀)  친애하는 조직위원회와 여러분,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인사드립니다. 저는 오월광주상 수상자이신 유리 볼다코프, 할아버지 ...
    Date2023.12.21 Views80
    Read More
  9. 채널2의 사회학

    채널2의 사회학 모두가 알다시피 채널 2는 현장음을 수신하는 채널이다. 기자의 의도가 확실히 담겨 특정한 목소리를 담아내는 채널1과 달리 채널 2는 의도되지 않는 현장의 소리가 담긴다. 이런 채널의 속성을 매체와 사회의 관계 문제로 가져가게 되면 두 채...
    Date2018.12.19 Views368
    Read More
  10. 지역 영상기자의 '반전(反轉)' 적응기

    지역 영상기자의 '반전(反轉)' 적응기 ‘지역이라고 해서 만만히 볼 게 아니구나...’ 작년 이맘때쯤 처음 빛고을에 발을 딛고 난 후 1년 동안 머릿속에 늘 떠오르던 생각이다. KBS에 입사하기 전 서울에서 맞닥뜨리던 현장과 업무와 비교할...
    Date2020.03.11 Views289
    Read More
  11. 지역 MBC의 유투브 플랫폼 활용

    지역 MBC의 유투브 플랫폼 활용 ▲ MBC충북 '한국 남매' 제작 현장 방송ㆍ통신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의 탄생으로 전통미디어인 지상파 플랫폼의 존재 가치가 희미해지고, 스마트미디어가 새로운 플랫폼으로 강조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지역 지...
    Date2020.07.17 Views252
    Read More
  12. 지상파 UHD 방송 현황

    지상파 UHD 방송 현황 이헌주/MBC기술연구소 지난 5월 31일부터 세계 최초로 지상파 UHD 방송이 시작되었다. UHD는 Ultra High Definition의 약자로, 기존 HD방송보다 4배 이상 선명한 화질과 입체적인 음향을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TV에 인터넷망을 연...
    Date2017.07.20 Views1465
    Read More
  13. 지금은 할 수 없는, 여행을 위하여

    지금은 할 수 없는, 여행을 위하여 ▲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필자 9시 15분 피렌체행 기차는 2시간이나 연착됐다. 역무원에게 물어보니 “토스카니에서 지진이 나서 어쩔 수 없다.”고 한다. ‘넘어 진 김에 쉬어간다.’ 생각하고 아침을 먹고 있는데 연착 시간이 9...
    Date2020.07.16 Views225
    Read More
  14. 조용필 평양공연 지켜지지 않은 합의서

    조용필 평양공연 지켜지지 않은 합의서 1달러짜리 커피의 맛 2005년 8월 18일 오후 2시 55분, ‘조용필공연’ 선발대 69명이 드디어 평양 땅을 밟았다. 평양 순안비행장에는 이미 가을을 재촉하는 선선한 바람이 불어왔다. 선발대는 서둘러 숙고인 고려호텔로 달...
    Date2018.04.05 Views573
    Read More
  15. 제주에서의 일 년, 어떻게 보내게 될까

    제주에서의 일 년, 어떻게 보내게 될까 ▲ 제주 월정리 해변에 취재하고 있는 필자 2016년 4월, 일주일 동안 제주를 돌아본 경험이 있다. 당시 제주공항에서 일하던 친구네 놀러 가서 사흘, 영화제가 열린다는 강정마을에서 이틀, 그리고 결혼 후 제주시 구좌읍...
    Date2020.03.11 Views329
    Read More
  16. 제주 수중촬영 교육을 마치며…

    제주 수중촬영 교육을 마치며… 생후 22개월 딸내미의 오열 배웅을 받으며 길을 나섰다. 사랑하는 처자식을 두고 제주도로 4박 5일간의 수중촬영 교육을 떠나게 돼서 마음이 무거웠지만 발걸음은 가벼웠다. 물론 가벼운 발걸음은 들키고 싶지 않았다. 만약 꼬리...
    Date2021.11.17 Views380
    Read More
  17. 제2의 장미란이 아닌 제1의 박혜정을 꿈꾸며

    제2의 장미란이 아닌 제1의 박혜정을 꿈꾸며 ▲ 지난 7월 21일, 충남 서천에서 열린 전국 춘계역도대회’에서 용상 154kg을 ▲ 박혜정 선수가 코치로부터 발로 밟히는 특이한 스트레칭을 받고 있다. 번쩍 들어 올려 한국 주니 어 신기록을 세운 박혜정 선수...
    Date2020.09.16 Views324
    Read More
  18. 전에 없던 새로움을 탐하다 ②

    전에 없던 새로움을 탐하다 ② 6개월간의 대장정 선거 방송을 준비하며 UHD 실사 촬영 이번에는 포맷용 실사 촬영을 UHD급 이상, 10bit 이상 영상으로 하기로 했다. 최종단에서 전체 영상 톤을 맞추기도 용이하고 HD 화면의 4배 사이즈이기 때문에 CG용 재가공 ...
    Date2020.09.15 Views216
    Read More
  19. 저작자의 성명표시권, 실효적으로 관리ㆍ개선되어야 마땅

    저작자의 성명표시권, 실효적으로 관리ㆍ개선되어야 마땅 ▲ 이호흥 호원대 초빙교수 / (사)한국저작권법학회 명예회장 우리나라 저작권법 제12조 제1항은“ 저작자는 저작물의 원본이나 그 복제물에 또는 저작물의 공표 매체에 그의 실명 또는 이명(異名)을 표...
    Date2020.07.17 Views491
    Read More
  20. 자가격리 14일간의 기록

    자가격리 14일간의 기록 ▲필자가 자가격리 중 먹었던 음식과 용품 서울 시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면서 나도 검사를 받았다. 검사결과 음성이 나왔음에도 밀접 접촉자로 분류되어 2주 간의 자가격리를 했다. 14일 동안의 격리가 시작된 것이다. 11월3일~...
    Date2021.01.07 Views277
    Read More
  21.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한일 합의의 문제점과 해결의 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한일 합의의 문제점과 해결의 길 지난 5월 18일 일본에서 문희상 대통령 특사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면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아베 총리는 “재작년 위안부 합의도 국가 간의 합의인 만큼 미래지향을 위해서 양국...
    Date2017.07.21 Views94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