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505 추천 수 0 댓글 0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o Attached Image


 

[성명서]

EBS 차별하는 700MHz ‘4+1’ 분배안 철회하라




- DMB 대역으로 UHD 방송 시 시청자 불편 초래

- EBS, 가장 공익적인 채널시청권 보장해야

 

미래창조과학부가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주파수정책소위원회에서 EBS에도 700MHz 주파수를 분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보고하겠다고 밝혔다. 사실상 마지막 기회다. 미래부는 626일 열리는 주파소위에서 EBS700MHz 주파수를 분배하는 방안을 내놓아 시청자들이 불편 없이 지상파 초고화질(UHD) 방송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미래부는 앞서 519일 열린 주파수소위에서 700MHz 주파수를 방송과 통신에 나눠 분배하는 이른바 ‘4+1’ 분배안을 발표했다. 채널 1개당 6MHz 폭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해 KBS 1TV, KBS 2TV, MBC, SBS 등 지상파 3사에는 700MHz 주파수를 분배하고,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MMS)를 하고 있는 EBS에는 향후 DMB 대역에서 1개 채널을 확보해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결국 모바일 광개토 플랜에 따라 이동통신에 40MHz 폭을 할당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하지만 DMB 대역에서 지상파 UHD 방송을 실시한다면 모든 불편을 시청자들이 감수해야만 한다. 현재 DMB로 사용 중인 VHF 대역은 전파의 특성이 디지털TV(DTV)와 맞지 않기 때문에 각 가정에 설치된 기존 안테나로 UHD 방송 시청이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시청자들이 VHF 수신용 안테나를 추가 구매해 설치하거나 두 가지 대역을 함께 지원하는 복합 안테나를 개발해야 한다는 말인데 두 방안 모두 안테나 교체라는 부담과 불편을 초래한다. 또한 복합 안테나의 경우 각각의 개별 안테나보다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수신 가능 지역이 축소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디지털 전환 당시에도 DMB 대역 사용을 고려치 않았다.

 

게다가 VHF high 대역은 향후 디지털 라디오 방송 추진을 위해 활용할 예정이어서 지상파 UHD 방송용으로 사용 시 디지털 라디오 추진에 차질이 불가피해진다.

 

EBS는 유아, 어린이부터 시작해 초고등교육 나아가 우리나라 국민들의 평생교육을 책임지는 교육 방송이다. 어린이들은 EBS에서 만든 캐릭터로 즐거워하고 학생들은 EBS 방송을 통해 공부하며 어른들은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콘텐츠로 삶의 질을 높이고 있다. 가장 공익성이 강한 채널 중 하나로 국민들의 삶에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그런데 왜 EBS가 다른 지상파 방송사와 달리 DMB 대역을 활용해 지상파 UHD 방송을 해야 하는가.

 

방송인총연합회는 EBS에만 차별적인 미래부의 태도를 더 이상 납득할 수 없다. 시청자들의 불편을 초래하면서까지 EBSDMB 대역을 할당한다면 이는 국민을 무시하는 것이며 더 큰 반발을 가져올 것이다. 그나마 다행히 미래부는 622일 열린 주파수소위에서 EBS에도 700MHz 주파수를 분배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보겠다며 다소 전향적인 태도를 보였다. 미래부는 이번 주파수소위에서 EBS에 대한 700MHz 주파수 분배안을 반드시 내놓아야 한다. 만약 이번에도 모호한 답변으로 시간끌기에 나선다면 방송인총연합회는 시청자들의 시청권 확보를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해 싸워나갈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

 

20150625일 방송인총연합회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한국PD연합회, 방송기자연합회, 한국아나운서연합회, 한국방송촬영감독연합회, 한국방송카메라감독연합회)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 날짜
<성명서> 공명정대한 선거와 왜곡되지 않은 민의를 반영하라 6562 2009.01.17
<성명서> 민중의 지팡이, 언론에 휘두르라고 쥐어준 것인가? file 8119 2008.06.03
<성명서> 이방호 전 사무총장은 공개 사과하라! file 10427 2008.04.12
<성명서> 한나라당과 동아일보는 즉각 사과하라! 5243 2010.12.02
<성명서>경인 TV의 허가추천을 촉구한다!!! 6516 2007.03.14
<성명서>경인TV의 허가추천을 촉구한다 9596 2007.03.14
[공동성명]국회는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 강화 법안’을 정기회 최우선 과제로 처리하라! 159 2022.09.02
[공동성명서] 비상식과 불공정이 난무하는 양자토론, 명백한 ‘갑질’이다! 528 2022.01.18
[공동성명서] 오만과 무지로 점철된 언론관, 위험한 것은 윤석열 후보 당신이다. 435 2022.02.15
[공동성명서] 윤석열 대통령은 반헌법적 언론탄압 즉각 중단하라 file 600 2022.11.10
[공동성명서] 윤석열 인수위와 양대 정당은 공영방송에 대한 부당한 기득권을 이제 그만 내려놓으라. 407 2022.03.28
[공동성명서] 취재 제한 철회 없는 순방 강행, 끝까지 책임을 묻겠다. 397 2022.11.11
[방송언론단체 공동성명] 쿠팡은 ‘노동인권 보도’ 봉쇄소송을 당장 멈춰라! 432 2021.04.12
[성명]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지명은 즉각 철회되어야 한다!! 190 2023.07.28
[성명서] KBS MBC 양대 공영방송의 총파업을 지지한다 file 961 2017.09.08
[성명서] SBS뉴스의 공익성과 공정성을 흔드는 ‘영상저널리즘말살’ 졸속조직개편 철회하라!! 587 2023.07.05
[성명서] 경영진과 방통위의 잘못으로 생존의 벼랑 끝에 선 MBN구성원들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735 2022.11.24
[성명서] 국회는 <공영방송법 개정안>의 빠른 처리를 통해 공영방송을 국민의 방송으로 바로 세우는 데, 최선을 다하라! 437 2022.04.28
[성명서] 국회의장의 영상취재 통제를 반대한다. file 749 2019.01.04
[성명서] 남북 정상 환담 중 비속어 논란, 진상규명을 촉구한다. file 1067 2018.09.2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