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543 추천 수 0 댓글 0
Atachment
첨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Get out, Get out“ , “ Everybody Get out”

짚차를 타고 닫힌 목장문을 통과하려던 순간이었다.
느닷없는 총소리와 함께 복면을 한 납치범들이 나타난 것이다.
총소리에 놀란 우리는 한사람씩 차에서 끌려 내려와 땅바닥에 패대기 쳐졌다.
땅바닥에 엎어지자마자 얼굴에는 아무것도 볼 수 없는 복면이 씌워졌고 순간 긴장감이 감돌았다.

이어서 머리에 총구가 닿는 느낌이 들더니 납치범들이 온몸을 수색하기 시작하고
몸에 지니고 있던 시계며 지갑이며 모든 물건들을 빼앗아 가는 것이 느껴졌다.
복면에 목이 조여오고, 앞은 보이지 않고 얼굴에는 땀방울이 맺히기 시작했다.
숨을 제대로 쉴수 없어 답답한 순간.
얼마나 시간이 흘렀을까 이번에는 이리 저리 끌고 다니기 시작했다.

이것이 일명 인질로 납치되는 상황 체험 훈련 이었던 것이다.
불과 10여분 이라고 했지만 몇 시간이 흘렀는지 모를 만큼 긴 시간처럼 느껴졌다.
상황연출이 끝난후 교관은 이러한 납치 상황이 벌어진다면
관심을 끄는 과대행동이나 신경질적인 행동, 너무 긴장해 울어 버린다든지, 살려달라고 애원하는 등의 자극적인 행동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처음에는 그저 시키는 대로 행동하고 말도 크게 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
납치범이 묻는 말에는 천천히 또박또박 대답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다음
가능하다면 상대를 자극하지 않는 선에서 동정을 유발하는 말을 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상대방도 인간이라는 것. 또한 행여나 군대와 관련된 물건은 자칫 불필요한 의심을 받게 되기 때문에
소지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충고 했다.

이렇게 시작된 영국 센추리 온의 적대적 험지 교육은
적대적인 지역에서의 위험요소에 대한 군사적 훈련과
다친 사람에 대한 응급조치 훈련이 두 기둥이 되어 진행됐다.
젊은 시절 군대에 입대해 기본적인 군사훈련을 배우고 익힌 우리 한국 남자들에게는
수류탄, 지뢰, 각종 총기 등 다소 낯익은 상황과 무기들, 그리고 훈련 내용들이 많았는데
때로는 내가 영국식 예비군 훈련을 받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었다.
하지만 센추리 온에서는 납치 상황, 인질상황에 대한 실제 체험,
검문소 통과와 차량을 이용한 이동상황에서 유의할 점 등이
실제 체험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이하고도 유용한 경험이었다.
이곳에서 말하듯이 모든 험지 상황이 연습과 똑같이 재현되지는 않겠지만
한번쯤 경험을 통해서 느끼고 대안을 모색해 본다면
비슷한 험지의 위기 상황에서 훨씬 안전한 대처가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뿐만아니라 군사적 훈련과 대응해서 실시한 DR.ABC를 기본으로 하는 응급치료나
심폐소생술 같은 경우 실제처럼 만들어진 시나리오 상황에서 훈련을 하기 때문에
더욱 생생하게 느껴졌고, 도끼를 들고 설쳐대는 교관 때문에 때로는 당황하고,
때로는 실수를 통해 다시 반복하면서 확실히 훈련내용을 익힐 수 있었다.
DR.ABC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다쳐서 쓰러져 있는 경우 생존률을 높이는 방법으로
응급처치의 기본이다.

Danger(to me), Response, Airway, Breathing, Circulation 그리고 Secondary survey 를 단계별로 진행한다.
이러한 응급치료는 센추리 온에서 강조하듯이 꼭 위험지역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도 교통사고나 산악사고 등 각종 사고현장에서 적이 않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센추리 온에서 강조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장에 있는 우리 자신의 안전이다.
때문에 전투지역이나 분쟁지역 같은 곳에서는 취재진 각각의 안전을 담보 할 수 있는
방탄복과 안전모 등 최소한의 안전장비를 갖추고
또한 현장을 잘 아는 안전요원과 함께 취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회사 차원의 지원이 꼭 필요하고
그래야만 취재진 모두의 안전을 조금이나마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대처 방안에 대해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준
이번 센추리 온 교육은 아주 유익한 연수였다고 생각한다.

카메라기자는 현장과 함께 존재한다. 현장이 없다면 카메라기자도 없다.
전쟁지역이든, 재해지역이든, 가장 위험한 현장에 우리가 있다.
때문에 이러한 교육 연수의 기회가 더욱 많은 카메라기자들에게 주어지기를 기대한다.

이동형 YTN 영상취재팀 기자





  1. 영상저작권과 저널리즘 세미나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이중우)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지난 10월 11일 광주 호텔에서 ‘영상 저작권과 저널리즘’ 세미나를 개최했다. 협회는 디지털다매체시대 영상콘텐츠의 유통과 영상 저작권에 대한 이론적 논리를 정립하고 변화하는 방송환...
    Date2013.12.17 Views9775
    Read More
  2. 영국험지 교육, 그 5일(아리랑국제방송 신득수)

    분쟁지역 취재에 자신감을 준 험지교육, 그 5일 기자회보 22호에 실린 '카메라기자 전문화교육 제대로 되어야'라는 김대원기자의 기사를 읽고 여러 회원님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하고 지난해 가을에 받았던 험지교육(Hostile environments & Emergency firs...
    Date2005.10.12 Views9532
    Read More
  3. No Image

    영상저작권과 방송저널리즘 세미나 (국민대 법대 이동기 교수)

    방송저작물에 관한 저작권 정책 방송은 뉴미디어에 의한 새로운 환경변화로 인하여 몇 년전까지만 해도 생각하기 어려운 매체가 현실화되면서, 그 산업의 수요증대와 함께 서비스의 다양화로 인하여 기존 저작권법의 체계에서는 다루기 힘든 많은 쟁점을 양산...
    Date2009.11.26 Views9469
    Read More
  4. No Image

    영상저작권과 방송저널리즘 세미나 (MBC 영상취재부 류종현 부장)

    영상저작물의 저작권과 지상파재송신의 저작권분쟁 영상저작물로서 보도영상물의 저작자는 누구이며, 저작권자는 또 누구인가? 해 묵은 이 논제에 대한 정답은 아직도 대륙법계의 입장과 영미법의 해석이 서로 다르고 각 나라별로도 차이가 있다. 이 논제가 이...
    Date2009.11.26 Views8900
    Read More
  5. 2005 보도영상 포럼, "재난보도 어떻게 할 것인가?"

    제목 없음 2005 지방순회 보도영상 포럼 “재난 보도 어떻게 할 것인가?” 지난 6월 25일 오전 10시에 춘천 세종 호텔에서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가 주최하고 한국언론재단이 후원하는 2005 지방순회 보도영상 포럼이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은 KBS 영상취재팀 ...
    Date2005.06.29 Views8602
    Read More
  6. 신입카메라기자 직무연수 열려

    신입 카메라기자 직무 연수 개최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양용철)는 지난 2월26일부터 27일까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속초연수원에서. 신입 카메라기자 직무 연수를 겸한 전국운영위원 워크샵을 개최했다. 본 연수는 카메라기자의 기본적인 소양과 전문...
    Date2010.03.03 Views8031
    Read More
  7. 대통령선거와 보도영상 세미나 발제문

    본협회는 2007년 9월4일 대통령선거와 보도영상이라는 주제아래 세미나를 개최했습니다. 첨부파일은 발제문입니다. 사회 : 김춘식 한국외대 신문방송과 교수 발제 1) 대선관련 방송뉴스에 대한 수용자 반응 분석 (강형구 성균관대 연구교수) 발제 2) 공정보도...
    Date2007.09.05 Views7325
    Read More
  8. 디지털 방송환경의 변화 세미나 개최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는 지난 5월 28일 그린월드호텔에서 디지털 방송환경의 변화와 보도영상에 관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디지털 방송 환경을 준비중인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 되었으며, 첫 번째로 MBC 이창훈기자가 MBC NPS 시스템에 대하여 ...
    Date2010.06.18 Views7068
    Read More
  9. 방송영상저작권 세미나 발제문

    방송 영상저작권 세미나 발제문은 첨부파일을 다운로드하세요 제목 없음 ‘방송영상 저작물의 저작권 쟁점 세미나’ 및 제21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시상식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전광선)는 오늘(7월 21) 오후 7시, 방송회관 3층 국제회의장에서 ‘방송영...
    Date2008.07.22 Views6853
    Read More
  10. NAB 2010 - 3D 제품과 기술들의 홍수

    지난 4월 12일부터 15일까지 미국 라스베가스 컨벤션센터에서 NAB 2010 전시회가 열렸다. 이번 전시회는 ‘Evolve, Innovate, Grow, Smarter’란 슬로건아래 150여개 나라에서 온 8만 5000여명의 방송.영상,음향 전문가들이 컨퍼런스에 참여했다. 모두 전시회는...
    Date2010.05.14 Views6724
    Read More
  11. 2008 NAB, "지금은 선택의 시간!"

    지금은 선택의 시간! 매년 개최된 NAB SHOW가 미국 라스베가스 컨벤션 센터에서 현지시간 4월 14일부터 17일까지 4일간 열렸다. 올해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의 영향으로 전에 비해 규모가 많이 축소되었다. 그래서인지 이번 NAB SHOW에서는 주목을 ...
    Date2008.06.26 Views6461
    Read More
  12. No Image

    2007 Inter BEE, "HD For All! HD의 감동을 세계에!"

    HD For All! HD의 감동을 세계에! 먼저 몇 년간 배웠던 어줍지 않은 일본어를 인연으로 생각지도 않았던 이번 연수에 참가하게 되어 개인적으로 기쁘게 생각하고 또 세계 방송기기의 흐름에 대해 좀 더 넓은 안목으로 바라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주신 한국...
    Date2008.01.18 Views6347
    Read More
  13. 영상저작권과 방송저널리즘 세미나 (고려대 법대 이대희 교수)

    ● 영상저작물: 연속적인 영상(음의 수반여부는 가리지 아니한다)이 수록된 창작물로서 그 영상을 기계 또는 전자장치에 의하여 재생하여 볼 수 있거나 보고 들을 수 있는 것(2조) → 연속적인 영상을 매개체로 하여 사람의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한 저작물 ● 비...
    Date2009.11.26 Views6299
    Read More
  14. No Image

    영상저작권과 방송저널리즘 세미나 (상명대 저작권보호학과 김종원 교수)

    개인 미디어시대 영상저작물의 저작권 새로운 기술의 발전은 저작권 침해에 대한 우려를 불러오고, 이에 따른 저작권법의 개정이 이루어지는 역사를 반복해오고 있다. 복사기의 발명이 가져온 미국 저작권법의 개정이나 베타맥스 방식의 VCR의 발명으로 인한 ...
    Date2009.11.26 Views6033
    Read More
  15. 지역 카메라기자를 위한 HD 뉴스제작 시스템 교육자료 (SBS 태양식)

    'HD net-work 워크플로어'에 관한 연구
    Date2009.11.26 Views5973
    Read More
  16. <지상중계> 방송 영상 저작물의 저작권 쟁점 세미나

    제목 없음 방송영상 저작물의 저작권 쟁점 세미나 지난달 21일, 방송회관에서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가 주최하고, 한국언론재단이 후원하는 ‘방송영상 저작물의 저작권 쟁점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이번 세미나는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장 전평국 교수가...
    Date2008.08.30 Views5955
    Read More
  17. 지역 카메라기자를 위한 HD 뉴스제작 시스템 교육자료 (KBS 정민욱)'NLE활용'

    뉴스제작과 NLE의 활용
    Date2009.11.26 Views5927
    Read More
  18. 디지털 방송전문인 연수 "보도 영상이란 무엇인가"

    MBC 스포츠 영상부 심승보 부장, KCTA 취재 보도 과정 강의 soo179@netian.com 안양수 기자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방송연수센터에서는 올해 4월부터 12월까지로 예정된 디지털 방송 전문인 연수를 진행하고 있다. 연수 과정은 뉴미디어 과정, HD 제작 과정,...
    Date2005.05.27 Views5903
    Read More
  19. 지역 카메라기자를 위한 HD 뉴스제작 시스템 교육자료 (KBS 정민욱)

    SONY XDCAM 블루레이 방식 HD 카메라의특성
    Date2009.11.26 Views5846
    Read More
  20. No Image

    2009 NAB 참관기 - NLE를 중심으로 (KBS 이상구)

    Non-Linear 편집프로그램은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출시하기보다 tapeless Full HD 카메라 파일을 지원하거나, 네트워킹 랜더링, SD 메모리 카드 사용 등 기존의 성능을 강화하는 추세였다. 지면 관계상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위주로 소개를 한다. 우선...
    Date2009.07.14 Views584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