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43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수정 삭제

No Attached Image

최민재
한국언론재단 연구위원

소재를 표현하는 영상구성방식의 문제점 부각


최근 방송에서는 6mm 디지털 카메라의 보편화와 VJ 프로그램, 시청자 참여 프로그램의 활성화로 아마추어 작가들이나, VJ, 혹은 소규모 독립프로덕션에서 촬영 제작된 영상물을 방송을 통해 많이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추세는 외주제작비율의 확대라는 제도적 지원과 6mm 카메라를 이용한 VJ 프로그램의 인기상승으로 더욱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보도프로그램에 까지 VJ를 활용한 영상취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현상에 대한 사회적 평가는 시청자의 참여나 소재의 다양성확보라는 측면이 부각되면서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외주제작사나 VJ를 활용한 영상제작물이 보도프로그램에서 사용되면서, 기존의 사회적 가치평가와는 상반된 문제점들이 부각되고 있다. 즉, 소재의 다양성과는 별개로 그 소재를 표현하는 영상구성방식의 문제점이 부각되게 된 것이다.

보도화면에서 지켜야 할 형식적인 원칙 붕괴

일반적으로 보도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영상물들은 현실사건에 대한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한 카메라촬영기법이 요구된다. 즉, 클로즈업이나, 급격한 줌·팬 등의 카메라촬영기법을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아야 하고, 급격한 화면편집이나, 재연화면의 사용은 금기시 되고 있다. 이런 원칙들은 시청자가 현실사건을 인지하는데 영상물의 영향을 덜 받게 하기 위한 장치이며, 영상저널리즘에서 반드시 지켜져야 할 사항들이다. 따라서 각 방송사들은 내규 혹은 관례적으로 이러한 가치기준에 입각한 촬영과 편집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앞서 제기한 외주제작사나 VJ를 활용한 보도프로그램 영상의 경우 이러한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 예를 종종 발견하게 된다. 인터뷰 화면을 촬영하는데 헤드룸을 무시할 정도의 지나친 클로즈업 화면을 사용한다든지, 지나치게 운동성이 강조된 화면편집이 이루어진다든지, 몰래카메라 형태의 화면이나, 심지어는 재연화면의 빈번한 등장이 그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보도화면에서 지켜야 할 형식적인 원칙들이 많이 붕괴되고 시청자들의 시각적 감각을 자극하는 영상이미지 구성방식이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현상이 외주제작사나 VJ 들에 의해 만들어진 영상에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방송사 보도국 소속 카메라기자가 촬영·편집한 경우보다 높은 발생빈도를 보여주고 있다.

뉴스영상구성방식의 문제점 개선에 대한 노력 필요


이러한 현상들이 발생하고 있는 직접적인 원인은 보도영상을 공급하는 외부인력에 대한 방송사들의 관리의식 부족에 있다하겠다. 즉, 방송저널리즘이 지켜야 되는 가치, 원칙들에 대한 부분을 외부 영상제작인력들에게 충분히 숙지시키고 이를 지키기 위한 구조적인 노력들이 선행되었어야 한다. 하지만,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우리의 방송보도 환경에 있다 하겠다. 모든 뉴스프로그램들을 대상으로 매분단위로 시청률 결과가 보고되고, 암묵적으로 그것을 기준으로 기자 혹은 카메라기자들에 대한 능력의 평가가 이루어지는 한 방송사 내부인력이나 외부인력 모두 좀 더 자극적인 보도영상을 구성하려는 유혹을 떨쳐버리기 힘들 것이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방송보도영상은 서구유럽과 비교해 볼 때, 숏의 길이가 짧고, 클로즈업이나 급격한 팬, 줌 등을 많이 쓰며, 지나치게 현장화면에 집착하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또한 현장화면에 집착하는 특징으로 인해, 자료화면을 많이 쓰게 되고, 자료화면이 없을 경우 재연화면을 구성하는 경우까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재연화면의 경우 각 방송사들은 사용하지 않기로 결의했으나, 실제 지금까지 변형된 형태의 재연화면은 지상파 3사 모두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결국 이러한 보도영상 구성상의 문제는 뉴스생산 현장의 구조적 문제에 기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언어적 뉴스보도가 사회적 관심이나 비판으로 많이 개선된 것과 마찬가지로, 뉴스영상제작 일선에 있는 저널리스트들은 뉴스영상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확산을 통해 현재 안고 있는 뉴스영상구성방식의 문제점 개선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1. No Image

    줌인 - 극한직업 폴리널리스트 -

    23May
    by
    2017/05/23 Views 43767 
  2. No Image

    활로 찾은 경인 새방송사 설립

    12Sep
    by
    2005/09/12 Views 10711 
  3. No Image

    대전MBC 카메라취재부가 기술국 영상제작부로 통합되는 어이없는 일이

    26Jun
    by
    2008/06/26 Views 10316 
  4. 능동적인 미디어 수용자에 대응하는 유연한 시스템 선보여!

    13Jun
    by
    2006/06/13 Views 10034 
  5. No Image

    MBC뉴스 1차 차세대 HD 카메라, 파나소닉 P2, AJ HPX 2100

    15Jan
    by
    2008/01/15 Views 8966 
  6. No Image

    <영상취재 가이드> 이렇게 해결하세요

    05Aug
    by
    2004/08/05 Views 8621 
  7. No Image

    회원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01Jan
    by
    2005/01/01 Views 8364 
  8. 2008 베이징 올림픽 준비 끝났다

    20Aug
    by
    2008/08/20 Views 8219 
  9. No Image

    보도영상 풀(Pool) 못깨나 안깨나?

    12Oct
    by
    2004/10/12 Views 8156 
  10. 신입 카메라기자 인사말-mbn 보도국 영상취재팀 안석준

    25Apr
    by
    2008/04/25 Views 7964 
  11. 지역사 최초의 여자 카메라기자, 수습을 마치다

    30Sep
    by
    2008/09/30 Views 7723 
  12. No Image

    미래 지향적 가치 추구 진정한 프로로 거듭나는길!

    24Mar
    by
    2005/03/24 Views 7717 
  13. No Image

    뉴스영상의 새로운 위기 - 아마츄어 저널리즘

    24Mar
    by
    2005/03/24 Views 7602 
  14. No Image

    <릴레이 인터뷰>"카메라기자! 정말 좋은 직업입니다"

    13Mar
    by
    2006/03/13 Views 7461 
  15. No Image

    <줌인> 가재는 고래 편

    30Apr
    by
    2008/04/30 Views 7460 
  16. No Image

    HD 디지털 시대의 영상 미학

    11Jan
    by
    2006/01/11 Views 7447 
  17. No Image

    뉴스영상의 원칙 지켜져야

    24Mar
    by TVNEWS
    2005/03/24 Views 7436 
  18. 900 여 일만의 복직, "형, 고마워요!"

    25Jun
    by
    2007/06/25 Views 7430 
  19. No Image

    승부욕과 근성을 가진 카메라기자가 되어라!

    10Nov
    by
    2005/11/10 Views 7358 
  20. No Image

    “공공성 빠진 저급미디어 난립 우려”

    02Jun
    by
    2005/06/02 Views 731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0 Next
/ 4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