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08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No Attached Image

브리핑 제도, 초심으로 돌아가라!

 참여정부 출범 이후 야심차게(?) 진행되고 있는 정부 부처의 브리핑 제도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여전히 높다. 선진 언론 취재 시스템이라는 거창한 제도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그 운영에 많은 허점을 노출시켜 제도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이다.

 미국과 같이 정례 브리핑이 활성화 되어있고, 엄청난 양의 공보 자료를 제공하는 나라의 경우에도 기자들의 개별접촉을 통한 정보 수집이 주요 취재원이 되는데, 지금까지의 참여정부 브리핑 제도는 정부의 정보 비공개라는 좋지 않은 결과만을 양산했다는 평가다. 텅 빈 브리핑실에서 국민의 알권리를 제대로 충족시켜주지도 못하면서 이른바 통합 브리핑 제도라는 시스템 하에 보도 자료를 배포하고 일방적으로 설명하면서, 취재기자들의 불만뿐 아니라 브리핑을 취재하는 영상취재기자까지 김빠지긴 마찬가지이다. 일부 부처에선 일방적인 홍보에만 초점을 맞춰 생색내기용 브리핑이 늘고 있어 기사 감 안되는 품팔이만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각 부처마다 브리핑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부터 차이를 보여 비교가 되고 있다. 예컨대 외교통상부는 정례 브리핑을 통해, 그동안의 굵직한 사안들을 가지고 반기문 장관이 직접 브리핑을 진행하고, 기자들과 일문일답을 하는 등 성의 있는 모습을 보여 좋은 평가를 받지만, 통일부의 경우 정동영 장관 취임 이래 정장관이 한 차례도 정례브리핑에 나온 적이 없으며, 그나마 차관의 정례 브리핑도 한달여만에 재개된 후 부정기적으로 진행되는 등 북핵 문제나 남북대화 재개 등 부처가 담당하고 있는 사안의 중요성에 비춰 볼 때 많은 문제를 노출시키고 있다.

 취재를 위해 취재원을 만나고, 제대로 된 내용을 심도 있게 보도하는 것은 기자들의 당연한 권리이자 의무이다. 최근 불거져 나오고 있는 유전사업 비리와 행담도 개발사업 의혹 같은 국정운영 시스템의 파행은 정부의 감추기 식 공급자 위주의 정책홍보의 난맥상을 보여준 다. 이제는 정부가 초심으로 돌아가 무성의와 권위주의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진실을 밝히려는 적극적인 의지와 아울러 그 취지에 걸 맞는 적극적인 취재 협조의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다.

김태원 기자 taewoen@arirangtv.com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문제 발언 취재, 보도한 MBC 영상기자, 취재기자에 협박편지도 file 2022.11.02 219
나준영 MBC영상기자, 제28대 한국영상기자협회 회장 선출 file 2023.03.03 218
코로나19, 언론사도 못 피해가…CBS, 언론사 최초 ‘셧다운’되기도 file 2020.09.10 215
공영방송 지배구조개선 법안 발의 국회 빠른 입법처리로, 공영방송 국민의 품으로 돌려줘야 file 2022.05.03 211
‘함께 모색하는 영상기자의 발전’ 주제로 file 2022.08.31 210
대통령실이 빼든 KBS 수신료 분리 징수…“방송 장악’노골화” 반발 file 2023.04.26 196
전범국 독일과 일본은 무엇이 다른가 file 2024.03.04 189
방통위, ‘자본금 편법 충당’ MBN 최종 의결 앞둬 file 2020.11.11 184
서울, 광주서 2022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자 초청 특별 행사 열려 file 2022.11.02 179
수상자들, 김진표 국회의장 격려간담회, 5.18민주묘역 헌화행사 file 2022.11.02 178
2022년 제주·대전충남지역 영상보도, 작품이 되고 역사가 되다. file 2023.03.03 173
MBC, 안형준 신임 사장… 보도의 독립성과 공정성, 사내 형평인사, 지역MBC, 중소제작자와의 협력과 상생 공약 2023.03.03 171
아소타로 일본 자민당 부총재의 역사인식 file 2023.06.29 170
협회, 11월 27일 'AI 저널리즘의 미래와 취재제작윤리' 세미나 개최 file 2023.12.21 168
'2023 전국신입주니어영상기자연수' 11월 30일부터 2박 3일간 강릉서 열려 file 2023.12.21 164
‘대통령 비속어 논란’ 국내외에서 언론자유 퇴행 우려 2022.11.02 151
현장취재진 위험으로 내모는 KBS의 인건비 감축 국가재난방송, 공영방송보도기능 위축 불가피 2024.02.29 149
윤 대통령, 금명간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할 듯 file 2023.06.29 148
“언론 자유 중요성, 진실 보도 당위성을 스스로 돌아보는 기회 될 것” file 2023.12.21 142
JTBC, 11월 5일까지 희망퇴직 접수… “적자 책임 직원에게 돌리나” 구성원 강력 반발 file 2023.11.15 138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Next
/ 4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