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외신이 본 한국의 카메라기자
조회 수 635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제목 없음 외신이 본 한국의 카메라 기자


日本放送協會(NHK) 서울지국 카메라 기자 이정우


카메라 기자의 역할은 세상에서 일어난 일들을 영상화(映像化) 하는 것.

기본적으로 사명감을 갖고 “보도에 관련된 영상은 모두 취재한다.” 라는 점에서 일본의 카메라 기자나 한국의 카메라 기자 모두 같은 일을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단, 한국의 카메라 기자들의 경우 자신의 취재물을 직접 영상편집을 한다는 것. 반면 일본의 카메라 기자들의 경우, 기본적인 영상취재 업무 이외에 손수 아이템을 발굴해서 취재 및 촬영을 하고, 구성과 멘트를 준비하여 직접 리포팅을 한다는 것이 양국 카메라 기자들의 다른 점일 것이다.


일본방송협회(NHK) 서울지국의 카메라 기자로서 현장에서 마주친 한국의 카메라 기자들의 모습은 대단히 열정이다. 전세계 어디에 내놔도 손색이 없는 취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몇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 매우 중요한 사안이고, 일본을 비롯해 서구 유수의 방송사에서는 너무나 당연시 하는 원칙들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취재 및 제작 여건이 열악한 탓인지 아직은 개선의 여지가 보이지 않는 것 같다.


첫째, 부실한 Audio Pick up에 대해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신문사의 사진 기자와 달리 방송 카메라 기자의 어려움은 취재할 때 영상뿐만 아니라 오디오 수록에도 충분히 신경을 써야 한다는 점이다. 한국의 카메라 기자들은 인터뷰를 포함해서 현장음의 중요성을 너무 간과하는 듯한 인상을 받곤 한다. NHK의 경우, 영상 취재 시 오디오맨이 항상 분배기에 붐 마이크를 연결하여 CH-1, CH-2 등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 가며 현장음을 확실하게 수록한다. 오디오맨이 장비 이동뿐만 아니라 진정한 오디오맨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일부 검찰 취재 등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붐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영상과 음향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야 좋은 취재물이 만들어지는 만큼 영상 수록뿐만 아니라 오디오 수록에도 충분히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지금부터라도 장비 면에 좀 더 투자를 하여 카메라 기자 관리 하에 오디오맨이 분배기와 붐 마이크를 활용하여 적절하고 확실한 오디오가 수록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될 때라고 본다.

둘째, 취재 원본 관리에 좀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의 뉴스를 보다 보면 화면에서 적지 않은 스크래치를 발견할 수 있다. 최근에 수록된 영상임에도 불구하고 스크래치가 생겼다는 것은 그만큼 원본 및 자료 관리가 부실했다는 이야기이다.

NHK에서는 취재 원본이 도착하면 우선 그 원본을 사용하여 편집을 하고, 1년여 이상 자료로써 취재 원본을 보관한다. 약 1년이 지나게 되면 스케치와 중요한 녹취 부분을 여유 있게 편집을 해서 자료로 보관을 하는 형태이다.

한국에서는 자료 이관이 이루어지게 되면 인터뷰를 비롯한 녹취 부분이 생략된 채 스케치 화면만 자료 입력이 되고, 바로 재활용되는 경우가 많다고 들었지만, 어렵게 취재한 화면과 인터뷰 등이 깨끗하게 다시 방송이 될 수 있도록 자료 이관과 보관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셋째, 공동 취재에 있어서 포토 라인 준수 및 POOL 문제이다.


공동 취재 현장에 있어서 취재원 보호와 질서 있는 취재를 하기 위해 포토 라인이 설정되는 경우가 있다. 한국에서는 취재진들이 너무 열정적(?)인 나머지 애써 설정된 포토 라인이 취재원의 등장과 동시에 무너지는 상황을 종종 보곤 한다. 일본에서는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일단 포토 라인을 정해 놓고 사진 기자들과 카메라 기자들이 한국처럼 취재원과 정면(正面)으로 서지 않고 비스듬히 사선(斜線)으로 줄을 선다. 사선(斜線)으로 줄을 서기 때문에 서로 엉키지 않고 각각 공평한 앵글로 취재원을 따라가는 원리이다.


아울러 일본의 방송사들은 Position Pool을 하지 않는다. 만약 취재 반경이 너무 넓어서 카메라 기자 혼자서 모두 커버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한국처럼 각 사 한 명씩 포지션을 나눠서 취재하기보다는 각자 데스크에 보고를 하여 본사에서 추가 인원을 배정 받는다. 정말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전통적으로 POOL이란 것을 터부시하는 경향이 있다. POOL은 각 사 고유의 영상 색깔을 부정하는 것이며, 자산으로서의 가치도 부정하는 행위라고 보는 시각이 뿌리 깊게 남아있는 것 같다.


넷째, 자신이 기획한 아이템을 리포팅할 수 있어야 한다.


일본의 경우, NHK의 카메라 기자는 보도국 영상센터 영상취재부 소속이다. 한국과 달리 기본적인 영상취재 업무 이외에 직접 리포팅을 하기도 한다. 자신이 직접 아이템을 발굴해서 취재 및 촬영을 하고, 이것에 구성과 멘트를 첨가하여 손수 리포팅을 한다. 때로는 항공 취재 시 헬기에 부착된 카메라로 촬영을 하면서 핸즈 프리에 연결된 마이크로 직접 중계를 하기도 한다. 주로 대형 사건 사고 발생 시 하는 일이다. 한국의 경우, 카메라 기자가 직접 기획하여 제작할 수 있는 코너는 KBS 뉴스광장의 ‘광장 영상’과 MBC 뉴스데스크의 ‘데스크 영상’ 정도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일본에서는 직종간 이동이 빈번하다. 카메라 기자에서 ND(뉴스 디렉터; 데스크 역할을 하는 PD)로, TD(테크니컬 디렉터; 기술 감독)로, 또는 취재 기자로 활약하기도 한다. 이것은 그만큼 제작 능력이 있다는 것인데, ‘멀티 플레이어’로 서 활약할 수 있다는 것은 본인에게나 조직에게나 상당히 이득이 된다고 본다. NHK는 전세계 3 곳의 해외 총국(베이징, 뉴욕, 런던)과 30여 곳의 해외 지국 및 산하 지국(서울, 홍콩, 워싱턴, 베를린, 타이페이, 파리, 모스크바, 테헤란, 방콕, 시드니, 상해 등)을 운용 중인데, 그 중 상해 지국장으로 카메라 기자가 발탁된 적도 있다. 만약 그 카메라 기자에게 기본적인 영상취재 능력이외에 아이템 발굴 및 선정, 기사 작성 등 취재 능력이 없었다면 지국장으로서 발탁은 무리였을 것이다.


한국의 카메라 기자들도 영상편집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살려, 진정한 멀티 플레이어로서 거듭나는 계기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정리: 한상윤 기자 hakata@kbs.co.kr)



  1. 일본의 두 카메라기자를 보고

    전문성 확보의 노력은 평생을 가고, 시대를 잇는다! - 일본의 두 카메라기자를 보고 얼마전 NHK연수센터. 전국의 케이블TV 카메라기자와 영상담당자를 대상으로 HD촬영, 편집교육이 실시 됐다. 일본에서 케이블TV는 한국의 SO같은 역할을 하면서 NHK와 연계되...
    Date2005.11.11 Views6571
    Read More
  2. No Image

    네티즌 C모씨가 영상을 사용하는 방식

    네티즌 C모씨가 영상을 사용하는 방식 천형석 야후!코리아 미디어본부장 前 KBS/YTN 기자 C모씨는 네티즌이라 자처하기엔 쑥스러운 나이가 되어버렸지만 여전히 하루 몇시간씩 사이버공간을 떠다니는 헤비유저입니다. 그래도 주말에는 간혹 극장을 찾곤 합니다...
    Date2005.11.10 Views7180
    Read More
  3. No Image

    승부욕과 근성을 가진 카메라기자가 되어라!

    이어지는 인터뷰 - KBS 대전총국 윤 정 부장 1. 마산MBC의 정견 부국장과는 어떤 인연인지 마산 MBC 정견 부국장과의 인연은 내가 KBS 창원에 근무할 때, 마산 MBC에 계셨던, 이태종 부국장을 만나면서 시작되었다. 그 때가 1986년이었을 것이다. 이태종 부국...
    Date2005.11.10 Views7475
    Read More
  4. No Image

    돌발영상에 바란다

    <줌 인> 돌발영상은 계속되어야 한다. 한국 뉴스에서 돌발영상이 처음 등장했을 때 그 참신함은 정말 대단했다. 누구도 예측할 수 없었던 역사 현장의 뒷이야기에 모든 시청자들이 웃고 또 즐거워했으며 새로운 정보를 얻는 기쁨 또한 컸다. 타 방송사와 인터...
    Date2005.10.12 Views6036
    Read More
  5. No Image

    EBS뉴스의 역할과 필요성

    EBS뉴스의 역할과 필요성 EBS뉴스제작은 지난 1990년12월27일 교육방송 개국과 더불어 임시로 편성된 (TV게시판) 이 사전녹화로 제작되어12월29일 방송됨으로서 최초로 시작되었다. 본격적인 뉴스프로그램 시작은 1991년3월1일 5분짜리 프로그램으로 정규편성...
    Date2005.10.12 Views6868
    Read More
  6. 카메라기자와 불안 장애

    건강정보 - 카메라기자와 불안장애>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신경정신과 우종민 교수 최근 수년 사이에 나는 카메라기자님들과 접할 기회가 늘어났다. 덕분에 기자들의 생활에 대해 조금은 이해를 하게 되었다. 나는 전공이 스트레스, 불안, 우울 이런 것인데, ...
    Date2005.10.12 Views6489
    Read More
  7. No Image

    카메라기자 전문화 교육 제대로 되어야

    제목 없음 카메라기자 전문화 교육 제대로 되어야 카메라기자가 입사하여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이 카메라를 운용하는 방법이다. 카메라기자들은 처음 TV뉴스가 시작된 이래로 필름 카메라로부터 U-메틱, 베타캠, SX 그리고 HD카메라까지 다양하게 변하는 장비...
    Date2005.09.12 Views6486
    Read More
  8. No Image

    활로 찾은 경인 새방송사 설립

    제목 없음 경인 새방송 설립 어떻게 되어가나? 지난달 31일, 방송위원회의 양휘부 위원이 ‘경인지역 새 방송 설립 무기한 연기’를 언급했다. 양 위원은 경인방송 법인이 재허가 취소에 대해 행정소송을 제기한 상태이기 때문에 소송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공모...
    Date2005.09.12 Views10918
    Read More
  9. No Image

    풀의 딜레마를 극복하자!

    제목 없음 <사 설> 풀의 딜레마를 극복하자 지난 몇 년간 우리 협회신문이나 여러 연구논문을 통해 풀이 가진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해 많은 글들이 있었다. 각 방송사 간의 특징 있는 영상을 부정해 버리고, 취재 경쟁을 없애는 것은 일에 대한 의욕을 감소...
    Date2005.09.12 Views6218
    Read More
  10. No Image

    디지털 시대, 새로운 도전을 위하여!

    제목 없음 디지털 시대, 카메라기자의 새로운 도전을 위하여 디지털 시대가 성큼 다가오면서, 우리의 방송 환경에도 전방위적인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첨단 디지털 기술을 토대로 전개되고 있는 최근의 매체 환경을 특징짓는 키워드는 크게 네 가지로 요...
    Date2005.09.12 Views5732
    Read More
  11. No Image

    HD 방송에 대비한 16:9 영상 표준을 준비해야

    제목 없음 HD 방송에 대비한 16:9 영상 표준을 마련해야 현재 한국의 공중파 방송은 기본적으로 4:3 비율로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고화질의 HD 방송으로 전환되면 이 방송 비율은 16:9로 바뀌게 된다. 아직까지는 4:3의 기존 프로그램이 대부분을 ...
    Date2005.09.12 Views6050
    Read More
  12. No Image

    외신의 테러 뉴스가 주는 교훈

    <사 설> 외신의 테러뉴스가 주는 교훈 미국이 이라크를 침공한 이후 외신뉴스의 고정코너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뉴스가 바로 테러관련 소식이다. 게다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관계에서도 테러소식은 역시 단연 1위다. 자살폭탄테러, 총기 난사, 대중교통...
    Date2005.08.11 Views5821
    Read More
  13. No Image

    <칼럼>6mm 디지털 카메라와 방송

    6mm 디지털 카메라와 방송 방송 프로그램은 문화 상품임과 동시에 한 사회의 문화적 수준과 질을 표현하는 문화적 컨텐츠의 대표적인 유형이다. 이런 방송 프로그램의 질 향상은 방송발전을 도모하고 공공의 이익을 제고하며 궁극적으로 시청자의 방송 복지 ...
    Date2005.08.11 Views6624
    Read More
  14. No Image

    뉴욕타임즈의 여기자 쥬디스 밀러, 취재원 공개 대신 감옥행

    ■ 취재원 공개 대신 감옥행 취재원 공개를 거부했던 뉴욕타임즈의 여기자 쥬디스 밀러가 지난 6일(미국 시간) 구속됐다. 범죄혐의는 법정모독죄, 취재원을 밝히라는 법원의 요구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취재원 보호라는 직업윤리를 지키는 대신 감옥행을 선택한...
    Date2005.07.12 Views6611
    Read More
  15. No Image

    국민의 알권리 붕괴 - 무너지는 포토라인

    무너지는 포토라인 "교육 안 된 일부 언론사에 의해 공항 포토라인 붕괴" 우리나라의 포토라인은 94년 12월, 본 협회와 사진기자협회에 의해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언론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라는 운영선포를 통해 발효 되었다. 상호간의 불...
    Date2005.07.11 Views6153
    Read More
  16. No Image

    위기의 카메라기자

    <사 설> 위기의 카메라기자 최근 들어 각 방송사들의 구조조정설이 터져나오면서 시절이 하수상하다. KBS의 팀제 개편, MBC의 구조조정, SBS의 인원 동결 등 둘러보아 시야에 잡히는 것은 내내 악재들로 보인다. 위기인가 기회인가. 천지가 개벽을 하더라도 현...
    Date2005.07.11 Views6338
    Read More
  17. 외신이 본 한국의 카메라기자

    제목 없음 외신이 본 한국의 카메라 기자 日本放送協會(NHK) 서울지국 카메라 기자 이정우 카메라 기자의 역할은 세상에서 일어난 일들을 영상화(映像化) 하는 것. 기본적으로 사명감을 갖고 “보도에 관련된 영상은 모두 취재한다.” 라는 점에서 일본의 카메...
    Date2005.07.11 Views6359
    Read More
  18. No Image

    TV 뉴스, 재연 영상 사용 자제해야 한다!

    <외부기고> TV뉴스, 재연 영상 사용 자제해야 한다! “경기도 연천군 최전방 비무장지대 대북감시소초. 새벽 2시 반 지하 벙커로 돼 있는 단층건물 내무실에 김 모 일병이 들어옵니다. 내무실에서 병사 25명이 자고 있었습니다. 김일병은 상병들이 자고 있는 침...
    Date2005.07.11 Views6051
    Read More
  19. No Image

    나의 5개월 간의 수습 생활

    <수습을 마치고> 나의 5개월간의 수습 생활 “나의 목표는 시청자 앞에 부끄럽지 않은 카메라기자 이상은” ‘이상은, 빨리 편집팀으로 튀어와!’ 카메라 기자가 된 지 5개월 남짓, 여전히 내 온몸을 식은땀으로 흠뻑 젖게 만드는 가장 두려운 말이다. 19층에 있...
    Date2005.07.11 Views6070
    Read More
  20. No Image

    울산 건설플랜트 노조 파업 현장에서

    건설플랜트 노조 파업의 현장에서 지난 5월 6일, 울산 건설플랜트 노조의 시위와 관련해 취재를 하라는 데스크의 지시를 받고, 나는 현장으로 출발하기 전부터 좀 걱정이 되었다. 돌과 화염병, 쇠파이프 등이 난무하는 현장에서 실감나는 화면을 확보하려면 ...
    Date2005.06.13 Views597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Next
/ 41
CLOSE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