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KCTV제주방송 김용민

<1. 보이지 않는 공포, 항공 미세먼지>



<2. 심각한 선박 미세먼지 여전히 사각지대>



제105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수상소감


무심히 제주 하늘 위 비행기를 보다 깨달은 항공미세먼지의 심각성


KCTV제주방송 <보이지 않는 공포, 항공-선박 미세먼지 연속보도>

 




 제주공항 계류장에서 이륙하는 비행기에서 뿜어져 나오는 매연을 보았습니다. 심한 냄새와 뿌연 연기를 흩날리며 상공으로 날아간 비행기를 바라보며 문득, 비행기에서 배출되는 매연이 얼마나 되는지 어떤 물질이 배출되고 있는지 궁금해져 취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바쁜 노선은 '제주-김포' 노선입니다. 하루 평균 5백여 대의 비행기가 100초에 한대꼴로 이착륙 합니다. 어느 순간 익숙해져버린 계류장에서의 비행기 탑승과 버스이동... 누구나 냄새와 불쾌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하지만 항공 매연 실태에 대해서는 모릅니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 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탄소 중립을 지향하며 자동차와 발전소 등 여러 오염원에 대한 제제를 가하고 있지만, 항공기는 배출가스 기준조차 마련돼 있지 않을 정도로 환경 오염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습니다. 과연 제주에서 발생하는 항공, 선박미세먼지 실태는 어떤지 구체적인 데이터 분석과 실제 사례를 영상을 통해서 심층 취재했습니다


 항공, 선박 미세먼지 실태를 취재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필요했던 것은 실제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였습니다. 하지만 공항, 국토부, 항공유 제조사 등 직접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는 기업을 상대로 관련 자료를 확보하기에는 취재 장벽이 높았습니다. 단기간에 취재가 불가능했던 이유이기도 합니다. 정유사 물질보고서 등 성분자료를 어렵게 입수해 과연 현재 배출되고 있는 오염물질이 제주환경과 도민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검증에 검증을 거쳐야 했습니다. 지역에서는 한 번도 시도되지 않았던 조사인 만큼 인과관계 확인과 환경, 법률, 의학 등 관련 분야의 여러 전문가의 자문을 받았습니다 


 항공기미세먼지 영상은 매일 아침06시부터 09시까지  비행기와 역광을 만들어 가면서 촬영했습니다 역광에 보다 많은 먼지를 촬영할 수 있어서 아침일찍 촬영했습니다. 항공기미세먼지 촬영에 가장바쁜 노선을 표현하기 위해서 계류장전체를 사진(7680-4320)으로 타입랩스촬영을 했습니다


 이륙과 착륙 바쁘게 움직이는 계류장모습을 전체촬영 후 크롭하여 사용했습니다 7680-4320 사이즈를 1920-1080사이즈에 4가지 그림으로 크롭해 사용했습니다 동시에 이륙과 착륙장면을 촬영할 수 있었습니다


 선박미세먼지 영상은 주로 17시부터 19시에 집중적으로 촬영했습니다. 황산화물이 들어간 연로를 사용하는 선박은 배출가스가 어둡기 때문에 색을 잘표현하기 위해서 순광과 사광촬영을 주로했습니다. 비교적 정확한 결과물을 보여줘 보도영상에 힘을 줄 수 있었습니다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미세먼지가 얼마나 많은 건지 야간에 직접 촬영을 통해 학인했습니다 직진성이 매우강한 조명을 활용해 미세먼지가 바람을 타고 떠다니는 모습을 촬영해 심각성을 보도했습니다.


 이와 덧붙여, 좋은 평가를 해주신 심사위원장님을 비롯한 심사위원님들, 취재를 위해 밤낮없이 같이해준 문수희 기자에 영광을 돌리며 마지막으로 이번 취재에서 하고 싶었던 말을 남겨봅니다 국제민간항공기구는 현재 추세라면 오는 2040년에는 항공기 탄소배출량이 지금보다 4배 이상 늘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모든 항공사가 제주에서 최고의 호황기를 누리고 있지만 정작 제주의 환경과 도민의 건강은 뒷전이 되고 있습니다. 항공사는 항공유 물질보고서가 있습니다 국민건강과 직결된 사안인 만큼 정확한 정보 공개를 바라 봅니다.



김용민 / KCTV제주방송

 




List of Articles
날짜 제목 조회 수
2024.03.25 제115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뉴스특종단독보도부문 - MBN 강두민, 안지훈 <연평도 앞 바다, 북한 포탄 낙하지점 물기둥 단독촬영,보도> file 147
2023.05.26 제110회 이달의영상기자상 국제, 통일보도부문 - SBS 최대웅 <베트남전 한국군 민간인 학살 기획보도> file 151
2023.11.22 제113회 이달의영상기자상 국제, 통일보도부문 - JTBC 황현우 <하마스 가장 먼저 침투한 가자지구 코앞 마을 가보니...> file 156
2023.05.26 제110회 이달의영상기자상 인권, 노동보도부문 - KBS제주 고진현 <절대 극비> file 162
2023.05.26 제110회 이달의영상기자상 지역뉴스특종단독보도부문 - 목포MBC 홍경석, 노영일 <'700억 전남도청 사무관리비 예산, 은밀한 관행' 연속단독보도> file 167
2023.07.24 제111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SBS 김승태 - <마약 팬데믹 골든타임은 있다> file 173
2023.11.22 제113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보도특집다큐부문 - KBS청주 김현기 <지역특집다큐 - 로드투테이블> file 177
2023.05.26 제110회 이달의영상기자상 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 SBS 하륭 <작전명 '모차르트'..SK의 수상한 파트너> file 208
2023.05.26 제110회 이달의영상기자상 멀티보도부문 - MBC 손지윤 <[현장36.5] 응급구조사가 된 세월호 생존 학생> file 220
2023.01.30 제108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환경보도부문 (공동수상) - KBS부산 이한범, 장준영 <KBS특별기획 2부작 아포리아> file 249
2023.01.30 제108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환경보도부문 (공동수상 ) - MBC 장영근 <[물이 밀려온다] 인도네시아 해수면 상승 기후위기 연속보도> file 256
2022.05.27 제104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국제,통일보도부문 SBS 김용우 <‘우크라이나 전쟁’ 우크라이나, 트란스니스트리아 현장 취재> file 261
2023.11.22 제113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특종단독보도부문 KBS제주 강재윤- <탐사K> 청정제주, 공공 하수슬러지 처리의 민낯 연속보도 file 272
2024.01.29 제114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 YTN 강영관 <소년들은 왜 사라졌는가? '선감학원'> file 283
2022.11.25 제107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특종단독보도'부문 목포MBC 노영일 허술한 경찰 야간당직 체계 연속보도 file 286
2023.01.30 제108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새로운 시선'부문 JTBC 이주원 <"누구나 깨끗한 집"...윤 정부 '주거 사다리' 약속 지켜졌나 file 292
2023.01.30 제108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보도특집다큐'부문 MBC강원영동 김창조 <여음(餘音)아직, 남겨진 소리> file 306
2022.07.22 제105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인권,노동보도부문 KBS대전 심각현 <달그릇 2부작, 나는 일제강제동원 생존자입니다> file 309
2023.03.23 제109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인권, 노동보도부문 - KBS대전 심각현 <외면의 기록, 생존자> file 317
2023.01.30 제108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멀티보도부문 KBS청주 강사완 <지방과 청년, 회사 밖으로 출근> file 32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