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KNN 전재현 

<위대한 유산 100경>



1. 위대한 유산 100경_가도 가도 푸른 품_남해 고사리 밭




2. 위대한 유산 100경_하늘에서 본 낙동강 오디세이



제105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수상소감


1인 제작시스템으로 3년간 기록한 경남의 산하 100경





 사실, 영상기자라 함은 현장에선 취재기자, 취재원등의 움직임을 지시하는 PD의 역할도 하고, 편집실에선, 시청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편집하는 일을 늘 해왔기 때문에, 3년 전 이 프로그램을 처음 시작할 때는 좀 쉽게 생각한 부분도 있었습니다. 주 1회 편성된 7∼8분짜리 100회의 영상이 주가 되는 미니다큐,..

 ‘뭐, 드론 좀 쓰고, 예쁘게 촬영해서, 길게, 길게 가면 되겠지.’라고 생각했는데...

 촬영과 편집 말고는 내가 잘 하는 게 없다는 것을 이번 일을 하면서 느꼈습니다. 아니. 촬영마저도 어려움이었습니다. 입사 이후 ENG카메라만 거의 사용해왔는데, 익숙하지 않은 소니 미러리스카메라는 촬영을 더디게 만들었고, UHD송출을 기본으로 제작하다보니, 1박2일 촬영 후 드론, 타임랩스 등 400기가이상의 데이터 용량과 편집기의 버벅거림은 베타캠과 HD제작환경만 경험해본 제게는 예상치 못한 복병이 되었습니다. 풍경이 주가 되는 영상이기에 날씨의 도움을 잘 받아야 가능한 촬영들이 너무나 많았고, 기본적으로 일출과 일몰 등은 그 시간에 가보지 않고서는 어떻게 확인할 방법이 없으니, 업무시간은 길어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장마기간은 날씨의 도움을 받기가 정말 힘들었고, 결국, 비가 내려도, 어색하지 않을 아이템 찾는 것부터가 어려움의 시작이었습니다.

 영상기자일을 하면서, 일 때문에 종편실과 음향편집실에 가 본건 100경작업을 하면서가 처음이었습니다. 자막에 사용할 글자체는 왜 그리도 많은지... 한 번도 결정해 보지 않은 것을 결정하는 일이 너무나 많았습니다. 100경 초기에는 부산연극배우나, 자사 아나운서의 목소리로 내레이션을 입혔는데, 목소리에 대한 얘기가 많아서, 결국, 서울쪽 성우에 서울스튜디오를 사용하게 됐는데, 이때 서울스튜디오에선 대본 한번 보낼 때, 2회분을 올려달라고 요구해서, 이때부터 항상 시간에 쫓겨서 제작하게 됐습니다.

 100경을 제작하면서, 왜 혼자만, 제작을 해야하지, 그냥 팀원들이 돌아가면서, 하면 좋을텐데라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100경을 다 끝낸 지금 생각해보면, 촬영과 편집만으로 끝나는 일이 아니고, 날씨, 스케줄정리, 촬영장비, 편집장비, 제작비, 제작비정산까지... 팀원들이 돌아가면서, 제작하기에는 무리겠구나, 생각도 했습니다.

 1인 제작시스템의 장점으로 일사분란한 작업도 있지만, 제작비측면에서도 상당히 장점이 있다. 기본적으로 일반 제작환경에 비해 적은 인력으로 운영되며, 촬영에 특화된 영상기자가 영상을 촬영하다보니, 드론, 짐벌, 미니지미집 등의 장비를 외주업체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운용가능 해서, 비슷한 길이의 미니다큐에 비해 절반이상 제작비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 뉴스를 제작 할 때는, 사실 제작비를 한번도 생각해보적도 없는데, 잠시나마, 제작비를 받아서, 일을 하다 보니 이런 생각도 해봤습니다.
100경의 경우, 드론으로 촬영한 항공 샷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다른 프로그램 보다는 초상권에선 수월했지만, 매주 원스톱에 드론촬영허가와, 군부대 연락으로 또, 다른 애로사항이 있었습니다. 특히, 부대마다 다른 대응으로 어떤 부대는 직접 관계자가 현장에 나오기도 하고, 촬영한 그림만 보내 달라 또는 전화도 안 받는 부대까지...

 상하고 친하지 않는 제가 이달의 영상기자상을 받아서 기쁜 건, 같은 일을 하는 분들이 인정해줘서 일겁니다. 아마도 상의 의미는 ‘혼자 제작한다고, 정말 수고 많았어!’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멋진 글로 100경을 돋보이게 해준, 박선민작가와 현장에서 같이 고생한 김민석 조연출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


전재현 / KNN




List of Articles
날짜 제목 조회 수
2018.04.03 78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뉴스부문 YTN 최계영 기자 - 제천시 스포츠센터 화재 file 893
2018.03.31 78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기획보도부문 대구 MBC 마승락 기자 - '인구지진, 당신의 고향이 사라진다' file 801
2017.11.22 76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뉴스부문 MBC경남 김태현 기자 - 민간 구급차 불법 영업 실태 연속보도 file 1071
2017.10.11 제75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뉴스부문 SBS 김태훈, 정상보 기자 - 무명 발레리나의 이야기 file 2349
2017.06.20 제74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뉴스부문 SBS 제 일 <박근혜 전 대통령 청와대 퇴거> file 1046
2017.06.20 제74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보도 부문 MBN 부산 정운호 <레베이트 장부 단독입수> file 1007
2017.06.20 제74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기획부문 KBS 대전총국 심각현, 강욱현 시사기획 창<지방청년 분투기> file 886
2017.05.15 제73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기획보도 부문 SBS 김태훈, 김대철, 주범, 정상보<모두 잠든 후에, 스키장> file 1370
2017.05.15 제73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보도 부문 TBC 김남용 <잠입취재- 정신병원에서 무슨일이> file 1014
2017.05.15 제72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보도 KBS안동 김동욱<선비정신의 정수 ‘편액’> file 1172
2017.05.15 제72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기획보도OBS 기경호, 최백진 <세월호 그후, 트라우마는 누구의 것인가> file 868
2017.05.15 제72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기획보도 여수MBC 박찬호 <순천만 그 생명의 빛깔> file 961
2017.05.15 제71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뉴스부문 SBS 이병주 김태훈 <돈화문 국악당> file 754
2017.05.15 제71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기획보도 대구MBC 장성태 <수달도시 2부작> file 859
2017.05.15 제70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뉴스부문 KBS 윤대민, 권순두 <도난차 해외 밀수출 연속보도> file 879
2017.05.15 제70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보도 부문 MBN 진은석 <고달픈 아파트 경비원> file 882
2017.05.15 제70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기획 부문 KBS 유현우 <인권사각 외화벌이 몽골의 북한여성> file 801
2017.05.15 제69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보도부문 부산MBC 김효섭 <골든타임 사각지대 165> file 820
2017.05.15 제69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보도부문 KNN 육근우 전재현 <오리가족의 부화부터 이사까지> file 845
2017.05.15 제68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지역보도 KBC 박도민<쫓겨나는 황금박쥐> file 73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