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0.12 15:14

돌발영상에 바란다

조회 수 595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No Attached Image

<줌 인>    

돌발영상은 계속되어야 한다.

 한국 뉴스에서 돌발영상이 처음 등장했을 때 그 참신함은 정말 대단했다. 누구도 예측할 수 없었던 역사 현장의 뒷이야기에 모든 시청자들이 웃고 또 즐거워했으며 새로운 정보를 얻는 기쁨 또한 컸다. 타 방송사와 인터넷 매체에서도 이런 형식의 프로그램이 등장한 것을 보면 그 역할은 정말 크다. 그런 돌발영상이 최근에 여러 가지 이유로 의기소침해 있다. 왜 그럴까? 이런 형식의 프로그램도 이제 한물 간 것일까?

 이유야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소재의 편향성이 가장 크다고 본다. 물론 처음의 의도가 그렇지는 않았겠지만 점점 더 정치인들에게 편향된 돌발영상이 늘었고 심지어 일부에서는 당연히 정치인의 모습을 담는 프로그램으로 인식하는 경우도 생겼다. 돌발영상의 묘미는 바로 촌철살인의 편집기법이다. 뉴스라는 극도의 축약식 영상구도에서 벗어나 뉴스 이상의 긴 영상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군상들을 보였기에 시청자들을 끌어들일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뉴스 이상의 모습에서 시청자들을 보다 이끌 수 있는 매력은 결국 정치인으로 국한될 수밖에 없었고 또 보다 희화화된 모습이 더욱 인기를 얻게 되는 유혹에 빠지면서 처음의 의도인 촌철살인에서 재미있는 일화로 변질 되어버린 면이 없지 않다. 일부 언론에서 언급한 것처럼 청와대와 국회 등에서 돌발영상에 대한 풀영상 사용금지를 내세웠을 때 돌발영상의 소재가 떨어져 방송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진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돌발영상은 소재빈곤에서 벗어나야 한다. 다시 말해 정치인을 주로 대상으로 했던 버릇을 버리고 정치를 비롯하여 경제, 사회, 문화의 모든 방면에서 소재를 찾아야 한다. 그래야만 시청자들에게 이 프로그램이 가진 진정한 가치를 전달할 수 있고 사회 다방면에 걸쳐서 관심사항을 넓혀줄 수 있다. 또 세상이 정치인들만 문제 있는 것이 아니고 문제는 모든 분야에서도 똑같이 보여질 수 있다는 것을 알려야 한다.

 또 돌발영상은 희화화의 유혹에서 벗어나 근본적인 문제점을 알리는 노력을 해야 한다. 재미있는 뉴스라는 취지에서 본다면 희화화가 결코 나쁜 것은 아니다. 하지만 희화화는 점점 더 자극적인 것을 원하는 시청자에 맞추기 위해 제작진을 고생시킨다. 결국 취재원을 지나치게 재미있는 존재로 만들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말이다. 뉴스를 재미있게 보는 시청자는 지식적 소득을 바란다. 그러므로 유익한 돌발영상이 재미있는 돌발영상을 대체해야 한다.

 돌발영상의 최근 논란을 만든 것은 풀 영상의 공유 문제였다. 일부 출입처에서 풀 영상의 사용영역에 관한 입장의 차이가 다소 잘못 전달되면서 일부 언론에 기사화 되었고 별 탈 없이 함께 해온 우리 카메라기자들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일마저 벌어진 것이다. 물론 풀 영상에 관한 문제는 카메라기자협회 차원에서 수없이 문제제기를 해왔고 본지에서도 그 문제점의 심각성을 경고해왔다. 하지만 풀 문제가 돌발영상의 문제는 아니다. 돌발영상은 이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는 프로그램이 된 이상 더 발전된 모습으로 앞서 나아가야만 그 이름이 계속되리라 믿는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드론 항공촬영, 개인영상정보보호제도의 법적보호 기준 필요 file 2017.05.22 839
드론 비행관련 안전 교육 및 간담회 개최 file 2015.09.02 1093
뒤늦게 폴란드 공항에서 열린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시상식 file 2022.03.23 654
동해안 관광 패러다임의 변화 file 2018.10.19 753
동아일보, "YTN돌발영상 연출" 결국 정정보도 내 2011.07.26 3103
동력패러글라이딩을 이용한 항공 HD 특수촬영 교육을 다녀와서 2008.01.15 6917
동남아 순회특파원을 다녀와서 2007.04.16 5640
동기 사랑의 갈증을 풀어 준 행복한 이틀 2006.06.13 5764
돌발영상을 다시 시작하며``` 2009.05.18 4460
돌발영상에 바란다 2005.10.12 5954
독일, 저작재산권·인격권 모두 ‘창작자 귀속’ 영국·미국·EU, 창작자의 저작인격권 ‘인정’ file 2020.07.08 620
독립성과 전문성의 지침서 "포토저널리즘" file 2010.03.27 3900
도덕적 해이... 인간적인 기자를 꿈꾸며 2007.01.03 5988
더욱 정진하고 노력하는 카메라기자가 되겠습니다! 2008.09.30 5297
더불어 사는‘살기 좋은 공간’ - 스마트 시티 <上> file 2018.01.10 704
더불어 사는 '살기 좋은 공간' - 스마트 시티 <下> file 2018.01.12 683
더 이상 해킹 안전지대는 없다. 2013.06.04 1789
대형 사건보도, 희생자와 유족의 사생활 침해 여지 있어 2011.05.21 2998
대통령실이 빼든 KBS 수신료 분리 징수…“방송 장악’노골화” 반발 file 2023.04.26 213
대통령 선거와 보도방송 지상중계 2008.01.10 5819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40 Next
/ 4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