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7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서울, 광주서 2022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자 초청 특별 행사 열려

‘기로에 선 세계상’ 필립 콕스 등 수상자들,  한국 언론인, 시민들과 만나 
수단, 팔레스타인, 우크라이나, 아프가니스탄 취재이야기 나눠  
영상기자, 언론학자 참여한 한국 언론의 국제보도 발전 모색하는 토론회도 열려

3면_특별행사.png

 한국영상기자협회(회장 나준영)와 5.18기념재단(이사장)는 ‘2022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시상식에 앞서 수상자들을 초청해 한국의 언론인, 시민들과 만나는 특별 행사를 열었다.

 올해 수상자들은 지난 26일 서울 상암동 MBC 골든마우스홀과 28일 전남대 코스모스홀에서 열린 특별 행사에 참석해 수상 소감과 소회 등을 밝혔다. 

 비경쟁부문인 ‘오월광주상’의 수상자 마지디 베누라는 공동 수상자이자 24년 동안 현장을 함께 누벼온 쉬린 아부 아클레 기자가 이날 함께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우리는 지난 5월 팔레스타인 서안 지역에 있는 제닌 난민촌을 취재하면서 기자임을 표시하는 ‘PRESS(언론)’이라고 적힌 방탄조끼를 입고 헬멧을 쓰고 있었는데, 이스라엘군이 쉬린 기자에게 총격을 가해 살해당했다.”고 말했다. 베누라 기자는 이어 “(24년 동안 함께 일해 온) 쉬린 기자가 목숨을 다할 때 나는 그것을 찍어 언론에 알렸다.”며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지역 취재가 굉장히 어렵다는 사실을 알고, “팔레스타인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뉴스 부문 수상자로 선정된 와타나베 타쿠야 일본 TBS 기자는 코로나19에 걸려 불참했지만, 영상으로 소감을 보내왔다. 와타나베 기자는 주둔했던 미군이 철수하면서 탈레반 세력이 재집권한 아프가니스탄을 취재했다. 와타나베 기자는 “카불에는 모든 병원들이 굶주린 아이들로 넘쳐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에는 빈곤이 만연해 있어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다.”며 “우리의 취재가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되어 지원의 폭이 넓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영상기자로서 우리의 전문성을 통해 모든 각도에서 이야기를 바라봄으로써 선동이나 가짜 뉴스와 싸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한국과 일본 기자들은) 중국, 러시아, 또는 서구의 선입견으로부터 독립적인 만큼 힌츠페터가 가졌던 것과 같은 정신으로 계속해서 진실을 찾고 그것을 포착하기를 바란다.”고 소회를 밝혔다.

 특집 부문 수상자인 윤재완 독립PD는 우리나라의 여권법에 대해 비판했다. “우크라이나 현지에 들어간 지 2주 뒤에 외교부에서 여권법 위반으로 고발했으니 들어와서 조사를 받으라는 연락을 받았다.”는 것이다. 윤 PD는 “언제 들어갈지, 살아서 돌아갈 수 있을지 모르지만, 돌아가게 되면 성실히 조사받겠다고 했는데, 결국은 입국하자마자 조사받고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고 말했다. 윤 PD는 <KBS 특파원보고-세계는 지금>에서 해외 소식을 전하는 독립PD로 일하고 있다. 윤 PD가 68일 동안 우크라이나에서 머물며 취재한 영상은 KBS가 <우크라이나 침공 100일 특집> 가운데 ‘1부 - 포화 속으로’라는 제목으로 제작해 6월 2일 방영했다. 

 상영회 뒤에는 수상자와 국내 언론인, 언론학자들이 참여하는 ‘영상으로 변화시키는 세계 - 한국언론과 시민의 역할’ 토론회가 이어졌다.

 채영길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한국 언론의 국제 보도가 △지정학적 편향성 △선진국 편향성 △문화 편향성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채 교수와 이종혁 경희대 미디어학과 교수가 지난해 지상파 방송3사와 종합일간지 5곳이 보도한 국제뉴스 총 7만5049건을 분석한 결과 미국에 대한 보도가 2만957건으로 가장 많았고, 중국 1만1656건, 일본 8천857건 순이었다. 이들 뒤를 영국, 인도, 아프가니스탄이 순서대로 차지했다. 

 채 교수는 이 외에도 정파성, 정보 의존성, 근대적 일국주의 등도 한국 국제보도의 한계와 문제점으로 지목하고 △국제뉴스에 대한 인식 제고 △국제뉴스 보도에 대한 취재 지원 제도 마련 등을 개선 방안으로 꼽았다.

 이승용 MBC 선임기자실장은 “깊이 있는 국제뉴스가 어려운 데는 언론사 내부의 경제적 이유와 국제부의 위상, 특파원 제도의 문제, 국제기자의 전문성 등 한국적인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다.”며 “힌츠페터를 통해 무엇을 배울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미 분쟁전문 PD는 국제 보도 발전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김 PD는 우선  국제 뉴스 취재가 신뢰 관계와 인맥 없이 힘들다는 점을 들어 “임시 특파원이나 순회 특파원 제도를 만들어 세계국제 뉴스 현장에 수시로 현장 취재를 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국제 뉴스 취재는 ‘돈과 시간 싸움’인 만큼 현장 취재를 위한 각종 지원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PD는 전쟁 국가를 여행금지국가로 정해 취재 허가를 내주지 않는 한국 여권법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면서 전쟁 국가에 대한 취재를 허용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실제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초기 현지 취재를 다녀온 MBC 뉴스영상2부 현기택 차장은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은 명맥이 끊어져 왔던 국제 분쟁 보도 혹은 전쟁 보도의 교육과 경험의 계승이 절실히 필요함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며 위험 지역 취재에 대한 교육과 현지인 중심의 헬퍼 고용 등 언론인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비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경숙 기자 cat1006@naver.com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한국영상기자협회, 5·18기념재단과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제정 추진 file 2019.09.06 488
한국영상기자협회, 국내 최초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발간 file 2019.01.02 896
한국영상기자협회·5.18재단, 시상식 전후로 다양한 특별 행사 개최 2023.11.20 93
한국전파진흥협회 교육 안내 file 2013.03.19 2142
한국콘텐츠진흥원, ‘현업인 직무 교육’ 통해 K-콘텐츠 경쟁력 높인다 file 2017.07.20 399
한미FTA 방송부문 유보돼야 2006.07.13 6541
해직 언론인들의 복직 촉구 서명운동 - YTN 해직기자, 국토 순례 대장정 file 2013.07.30 2216
헌재, 미디어법 합헌 판결 file 2009.11.12 5520
현빈과 손예진 주연의 영화 <협상>에 포토라인 협찬 file 2017.08.30 546
현장에 첫발을 디디며... 2006.03.13 6931
현장취재진 위험으로 내모는 KBS의 인건비 감축 국가재난방송, 공영방송보도기능 위축 불가피 2024.02.29 149
협회 “2009 전파방송 EXPO” 참가 file 2009.08.06 5658
협회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연구위원 김창룡 교수, 방통위 상임위원 임명 file 2020.01.08 437
협회 법인 등록 전환 추진 2011.03.17 3334
협회 비즈하드 좋네요 2009.08.06 5393
협회 여성보호센터 자원봉사 file 2013.11.22 3523
협회 장완익 자문변호사, 사회적참사특조위 상임위원장에 선출 file 2018.07.05 489
협회, '영상보도윤리 가이드라인’ 연구팀 출범 file 2018.10.20 526
협회, '한국영상기자협회'로 명칭 변경 & 한국영상기자협회 로고 공개 file 2018.10.19 535
협회, 11월 27일 'AI 저널리즘의 미래와 취재제작윤리' 세미나 개최 file 2023.12.21 168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Next
/ 4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