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36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수정 삭제

12월 1일 이후

-지상파 DMB 방송 시작과 낮방송 확대

 지상파 DMB 방송이 시작되었다. 또 낮 시간 방송연장으로 시청자들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 없이 지상파 방송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방송시간 연장은 단순한 방송의 연장이 아니고 콘텐츠양의 증가를 의미한다. 공중파 방송에서 보도 프로그램의 경우 낮 시간 뉴스가 새로이 편성되거나 내용이 강화되었다. 그동안 낮 뉴스는 오전에 일어난 사건이나 정치적 이슈들을 간단하게 브리핑 하는 수준이었다면 지금은 오전에 일어났거나 또는 현재 일어나는 사건 현장을 시청자에 전하는 정도에 이르렀다.

# 오전 취재는 전쟁이다.

 오전 10시 30분 종로의 기자회견장. 회견이 시작된 지 30분, 각 사 케메라 기자들과 오디오맨들은 전쟁이 시작된다. 회견이 진행 중이지만 카메라에서 테잎을 뽑아 회사로 들여보내기 위해서다. 오전뉴스나 낮 뉴스가 시간이 늘어나면서 취재거리의 가치 기준이 바뀐 탓일까? 어떻든 오전에 나가는 현장은 늦어도 11시 반까지는 회사에 테입이 도착해야 한다.

# 대부분 현장에 중계차가 있다.

 난자 기증의사를 가진 여성 1000명 돌파 기념 행사장. 현장 입구에 각사 중계차들이 즐비하다. 행사가 시작된 지 1시간 정오가 되자 어김없이 현장이 연결된다. 뉴스가 시작되는 정오 인근에 있는 행사나 사건현장에는 대부분 중계차가 나타난다. 현장과의 거리가 먼 경우는 반드시 SNG 뉴스밴이 동행한다. 퀵써비스로는 도저히 뉴스시간에 맞출 수 없기 때문이다.

# 12시 점심시간은 잊어라!

 사정이 이렇다 보니 과거(?)와 같이 12시 정각에 맞추어 점심을 먹기란 힘들어졌다. 하는 수 없이 12시 전에 간식을 먹거나 오후 1시가 되어야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뭐 별 대수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왠지 오디오맨이나 취재차량 기사 형님의 눈치를 조금 보게 된다. 그래도 우리가 점심먹을 시간에도 생방송 참여하거나 회사에 기사 읽어주는 취재기자보다는 좋다는 스스로 위로에 빠져 본다.

 현실적으로 늘어난 뉴스시간에 또 현장중계 등 부담이 더 많아졌다. 하지만 이런 현실과 달리 지금 당장 인력을 더 충원할 수 없는 것 또한 현실이다. 이후 인력충원이나 뉴스 포맷의 변화에 대한 기대가 커지는 건 당연한 게 아닐까?

권혁용 기자 dragonk@imbc.com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나준영 MBC영상기자, 제28대 한국영상기자협회 회장 선출 file 2023.03.03 290
MBN 6개월 업무정지 행정소송 2심판결 앞두고 사원들 생존권위협 호소 2022.12.28 299
지명관 전 한림대 교수, 5·18언론상 공로상 수상 file 2020.09.09 301
협회, 풀(Pool)취재·포토라인 준칙, ‘영상보도가이드라인’ 개정한다 2023.03.03 310
10.29 참사 취재한 영상기자들, 심각한 트라우마 호소 file 2022.12.28 322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제정한다. file 2020.09.08 326
내가 글을 쓰는 이유 file 2018.10.19 327
주간경향 미얀마 특집호 구매, 배포 file 2021.04.15 327
“KBS2TV·SBS ‘조건부3년’재허가한다” file 2021.01.06 332
2022년 최고의 영상보도 7편, 제36회 한국영상기자상 수상 file 2023.03.03 332
국회 언론·미디어 제도개선 특위‘빈손’…활동기한 연장해 결과내야 file 2022.01.06 333
MBC충북 김병수, 신석호 기자 <미래유산을 찾아서>가 보도한 건축물들 줄줄이 충북 등록문화재 ‘등록’ file 2023.04.26 334
6월 개최예정.<사회의 민주적 발전과 영상저널리즘>세미나, 방송문화진흥회 세미나지원 공모사업 선정 file 2021.04.15 344
“영상기자들, 초상권 침해 규정 절반만 인지” file 2023.03.03 353
용산 대통령실 이전 2개월…기자들 반응은? “도어스테핑으로 언론 접촉 늘었지만…” file 2022.07.01 362
포항MBC “포스코, 성역아냐”…기자단체, 포스코노사에 사과요구 file 2021.01.05 367
방송 출연 아동·청소년 인권 보호 가능할까 file 2021.03.09 370
국회발의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법안의 핵심 ‘운영위원회’ 모델 된 독일식 공영방송 방송평의회란? file 2022.05.03 378
제주MBC ‘직장내 괴롭힘’으로 조만간 인사위 개최 file 2020.11.11 381
20대 대선취재 영상기자 간담회 file 2022.05.03 38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