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4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2023 광주민주포럼 발표문 요약1]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투쟁과 한국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미하일.jpg

미하일 아르신스키 (Mikhail Arshynski, 제1회 힌츠페터국제보도상 '기로에 선 세계상(대상) 수상자)



루카센코 장기독재에 신음하는 벨라루스 민주주의와 언론자유

 벨라루스 정치 체제는 1994년부터 권력을 유지한 독재정권이라 할 수 있다. 벨라루스 국가수반, 알렉산더 루카센코(Alexander Lukashenko)의 행적은 수많은 시위를 촉발하고 국제사회의 비난을 불러왔다. 특히 우크라이나에서의 군사 갈등의 상황 속에서 벨라루스의 대러 군사 협력으로 인해 국제무대에서 더욱 곤경에 몰리게 되었다.


 '비아스나(Viasna), ' 인권 센터의 웹사이트에 기재된 정보에 따르면, 벨라루스에서는 2020년 초 이래로 34,000명이 구금되었다. 징역 11년을 선고받은 야권 활동가 마리아 콜레스니코바(Maria Kolesnikova)를 포함해 수백 명의 시위자들이 장기 징역을 선고받았다. 2020년 이래로 벨라루스 내 인권 상황은 심각한 악화를 거듭하고 있고, 2020년 대선 이후로 벨라루스 권력층은 평화 운동가, 여권, 활동가, 언론인에 대한 억압을 강화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2020년 벨라루스 내 정보 공간의 상황은 극도로 고조되었다. 정부가 통제하는 국영 매체는 비판적 소재를 용인하지 않으며 언론 영역을 장악했다. 독립 매체들은 SNS, 메신저, VPN 서비스를 이용해 대중에게 정보를 전할 방법을 찾아냈다. 그러나, 벨라루스 정부는 이런 독립 매체를 탄압하기 시작했고, 언론인과 편집자들이 체포되고, 사무실과 장비는 몰수되었다. 이들의 일부는 징역을 선고받았고, 일부는 벨라루스에서 추방되었다. 예를 들어, '나샤 니바(Nasha Niva)‘ 의 편집 사무실이 폐쇄되고 편집장은 2년의 징역형이 선고되었다.


 이에 따라, 2020년에는 정부 억압에 따라 독립 매체의 언론인들이 벨라루스에서 추방되었고, 이들은 다른 국가로 망명길을 찾아야 했고 값진 인재를 잃었으며, 국가 내 정보의 연결은 와해되고 말았다.

 

국외로 쫓겨난 언론인들의 둥지, 벨샛TV(Belsat TV)

 이들 중 많은 언론인들이 자리 잡은 폴란드의 벨샛TV(Belsat TV)텔레비죠나 폴스카(Telewizja Polska)’의 자회사로, 구소련 지역에서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로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우리의 사명은 시청자분들께 믿을 만한 뉴스를 제공하고, 벨라루스의 문화와 언어를 널리 알리면서 친러 매체가 장악한 국가들의 가짜 뉴스에 맞서는 것이다. 국제팀에서는 주로 폴란드, 벨라루스, 러시아, 우크라이나와 일하며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다.


 벨라루스와 러시아 언론인에게 벨샛TV에서의 일은 근대적인 매체를 통해 동포들에게 편향되지 않은 메시지를 전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방법이며, 폴란드 직원에게 있어서는 공산주의의 통치 하에 있었던 폴란드를 지원했던 타국의 많은 이들에게 마음의 빚을 갚을 수 있는 기회이다.


 벨샛 TV를 보려면 아스트라 4A 위성(Astra 4A satellite)으로 조정하면 된다. 혹은 폴란트나 리투아니아의 전국적인 복합 상영관, 우크라니아 유선 방송 대부분뿐 아니라 벨샛 스마트 VOD 앱으로도 볼 수 있다. 우리 채널은 belsat.eu웹사이트와 유튜브에서도 라이브로 송출된다.


 belsat.eu 웹사이트는 4개 언어를 지원한다: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영어. 8개 테마로 구성된 유튜브 채널의 구독자 수는 총 2.200,000명을 넘는다. 벨샛 소셜 미디어 팀은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텔레그램, 틱톡에서 프로필을 운영하고 있다.

 

국가폭력과 억압에 대한 시민저항의 기록, <DON't BE AFRAID (두려워하지 마라)

 나는 독립 텔레비전 채널인 벨샛TV와 협력하여 보도다큐멘터리 '두려워하지 마라.(DON't BE AFRAID)'를 제작했다. 이 다큐멘터리는 2020년 당시 여당 후보였던 스비아틀라나 치카누사카야(Sviatlana Tsikhanouskaya)의 대선운동에서 자원봉사자들의 이야기를 보여주고 있다. 이 영화의 목적은 벨라루스 사람들이 어떻게 두려움을 극복하고 민주적 가치와 표현의 자유를 위해 앞장서는지 실제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두려워하지 마(DON'T BE AFRAID)' 는 선거 운동 참가자 뿐 아니라 구금된 사람, 심하게 구타당하거나 활동 중 유죄선고를 받은 사람까지 정말 많은 인터뷰를 담고 있다. 다큐는 폭넓은 대중의 반응을 이끌어냈고, 벨라루스의 광범위한 인권 침해를 증명하는 중요한 기록이 되었다. , 국가의 억압과 폭력에 동의하지 않았던 평범한 사람의 강인함과 회복력을 보여주었다.

 

 '두려워하지 마(DON'T BE AFRAID)' 의 제1회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기로에선 세계상수상은 벨라루스에서 민주주의와 표현의 자유를 위해 싸우는 투쟁의 중요성과 기여에 대한 인정으로 여겨진다. 많은 벨라루스 사람들이 다큐 제작진에게 감사와 지지를 표하며 민주적 가치를 위한 투쟁에 있어 국제적 지지와 연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힌츠페터 국제보도상은 벨라루스에서의 인권 침해와 표현의 자유 사안이 주목을 끌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고, 이 상을 수상하고 나서 위 사안들에 대해 대중과 매체의 논의는 더욱 깊어졌다.

 

힌츠페터국제보도상이 보여 준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를 위한 연대와 지지

 벨라루스인들에게 한국은 민주주의적 이상을 위해 타협할 줄 모르고 싸우는 모습을 직접 보여주었다. 한국 사회의 힌츠페터국제보도상은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싸움에 있어 국제적 지지와 연대의 상징이 되었다. , 힌츠페터 국제보도상의 수상을 통해, 벨라루스인들은 민주적 가치와 표현의 자유를 위한 투쟁에 있어 꾸준함과 목적의식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 번 일깨워 주었다.


 독재 정권에서 벗어나 정립된 민주주의로 나아간 한국의 역사는 벨라루스인을 고취시키는 좋은 모범사례가 되고 있다. 한국의 역사를 통해 벨라루스인들은 독재자는 영원하지 않으며, 민중은 독재의 폭정과 억압의 사슬을 끊을 민주화운동의 또 다른 기회를 갖게 될 것임을 확신하게 만들었다. 이 덕분에 많은 벨라루스인들은 민주주의와 표현의 자유를 위해 싸움을 이어 나가며 벨라루스의 더욱 밝은 미래를 꿈꾸고 있다.





  1. 우리 삶과 닮아 있는 정치

    우리 삶과 닮아 있는 정치 사전투표장에 갔다. 한 시간 일찍 도착해 선거관리위원회 직원, 정의당 대변인과 취재 동선 등에 대해서 논의했다. 정의당 심상정 대표가 투표하러 투표장에 오려면 아직 30여 분의 시간이 남아 있었다. 26살인 오디오맨에게 시간 괜...
    Date2020.05.07 Views237
    Read More
  2. 도심 속 고궁 산책

    도심 속 고궁 산책 ▲ 올여름, 경복궁 근정전 앞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의 모습 “서울은 천박한 도시.” 지난여름, 여당 대표의 입에서 나온 말이다. 서울을 가리켜 아파트값만 얘기하게 되는 천박한 도시로 표현해 논란이 됐다. 행정수도 이전의 필...
    Date2020.11.17 Views236
    Read More
  3. 디지털 경험을 통해 새롭게 보이는 것들

    디지털 경험을 통해 새롭게 보이는 것들 현장에 도착해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던 경험, 누구에게 있을 것이다. 그럴 땐 현장에서 좀 떨어져 먼 곳에서 바라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높은 곳에 올라가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것도 비슷한 원리로 도...
    Date2020.01.08 Views234
    Read More
  4. 지금은 할 수 없는, 여행을 위하여

    지금은 할 수 없는, 여행을 위하여 ▲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필자 9시 15분 피렌체행 기차는 2시간이나 연착됐다. 역무원에게 물어보니 “토스카니에서 지진이 나서 어쩔 수 없다.”고 한다. ‘넘어 진 김에 쉬어간다.’ 생각하고 아침을 먹고 있는데 연착 시간이 9...
    Date2020.07.16 Views230
    Read More
  5. 판문점 북미정상회담과 보도영상

    판문점 북미정상회담과 보도영상 2019년 6월 30일, 판문점에서 역사적인 북미 정상회담이 열렸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만나는 순간이 라이브로 전파를 탔다. 이전 라이브 영상처럼 정제되지 않고 끊임없이 흔들리는 TV 화면이 보는 이에...
    Date2019.09.09 Views226
    Read More
  6. 힌츠페터 어워즈, 히어로 메이커 2.0

    힌츠페터 어워즈, 히어로 메이커 2.0 ▲ 3월 5일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조직위원들은 라이펜슈튤 독일대사를 만나, 이 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5.18이 다가온다. 대한민국의 민주화를 이야기하려면 광주를 빼고 이야기할 수 없고, 광주의 5.18을 이야기 ...
    Date2021.05.06 Views222
    Read More
  7. 심상찮은 전광훈 목사 현상

    심상찮은 전광훈 목사 현상 ‘하나님 나한테 까불면 죽어’ 이 발언으로 논란이 됐던 전광훈 목사가 최근 코로나19 상황에서 광화문 집회를 독려해 감염병 재확산의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전 국민이 그의 이름을 알게 되었다. 사실 그의 이름은 2005...
    Date2020.11.17 Views221
    Read More
  8. 우리만 모르는, 우리 안의 갑질은 없을까?

    우리만 모르는, 우리 안의 갑질은 없을까? ▲ 지난 6월 30일 울산 스타벅스, 매장 직원에게 폭언하는 갑질 손님 ▲ 지난 5월 19일 울산 울주군, 경비업무 중인 아파트 경비원 <사진/CCTV> # 장면 1 손님 : 내가 분명히 아이스 라떼 하나, 따뜻한 라떼 하나! 내가...
    Date2020.09.15 Views221
    Read More
  9. 전에 없던 새로움을 탐하다 ②

    전에 없던 새로움을 탐하다 ② 6개월간의 대장정 선거 방송을 준비하며 UHD 실사 촬영 이번에는 포맷용 실사 촬영을 UHD급 이상, 10bit 이상 영상으로 하기로 했다. 최종단에서 전체 영상 톤을 맞추기도 용이하고 HD 화면의 4배 사이즈이기 때문에 CG용 재가공 ...
    Date2020.09.15 Views218
    Read More
  10. 부동산 정책? 건강한 인식(認識)이 먼저

    부동산 정책? 건강한 인식(認識)이 먼저 ▲ 새 집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필자의 가족 <사진/김원> 결혼을 하고 5년째 되든 해, 어린 시절부터 살던 동네에 작은 집을 하나 마련하게 됐다. 1기 신도시라 연식도 오래됐고, 많은 사람이 선호하는 인 서울...
    Date2020.09.15 Views216
    Read More
  11. 길(路)의 재발견

    길(路)의 재발견 ▲ 성산대교 밑 보도 한쪽에 잠자리를 사냥한 거미의 모습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19가 시작됐다. 첫 보도는 원인 모를 폐렴으로 우한 시민들이 목숨을 잃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그때는 이것이 나의 삶과는 상관없을 줄 알았다. 그러...
    Date2020.11.17 Views180
    Read More
  12. ‘불특정 그룹 샷의 난민사진을 본 사람들, 반난민정책 더 선호’

    [영상저널리즘 연구소] ‘불특정 그룹 샷의 난민사진을 본 사람들, 반난민정책 더 선호’ - 취재윤리, 국가가 중심의 언론 통제가 아닌 현장기자들의 주체적 판단 속 정립돼야 지난 늦봄에서 이번 여름까지 캐나다 토론토와 프랑스 리옹에서 열린 두 개의 국제...
    Date2023.08.31 Views170
    Read More
  13. [뉴스VIEW] 졸속과 파행의 공영방송 공격

    [뉴스VIEW] 졸속과 파행의 공영방송 공격   정권이 바뀌면 새로운 정책이 입안된다. 그 정책에 많은 관심이 쏠린다. 자원과 사람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정책의 종류는 다양하다. 미디어정책도 그 하나다. 정권을 잡았다고 해서 정책이 반드시 성공하는 것은...
    Date2023.06.29 Views146
    Read More
  14.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투쟁과 한국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2023 광주민주포럼 발표문 요약1]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투쟁과 한국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미하일 아르신스키 (Mikhail Arshynski, 제1회 힌츠페터국제보도상 '기로에 선 세계상(대상) 수상자)  루카센코 장기독재에 신음하는 벨라루스 민주주...
    Date2023.06.29 Views144
    Read More
  15. 박수칠 때 떠나자: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의 자립 선언

    [2023 광주민주포럼 발표문 요약3]  박수칠 때 떠나자: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의 자립 선언  김성해 (대구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과 교수)  국제뉴스를 향한 타는 목마름과 분열의 자화상: 미,영의 언론들을 통해 세계를 보아 온 한국 언론의 관성과 학습된 ...
    Date2023.06.29 Views144
    Read More
  16. 취재를 잊은 언론, 진실을 숨긴 언론

    [뉴스VIEW] 취재를 잊은 언론, 진실을 숨긴 언론  #장면1. 11월 22일 우리 대통령이 영국 다우닝가 10번지 총리 관저를 패스해 홀로 직진하는 장면이 생중계되었다. 현장 외신 기자들은 “어디로 가는 거야?”, “이거 다 촬영했지?”라며 웅성거렸다. 영국 언론...
    Date2023.12.21 Views127
    Read More
  17. 영상을 통한 공감과 연결, 더 나은 미래의 모색

    [2023 광주민주포럼 발표문 요약2]  영상을 통한 공감과 연결, 더 나은 미래의 모색  브루노 페데리코 (Bruno Federico, 제1회 힌츠페터국제보도상 특집상 수상자)  권력과 자본이 저지른 폭력과 범죄의 고발을 위해 시작한 영상기자로서의 삶 저는 영상저...
    Date2023.06.29 Views123
    Read More
  18. [뉴스VIEW] 진실을 가짜로 만드는 무소불위의 힘은 누구인가

    [뉴스VIEW]  진실을 가짜로 만드는 무소불위의 힘은 누구인가 ‘가짜’에 상을 수여한다는 희괴한 소식을 들었다. ‘자유언론국민연합’이라는 단체 주최의 ‘2023 상반기 10대 가짜뉴스 시상식 & 기념토론회’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이 3천만 원이나 지원한다니 ...
    Date2023.08.31 Views110
    Read More
  19. 내가 사랑한 영화 '냉정과 열정사이'

    [프레임 밖에서] - 영화 추천 내가 사랑한 영화 '냉정과 열정사이'  극장으로 가는 발걸음에 묘한 설레임과 두려움이 교차했다. 영화를 보러 가며 이런 감정을 느껴본 적이 있었던가? 마치 오래전 첫사랑을 재회하듯, 기대감과 실망감 언저리의 정의할 수 없...
    Date2023.12.20 Views107
    Read More
  20. 우리가 찾던 ‘저항의 언어’

    <2023 광주민주포럼을 다녀와서…>  우리가 찾던 ‘저항의 언어’ <채종윤 한국영상대학교 교수> 2차세계대전 이후 인간의 실존적 주체성을 강조하는 측과 구조 속에 인간됨을 이해하려는 측, 과연 ’인간은 주제적일 수 있는가‘에 관한 뜨거운 논쟁이 서양 사상...
    Date2023.06.28 Views106
    Read More
  21. 여름 휴가에 가서 세네카를 만나자

    [책 추천]  여름 휴가에 가서 세네카를 만나자  세네카는 고대 로마의 철학자이자 정치인, 문인이다. 한 백과에 따르면 그는 대표적인 스토아 학파의 철학자 중 한명으로, 로마제국 최초의 공인된 폭군 네로의 스승으로도 유명하다. 3대 황제 칼리굴라 시대...
    Date2023.06.28 Views10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