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5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No Attached Image

임종인 의원과 돌발영상

 후덥지근한 더위와 장맛비로 그리 상쾌하지 않은 하루가 시작됐다. 의장선거를 치른 다음날인 오늘(6월 20일)은 상임위 배분과 상임위장 선출을 위한 국회본회의 둘째 날이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긴급대책회의와 소모임들, 각각의 논평을 내고 있는 가운데 본회의의 현안은 17대 국회의 반쪽 남은 상임위장 나눠 먹기였고 나는 결코 긴장감 없이 본회의장 촬영기자석에 도착했다.

 상임위장 선출을 위한 투표가 진행되고 있는데 임종인의원이 뒤돌아 앉아서 상당히 큰소리로 말하며 딴에는 통쾌하게 웃고 있다. 마주보며 웃는 의원들도 있었지만 주변의 의원들은 난처한 표정을 보이고 있어 평소와는 다른 모습인지라 우선 셔터를 누르고 귀를 기울인다.

 의례, 숙의하는 모습이나 간혹 의원들의 심각한(?) 점심약속 등 카메라를 의식한 의원들의 행동들도 인서트란 형식을 빌어서 편집이란 과정으로 많이 사용하기에 취한 조치다.

 대화를 들어보니 상임위 배정에 불만을 품은 임의원이 동료의원들에게 푸념을 하고 있었다. 어차피 투표는 사전에 원내대표단이 정해 놓은 상임위장을 뽑는 자리여서 심사숙고하며 위원장 됨됨이를 보는 자리가 아닌지라 산만하다.

 출입처를 갖고 있는 영상취재 기자로써 현안이 되는 상임위배분은 중요한 쟁점이고 지도부에 대한 당 소속 의원들의 위치를 나타내며, 반대로 지도부에 대한 호응도를 보여주는 좋은 예이므로 수음하기 좋은 장소로 이동해서 프론트 마이크로 급한 대로 수음을 할 수 있었다.

 간혹 욕설("X까라 X라")도 들리고 한나라당 이적을 시사하는 말들이 오갔다. 또 김한길 대표를 무시하며 박근혜 대표와 인사를 나누는 등, 당시의 분위기를 보여 줄 인서트 촬영도 타 취재기자와 촬영기자들이 빠진 후에도 계속됐다.

 국회 취재에 있어서 영상취재의 포인트는 그날의 이슈에 대한 국회의원들의 표정, 멘트 등이 취재의 핵심을 구성하여 방송하는 것이라 하겠다. 처음엔 긴장감 없이 단순하게, 쉽게 접하던 본회의장에서 떨어진 특종상(물론 사내에서 준)이지만 방송기자들이 소홀히 할 수 있는 회의장 내 숙의과정에서 불거진 당내 갈등에 대해 귀 기울이며 보도 할 수 있어서 영상취재 기자로써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좋은 계기였다.

YTN 영상취재팀 고민철 기자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1980년 광주의 비극,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계속돼, 힌츠페터 기자의 5.18취재정신 이어가야” file 2022.11.02 235
“6월, 미디어법 관련 국회 난투극 재발되나?” file 2009.05.18 4727
“KBS2TV·SBS ‘조건부3년’재허가한다” file 2021.01.06 292
“공공성 빠진 저급미디어 난립 우려” 2005.06.02 7313
“드론 취재, 안전이 우선” 항공안전법 준수 등 드론 교육 필요 file 2019.11.07 497
“디지털이 바꿔 놓은 뉴스취재의 기록 ” 2008.07.04 5754
“몰카 촬영 여부 판단 기준은?” “물리력으로 취재 방해할 땐 어떻게…” file 2020.11.16 405
“언론 자유 중요성, 진실 보도 당위성을 스스로 돌아보는 기회 될 것” file 2023.12.21 149
“언론, 인권 감수성 부족” 비판에“ 오히려 잘 된 일” 지적도 file 2020.05.11 427
“언론이 작고 위태로운 성냥일지라도 그것이 없다면 어둠은 훨씬 커질 것” file 2023.06.29 133
“없애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포토라인과 알 권리 file 2019.05.07 761
“영상기자들, 초상권 침해 규정 절반만 인지” file 2023.03.03 292
“지역 방송사 영상기자 평균 연령 50대” “개인 차로 자가운전해 취재” file 2021.01.06 557
“초상권 보호 대상, 공인 개념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중요” file 2019.07.03 614
“카메라기자와 카메라감독 통합운영을 바라보며” 2009.05.18 5582
“코로나19 이후 해외 취재 재개한다” file 2021.05.06 401
“한국 언론사(史)의 이정표…윤리적 다짐 넘어 실질적 지침이 될 것” file 2019.01.02 366
“현장 정착 위해 교육·홍보 필요” “동영상 교육 자료도 효과적일 것” file 2019.07.03 520
간담회 - 젊은 카메라 기자들의 수다 file 2013.12.17 3599
감사로 털고 주인 바꾸고 압수수색으로 겁 주고 돈줄 죄고… file 2023.06.29 146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40 Next
/ 4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