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o Attached Image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지명은 즉각 철회되어야 한다!!

 


 윤석열 대통령이 기어이 이동관 씨를 방송통신위원장에 지명했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할 때부터 차기 방송통신위원장으로 거론되어 온 이동관 씨는 누구인가? 이명박 정권의 청와대 홍보수석으로 언론장악, 방송장악을 총지휘했던 인물이다.


 최근 국회에서의 문건공개로 밝혀진, 국정원을 동원해 방송사와 언론인들을 사찰하고, 공영방송을 장악하기 위해 치밀한 계획을 수립하여, 이를 집요하게 실행했던 전력, 그 하나 만으로도, 이동관 씨는 민주국가에서 방송통신의 독립을 지키고, 발전시켜 나아갈 방송통신위원장으로서의 자격이 없다.


 이동관 씨가 청와대 홍보수석으로 있을 때, ‘큰 집에 불려가 쪼인트 까인공영방송사의 사장들이 방송을 정권의 이익에 맞게 개조하려고 했던 결과는 어떠했는가? ‘방송과 언론의 독립’, ‘공정보도를 위해 언론인으로서의 사명과 책임을 지키려고 했던 수많은 기자와 방송인들이 현장에서 배제되거나 퇴출되었다. 그들이 속한 조직이 통째로 사라지거나 블랙리스트가 만들어져 소고기처럼 여러 등급으로 분류되어 관리당하는 반인권적 노동탄압이 일어났다. 언론장악을 위해 이동관 씨가 휘두른 칼은 이용마 기자와 같은 이들의 안타까운 희생을 가져왔다. 그 결과, 방송과 언론에 대한 국민적 신뢰는 추락하였다. 공영방송사를 비롯한 방송사들의 콘텐츠제작능력과 경쟁력은 약화됐다. , 미디어콘텐츠산업의 세계적 변화에 뒤쳐진 국내 방송사, 제작사, 통신사들은 글로벌OTT자본이 만든 불공정한 하청체제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현 정부가 포기한 이동관 씨에 대한 인사검증을 시민과 언론이 대신하는 과정에서 아들의 학폭’ 논란과 부당한 개입’ 의혹이 드러났지만, 현 정부의 제대로 된 추가검증이나 본인의 명쾌한 해명과 사과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석열 정권이 이동관 씨의 방송통신위원장 지명을 강행한 것은 국민의 상식과 감정을 무시하고 정권의 이익을 위해 MB정부보다 더 혹독한 방법으로 방송장악과 언론장악을 강행하겠다는 의지표명으로 밖에는 보이지 않는다. 윤석열 대통령이 가장 강조하는 자유민주주의가 제대로 실현되고, 진정한 방송통신의 독립과 발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언론자유를 탄압하고 방송독립을 가로막으며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를 위협했던, 이동관 씨의 방송통신위원장 지명은 즉각 철회되어야 할 것이다!


2023728


한 국 영 상 기 자 협 회




List of Articles
제목 조회 수 날짜
(성명)해직 언론인들의 복직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에 돌입하며 3326 2013.06.19
(성명)방송공정성특위는 주어진 임무를 명심하라. 3209 2013.09.28
(성명)EBS 차별하는 700MHz ‘4+1’ 분배안 철회하라 file 1465 2015.06.26
(성명) 취재진의 정당한 취재와 안전을 위협하는 경찰의 행태에 분노한다 file 7290 2015.11.16
(성명) 취재현장에서의 폭력은 절대 용납 될 수 없다 file 1273 2016.12.22
(성명) 취재진의 정당한 취재활동을 방해하거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에 대해 엄중히 경고한다 file 1024 2017.02.07
(성명) 탄핵결정 반대 현장에서 취재기자에 가해진 폭력행위를 규탄한다 file 1120 2017.03.11
[성명서] 탄핵결정 반대 현장에서 취재기자에 가해진 폭력행위를 규탄한다. 719 2017.05.22
[성명서] 반인권 반노동 MBC블랙리스트의 진상규명을 촉구한다 file 616 2017.08.09
[성명서] KBS MBC 양대 공영방송의 총파업을 지지한다 file 931 2017.09.08
[성명서] 중국측 경호원들의 한국 사진기자 폭행 사건을 강력히 규탄한다 file 722 2017.12.15
[성명서]자유한국당은 MBN 당사 출입금지와 취재거부 조치를 철회하라 file 1081 2018.02.06
[성명서] 남북 정상 환담 중 비속어 논란, 진상규명을 촉구한다. file 1044 2018.09.23
[성명서] 국회의장의 영상취재 통제를 반대한다. file 725 2019.01.04
[성명서] 영상기자에 가해진 폭력 행위를 규탄한다. 973 2019.04.03
[성명서] 미얀마가 ‘오월광주’ 다! 2618 2021.04.12
[방송언론단체 공동성명] 쿠팡은 ‘노동인권 보도’ 봉쇄소송을 당장 멈춰라! 397 2021.04.12
[성명서] 포항MBC 양찬승 사장은 성희롱사건 처리지연에 대해 사과하라! 646 2021.04.16
[공동성명서] 비상식과 불공정이 난무하는 양자토론, 명백한 ‘갑질’이다! 491 2022.01.18
[공동성명서] 오만과 무지로 점철된 언론관, 위험한 것은 윤석열 후보 당신이다. 409 2022.02.1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