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0.20 11:04

카메라기자의 혈액형

조회 수 577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No Attached Image

<궁금해요>

카메라기자의 혈액형

조사 결과 : A형 53명(27%), B형 57명(29%), O형 57명(29%), AB형 : 29명(15%)

우리나라 국민의 혈액형 비율 : A형(32%), B형(30%), O형(27%), AB형(11%)

 요즘 대한민국에 피바람(?)이 불고 있다고 한다. 다시 말해 ‘혈액형’ 붐이 거세가 일고 있다는 얘기다. 혈액형별 처세술, 혈액형 별 학습법, 혈액형별 건강법, 혈액형별 연애법 거기에 혈액형 마케팅까지...

  얼마전 SBS스페셜 ‘혈액형의 진실’에서는 노미 도시타가의 ‘혈액형 인간학’이 신빙성이 없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속에 이는 혈액형에 대한 관심은 변함이 없는 듯하다.

 그래서 이 피바람(?)에 부응해 카메라기자의 혈액형별 비율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독자들의 궁금증을 해결하고자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의 서울 회원사 회원 351명 중 196명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A형 53명(27%), B형 57명(29%), O형 57명(29%), AB형 29명(15%)으로 우리나라 국민의 혈액형 비율[A형(32%), B형(30%), O형(27%), AB형(11%)]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다만 A형(27%)이 가장 많은 한국인의 혈액형 비율과는 조금 다르게 B형과 O형이 공히 29%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사실은 전 국민적으로 봤을 때, 소수인 AB형을 제외하면 A형과 B형, O형이 골고루 분포한다는 것이다. 이는 두 가지로 분석될 수 있다. 하나는 혈액형과 성격, 혈액형과 직업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이고, 다른 하나는 ‘카메라기자’라는 직업이 각 혈액형별로 그 특성을 잘 살린다면 모든 사람이 도전해 볼만한 매력적인 일이라는 것이다.

 ‘혈액형별 특성’을 보면 묘하게 맞아 떨이진다고 느낄 때가 많다. 혹자는 그것이 ‘애매한 말장난’이기 때문이라고 얘기한다. 하지만 그것이 맞아 떨어진다고 느껴질 때, 자신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리마인드 해볼 필요가 있다. 평소에는 생각해볼 기회가 많지 않은 자기 자신에 대해 제3자의 눈으로 냉정하게 말이다. 그러면서 장점이 많은 본인에 대해 칭찬을 아끼지 말고, 자신의 단점에 대해서도 한 번쯤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가져보자.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줌인> 종편의 우려스러운 생중계 보도 행태 2015.11.21 1199
<특별기획> 보는 것이 믿는 것 file 2015.11.21 1312
<특별기획> KBS 뉴스광장 영상 페이스북, 유튜브 계정 오픈 file 2015.11.21 1715
YTN 신입 기자를 소개합니다 file 2015.11.23 1769
YTN 신입 기자를 소개합니다 file 2015.11.23 2248
YTN 신입 기자를 소개합니다 file 2015.11.23 2452
YTN 박동일 부장 한남인상 수상 2015.11.23 1130
<줌인> 혼용무도(昏庸無道)를 되새기며 2015.12.25 1087
취재방해감시단 운영 file 2015.12.25 887
<청와대 순방 출장> 중국의 밧줄 포토라인과 상처뿐인 백악관 취재 file 2015.12.29 2016
<나의 취미> 바다를 낚으러 간 사나이 file 2015.12.29 1992
취재진의 정당한 취재 활동을 방해하거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에 대해 엄중히 경고한다. 2017.02.17 863
촛불이 모이면 거대한 불기둥이 된다. file 2017.04.21 542
이번 여름 이곳은 어떠세요? 굽이굽이 해안따라 만나는 태안해변길 file 2017.04.21 754
탄핵반대 시위대 카메라기자 폭행 카메라기자협회, ‘국민의 알 권리 침해’ file 2017.05.22 677
카메라기자협회, 폭력 가담자 ‘경찰에 고발’하기로 file 2017.05.22 648
<줌인> 열 수 없는 선물 2017.05.22 456
포토라인은 취재현장에서 ‘취재원 보호’와 ‘국민의 알권리’를 위해 필요 file 2017.05.22 722
논쟁의 기회 조차 박탈된 시국비판 풍자 전시회 중 ‘더러운 잠’ 논란 2017.05.22 506
드론 항공촬영, 개인영상정보보호제도의 법적보호 기준 필요 file 2017.05.22 899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