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소감]


인류최악의 원전사고, ‘체르노빌원전사고’를 알린 네 명의 영상기자들


오월광주상 수상자.png

▲ (왼쪽부터) 故볼로디미르 쉐브첸코(Vladimir Schewtchenco), 유리 볼다코프(Yuriy Bordakov), 故볼로디미르 타란첸코(Vladimir Taranchenko), 故빅토르 크리프첸코(Viktor Kripchenko, 우크라이나) 


 이 글을 보는 모든 사람들의 건강과 번영을 기원합니다. 권위 있는 오월광주상 수상자로 선정되어 깊은 감사와 감동을 담아 수상소감을 작성합니다.


 수상 소식을 들었을 때 정말 감동받았습니다. 체르노빌을 취재했던 운명적인 날이 지난 지 37년이 되었고, 세계는 수많은 사건과 변화를 목격했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비극적인 사건을 취재한 작품을 기억하고 기린다는 건 저와 아직 살아 있는 촬영 스태프들에게 큰 의미로 다가옵니다. 힌츠페터국제보도상의 "기억하고 기림으로써 진실을 밝힌다"는 핵심 임무가 우리의 마음 속에 깊이 와닿습니다.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수많은 사람들의 삶을 바꾸어 놓은 재앙적 사건이었고, 언론인이자 다큐멘터리 제작자인 우리의 의무는 세계가 인류 역사상 가장 심각한 인재를 잊지 않도록 진실을 밝히는 것이었습니다.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취재하는 동안 가장 어렵고 중요했던 건 인간의 고통과 희생의 크기였습니다. 저는 재난의 실체와 재난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 사람들의 영웅적인 노력을 전하고 싶었습니다. 물론 인간의 비극을 목격하는 건 신체적, 정서적으로 힘들었습니다.


 취재를 위해 우리가 넘어서야 했던 수많은 방해물들이 떠오릅니다. 방사능 수치는 위험할 정도로 높았고, 작업 환경은 가혹했으며, 우리 팀이 겪었던 고충은 헤아릴 수 없었습니다. 1986, 재난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람들을 묘사하기 위해 "체르노빌라이트(Chernobylite)"라는 용어가 등장했습니다. 우리는 그들과 함께 원자로 아래 갱도의 어둡고 깊은 곳으로 내려갔고, 잔해로 가득한 옥상에 서 있었습니다. 우리는 위험하더라도 진실을 기록한다는 게 중요하다는 걸 알고 있었습니다.


 인류의 재앙이 닥친 체르노빌에서, 자연의 회복력을 가슴 아프게 일깨워주며 피어난 과일나무의 아름다움이 잊히지 않습니다. 텅텅 빈 거리, 재앙을 겪은 젊은 도시가 정상적인 삶으로 복귀하지 못할 것이라는 게 점점 더 분명해졌습니다. 그것은 제 영혼에 지워지지 않는 흔적을 남긴 냉철한 깨달음이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오늘날 가장 예상치 못한 사건의 전환기에 러시아와 전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사고 당시, 전 세계와 소련 전역의 사람들이 지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최악의 악몽에 시달리던 저는 러시아와의 전쟁을 상상조차 하지 못했습니다.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원자력 발전의 참상이 잘못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자, 국가 간의 통합과 이해의 중요성에 대한 교훈입니다.


 우리는 지금 파괴적인 갈등의 현실에 직면해 있습니다.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러시아 침공은 우리 세계의 복잡성을 드러내는 극명한 차이입니다.


 전 세계 언론인들에게 진실을 추구하는 사람이자 증인으로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진실을 추구하는 것은 종종 큰 위험을 수반하는 고귀한 소명입니다. 우리가 계속해서 역사로부터 배우고, 더 나은 안전한 세상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것은 언론인의 헌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역경 속에서도 언론인의 소명을 다하기를 간청합니다.


 마지막으로, 오월광주상을 수상하게 된 데 깊은 감사를 표합니다. 오월광주상 수상은 진실을 밝히고, 기억하며, 빛으로 어둠을 몰아내려 노력하는 사람들을 기리는 저널리즘의 힘에 대한 믿음을 강화합니다. 체르노빌의 진실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헌신한 모든 사람들을 대표하여 오월광주상을 받습니다. 대단한 영광에 감사드립니다.


유리 볼다코프 (Yuriy Bordakov) 유리 볼다코프 사진 003.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아시안게임 취재기 - 우당탕탕 Jakarta file 2018.10.19 486
아시안게임 취재기 - 혼잡, 혼란, 그리고 혼합의 아시안게임 file 2018.10.19 428
고양시 저유소 화재와 드론 영상 file 2018.12.19 425
인도네시아 지진, 쓰나미 취재기 file 2018.12.19 332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 취재기 file 2018.12.19 454
[2018 제3차 남북정상회담 평양 취재기] '2018 평양' 그 새로운 여정 file 2018.12.19 385
태풍 콩레이 영덕 강구면을 할퀴고 가다 file 2018.12.20 456
‘만족합니다’ file 2019.01.02 679
우리가 아는 ‘팀킴’은 김경두의‘ 킴’이었다 file 2019.01.02 504
세상 열심히 변기를 찍다. file 2019.03.12 534
한국산‘ 불법 수출 쓰레기’ 필리핀 떠나던 날 file 2019.03.12 497
차량 추적, 그 위험한 줄타기 file 2019.05.08 434
39년 만에 광주를 찾은 전두환 file 2019.05.08 390
‘극한출장, 베트남 2차 북미정상회담’ file 2019.05.08 491
하노이 회담, 그 기억의 단편 file 2019.05.08 463
해양 탐사선 ‘이사부 호’ 동승 취재기 file 2019.07.01 592
[고성 산불 취재기] 고성 산불 그 후 file 2019.07.01 544
[고성 산불 취재기] 화마와의 사투 file 2019.07.01 549
제2의 고향 속초, 이재민들의 여름 나기 file 2019.09.09 348
‘기적의 생환’ 조은누리, 온 국민이 한마음 한뜻으로 file 2019.09.09 455
무너진 성벽이 준 교훈 file 2019.09.09 377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