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보도특집다큐부문 
KBS청주 김현기 

<지역특집다큐 - 로드투테이블>


 



우리 식탁 위에 올라오는 먹거리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KBS청주총국 김현기>


KBS청주 김현기 (2).png


 어릴 적 살던 동네는 5일장이 열릴 때면 수많은 사람들로 북적였다. 하굣길에 그 시장통을 지나와야 했기에 장날은 우회해서 집에 오곤 했을 정도. 상인의 익살스런 호객멘트와 가격을 흥정하는 손님들의 밀고 당기는 대화들, 농작물들의 채취가 이리저리 한데 섞인 그윽한 향. 내가 기억하는 시장의 풍경은 그렇다.


 그런데 어느 때부터인가 시장을 다녀온 기억이 없다. 로켓배송과 마켓컬리로 클릭 몇 번에 간편한 구매가 편해진 탓일 것이다. 재료의 신선함 보단 그 재료가 얼마나 빠른 시간 내에 도착하는지가 더욱 중요해졌다고나 할까. 시장을 통해 직접 이 재료를 수확한 농부에게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듣는 모습과는 점점 대비될 수밖에 없는 구매 행태인 것이다. 거의 대부분의 소비자가 이런 식으로 구매를 하고 있었다.


5면_kbs청주_김현기.JPG


 시작은 이랬다. 내가 먹고 있는 음식의 재료들은 어디에서, 얼마나 긴 시간을 달려 우리 식탁위에 오게 된 것인가. 길고 긴 유통망을 줄여 신선한 재료들을 우리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이러한 물음표로 시작한 우리 다큐의 주제는 ‘짧은 공급망을 통해 탄소배출을 줄여 신선한 먹거리를 사고 지구환경보호에 앞장서자’ 는 다소 계몽적인 메시지로 뻗어나가고 있었다. 농부와 소비자가 직접 만날 수 있는 시장과 매장이 많아진다면 유통비도 줄이고 가격도 저렴해지며 나아가 이동 경로가 줄어들기 때문에 환경보호에도 도움이 된다, 즉 모두가 만족할 수 있다는 담론을 만들어갈 수 있었다. 이렇게 ‘로컬푸드’ 다큐 <로드투테이블>의 제작을 시작했다.


 촬영시작 전부터 이 다큐는 푸드다큐가 아님을 스스로 다짐했다. 유통에 좀 더 초점을 맞추고 있는 다큐이기 때문에 재료의 여정을 보여 줄 수 있는 장면들이 많이 필요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차량의 이동샷을 통해 농작물이 어디론가 계속 팔려나가는 과정들을 일일이 따라다니며 촬영해야 했다. 생전 처음 가 본 서울 가락시장 경매장의 모습은 갓 수확한 농작물보다도 더욱 신선했다. 모두가 잠든 새벽시간, 그곳은 그들만의 전쟁을 치루고 있었다.


 영국 런던, 프랑스 리옹, 일본 아와지섬에 가서 해외는 로컬푸드 유통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촬영했다. 런던의 경우 먹거리위원회를 중심으로 각 지역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최대한 지역에서 소비할 수 있는 선순환구조를 만들고 이 움직임에 자원봉사자들이 동참하고 있었다. 주말마다 열리는 파머스마켓은 농민과 소비자를 직접 이어주며 짧은 유통망의 확실한 사례를 보여주었다. 리옹은 지역 레스토랑들이 로컬푸드를 식재료로 쓰면서 미식의 도시다운 면모를 보였고 아와지섬은 로컬푸드 운동에 기업도 동참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봄의 시작부터 가을의 끝자락까지. 무럭무럭 자라나는 먹거리의 수확을 촬영할 수 있었고 농민들, 푸드전문가들을 만나서 인터뷰를 했다. 다양한 농가들과 장터를 다녔고 특히나 해외 3개국 촬영분량을 모두 녹아내야 했기 때문에 명료한 사례들 위주로 편집을 시작했다. 한 시간 반 분량의 가편집을 끝내고 점차 현재의 로컬푸드 상황을 먼저 비춰주고 원인을 찾고, 잘된 사례들을 보여준 뒤 나아가서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다뤄주는 스토리텔링으로 완성했다.


 <로드투테이블>이 113회 이달의 영상기자상의 지역특집다큐 부문 수상작으로 선정되어 너무나 감사드린다. 올해초부터 로컬푸드 아이템을 기획하고 방향의 키를 잡으신 한성원PD와 먼 타국에서 함께 고생한 장용석 감독, 그리고 적극적으로 모니터해주신 최승원 영상부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이 다큐가 지역 농가와 소비자간의 거리를 조금이나마 좁힐 수 있는 변곡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한번쯤은 우리 식탁위에 올라오는 먹거리가 어디에서 오는 것 인지를 고민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희망한다.






  1. 제114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인권,노동보도부문 - KBS부산 김기태 <연속기획 '목소리'>

    <연속기획 '목소리'> KBS부산 김기태
    Date2024.01.29 Views116
    Read More
  2. 제114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보도특집다큐부문 - JIBS 윤인수, 고승한 <지구의 유산 마지막 0.7%>

    <지구의 유산 마지막 0.7%> JIBS 윤인수, 고승한 지구의 유산 '물', 마지막 0.7%를 지켜라 <JIBS 윤인수, 고승한 (글)> 지구가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물 때문이다. 지구 지표면은 70% 물로 채워져 있다. 하지만 물의 행성 지구에서 인류가 사용할 수 있는 물...
    Date2024.01.29 Views79
    Read More
  3. 제114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 YTN 강영관 <소년들은 왜 사라졌는가? '선감학원'>

    <소년들은 왜 사라졌는가? '선감학원'> YTN 강영관 아물지 못한 국가폭력의 쓰라린 상처, 선감학원 피해자를 만나다 <YTN 강영관> 부끄럽게도 선감학원 희생자 묘역을 마주하기 전까지 선감학원 사건을 알지 못했습니다. 일제에 의해 세워져 40년간 운영되며 ...
    Date2024.01.29 Views283
    Read More
  4. 제113회 이달의영상기자상 환경보도부문 - KCTV제주방송 김용민 <KCTV환경기획 사라진 제주 돌, 뉴스멘터리 사라진 제주 돌>

    환경보도부문 KCTV제주방송 김용민 <KCTV환경기획 사라진 제주 돌, 뉴스멘터리 사라진 제주 돌> 영상으로 환경영향평가를 평가하다-제주 몽돌·먹돌 해안 취재기 <KCTV제주방송 김용민> “먹돌은 다 사라지고 온통 뻘밭이야.”  어느 날 해녀 삼춘들에게 걸려온...
    Date2023.11.22 Views138
    Read More
  5. 제113회 이달의영상기자상 국제, 통일보도부문 - JTBC 황현우 <하마스 가장 먼저 침투한 가자지구 코앞 마을 가보니...>

    국제, 통일보도부문 JTBC 황현우 <하마스 가장 먼저 침투한 가자지구 코앞 마을 가보니.. 머리 위로 로켓포 날고 수시로 공습경보> 전쟁의 한 가운데서 느낀 '전쟁의 위선' <JTBC 황현우>  10월 7일. 하마스 무장정파가 가자지구의 분리장벽을 넘어 이스라엘...
    Date2023.11.22 Views156
    Read More
  6. 제113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특종단독보도부문 KBS제주 강재윤- <탐사K> 청정제주, 공공 하수슬러지 처리의 민낯 연속보도

    지역뉴스특종단독보도부문 KBS제주 강재윤 <탐사K> 청정제주, 공공 하수슬러지 처리의 민낯 연속보도 청정 제주, 하수 슬러지 처리의 문제 <KBS제주총국 강재윤>  지난 8월 25일, 후배 강인희 기자로부터 급히 사전취재요청이 들어왔다. ‘성이시돌목장’ 근처...
    Date2023.11.22 Views272
    Read More
  7. 제113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보도특집다큐부문 - KBS청주 김현기 <지역특집다큐 - 로드투테이블>

    보도특집다큐부문 KBS청주 김현기 <지역특집다큐 - 로드투테이블> 우리 식탁 위에 올라오는 먹거리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KBS청주총국 김현기>  어릴 적 살던 동네는 5일장이 열릴 때면 수많은 사람들로 북적였다. 하굣길에 그 시장통을 지나와야 했기에...
    Date2023.11.22 Views177
    Read More
  8. 제112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환경보도부문 - JTBC 박재현 <[밀착카메라] "이러시면 안 됩니다"..."비매너"에 몸살 앓는 계곡>

    환경보도부문 JTBC 박재현 <[밀착카메라] "이러시면 안 됩니다"..."비매너"에 몸살 앓는 계곡> 2021년 여름, JTBC <밀착카메라>팀은 여러 계곡에서 벌어지는 방문객들의 비양심·불법 행위를 보도했다. 박재현 기자와 취재팀은 2년이 지난 뒤, 다시 그 현장을 ...
    Date2023.09.22 Views111
    Read More
  9. 제112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특종단독부문 - KBS청주 강사완, 김정현, 김성은 <청주 오송 궁평지하차도 참사 단독 및 기획 연속보도>

    지역뉴스특종단독부문 KBS청주 강사완, 김정현, 김성은 <청주 오송 궁평지하차도 참사 단독 및 기획 연속보도> 지난 7월 15일 오전, 충북 청주시 오송 궁평 2 지하차도에 침수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는 애초 알려진 것보다 훨씬 큰 인명를 발생시켰고, 대대적...
    Date2023.09.22 Views146
    Read More
  10. 제112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 G1방송 권순환 <해수면상승, 위기의 한반도>

    지역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G1방송 권순환 <해수면상승, 위기의 한반도> 최근 몇 년 동안 강원도 동해안 지역에서는 급격해진 조수간만의 차와 더 크고 잦아진 너울, 석호의 바다화, 토양의 염분화, 태풍으로 인한 침수 피해 등이 일상화되고 있다. 이는 지구...
    Date2023.09.22 Views103
    Read More
  11. 제112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 MBC 박주영 <[단독] [바로간다] 예천산사태> 원인보도

    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MBC 박주영 <[단독] [바로간다] 예천산사태> 원인보도 올 여름 한반도를 강타한 기록적인 폭우는 많은 지역에 피해를 발생시켰다. 특히, 경북지역을 비롯한 산간지역들은 크고 작은 산사태로 인해 올해도 인명피해와 재산상 손해를 입게...
    Date2023.09.22 Views131
    Read More
  12. 제111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특종단독보도부문 - KBS전주 한문현 <('와르르' 국가항만, 총체적 부실 보고서) 단독 기획보도>

    지역뉴스특종단독보도부문 KBS전주 한문현 <('와르르' 국가항만, 총체적 부실 보고서) 단독 기획보도> ‘새만금 국가항만 사업’은 , 2040년까지 3조 7천억 원을 쓰는 대규모 국가공사로, 기초 단계인 항만 기초구조물 건설 사업이 한창인 상황 속에서 전체 구...
    Date2023.07.24 Views117
    Read More
  13. 제111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지역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 부산MBC 박현진 <'돌고래보고 캥거루 체험'…해외출장에 10억 쓴 의원님들>

    지역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부산MBC 박현진 <'돌고래보고 캥거루 체험'…해외출장에 10억 쓴 의원님들> 코로나19해제 이후, 지난해 10월부터 8개월간, 부산지역 16개 기초의회의 의원들은 1회에서 3회까지 해외출장을 다녀왔고, 여기에 사용된 시민들의 세금은 ...
    Date2023.07.24 Views116
    Read More
  14. 제111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인권,노동보도부문 - MBC충북 김병수 <'검은 속삭임 널 구해줄게' 기획보도 7편>

    인권·노동보도부문 MBC충북 김병수 <‘검은 속삭임 널 구해줄게’기획보도 7편> 가출청소년들을 도와주겠다는 명목으로 온라인에서 그들을 유혹하여 성 착취하는 ‘헬퍼’라 불리는 성인 남성들을 추적, 고발하고, 미성년자의제강간죄 5년 치 판결문 687건과 피고...
    Date2023.07.24 Views119
    Read More
  15. 제111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멀티보도부문 - YTN 시철우 <YTN 탐사보고서 기록 (강제동원-피해자 없는 시대)>

    멀티보도부문 YTN 시철우 탐사보고서 기록 (강제동원 - 피해자 없는 시대)>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인 이금주 할머니가 도쿄지방재판소에 제출한 2584장에 달하는 소장과 10년 넘게 할머니가 작성한 일지, 100여 편이 넘는 비디오 자료를 전수 분석해, 한국과 ...
    Date2023.07.24 Views121
    Read More
  16. 제111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SBS 김승태 - <마약 팬데믹 골든타임은 있다>

    뉴스탐사기획보도부문 SBS 김승태 <마약팬데믹 골든타임은 있다> 우리보다 먼저 마약 문제를 겪고 있는 미국의 여러 현장을 돌아보며, 마약 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마약을 막을 대책들을 모색하는 기획 보도 시리즈. “마약의 환락...
    Date2023.07.24 Views173
    Read More
  17. 제110회 이달의영상기자상 지역뉴스특종단독보도부문 - 목포MBC 홍경석, 노영일 <'700억 전남도청 사무관리비 예산, 은밀한 관행' 연속단독보도>

    <'700억 전남도청 사무관리비 예산, 은밀한 관행' 연속단독보도> 목포MBC 홍경석, 노영일  제110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수상소감 ‘세금으로 쇼핑’, 700억대 전남도청 사무관리비의 은밀한 비밀 <목포MBC 홍경석> 내돈으로 쇼핑몰 물건을 살 때 과연 19%의 웃...
    Date2023.05.26 Views167
    Read More
  18. 제110회 이달의영상기자상 인권, 노동보도부문 - KBS제주 고진현 <절대 극비>

    <절대 극비> KBS제주 고진현  제110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수상소감  가려진 한국사의 비극. 절대극비 ’예비검속‘에 마주하다.  <KBS제주 고진현>  한국 현대사에 가장 큰 비극인 제주 4·3은 올해가 75주년을 맞는 해입니다. 그리고 6.25 정전협정이 체결...
    Date2023.05.26 Views162
    Read More
  19. 제110회 이달의영상기자상 보도특집다큐부문 - 제주MBC 김현명 <4.3특집 남겨진 아이들>

    <4.3특집 남겨진 아이들> 제주MBC 김현명  제110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수상소감  국가 폭력에 부모형제 빼앗긴 제주 아이들의 이야기  〈제주MBC 김현명〉  [직권재심] 직권재심제도는 제재대상자의 권리를 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로서 제재...
    Date2023.05.26 Views143
    Read More
  20. 제110회 이달의영상기자상 멀티보도부문 - MBC 손지윤 <[현장36.5] 응급구조사가 된 세월호 생존 학생>

    <[현장36.5] 응급구조사가 된 세월호 생존 학생> MBC 손지윤  제110회 이달의 영상기자상 수상소감 그래도 우리는 오늘을 살아갈 것이다  〈MBC 손지윤〉  ▲세월호 생존학생, 장애진 응급구조사  어느 날 밤의 참회로 시작된 기사 참혹했던 작년 핼러윈데...
    Date2023.05.26 Views22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7 Next
/ 1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