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17 21:58

기자들도 쇼를 하라!

조회 수 685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기자들도 SHOW를 하라!

 4월 10일 낮 12시 50분. 점심 뒤 양치질을 할 틈도 없이 휴대전화가 울어댔다.

“SK텔레콤 본사에 차량 돌진! 빨리 가!”

 군대 무전만큼이나 간결한 지시를 받고 달려간 현장에는 보기에도 아까운 벤츠 승용차가 회전문에 박힌 채 그대로 있었다. 하지만 경찰과 소방관 그리고 SKT쪽 직원들에 의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현장 수습 작업이 우리에게 중계차를 불러 세팅할 시간을 주지 않을 것처럼 보였고, 회사에서는 다른 어떤 지시 대신 동영상 휴대전화 하나를 보내왔다. 그때부터 나의 신분이 취재기자임과 동시에 중계 감독 겸 중계 카메라맨 그리고 사운드맨이 됐다.

 동영상 휴대전화로 현장 분위기를 가장 잘 잡을 수 있는 위치 선정부터가 우선. 상대적으로 아주 작은 부분만 보여줄 수 있는 동영상 휴대전화 화면으로 가장 현실감 있는 화면을 잡을 수 있는 위치 선정이 중요하다. 그 다음은 송수신 상태 체크. 아무리 급한 상황의 생중계라지만 회사 안의 뉴스 부조와 연결해서 화질과 오디오 상태를 점검하며 미리 방송 부분을 맞춰봐야 가장 기초적인 사고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사전 점검 역시 필수다. 동영상 휴대전화와 부조의 연결이 끝나면 이번에는 오디오 전송을 위한 휴대전화까지 연결해야 방송 준비가 끝난다. 아직은 동영상 휴대전화를 통해서 화면과 오디오를 동시에 ON-AIR까지 시키기에는 기술적인 문제가 있어서 동영상 휴대전화를 이용한 중계를 할 때는 사실상 전화기 두 대를 가지고 있어야 가능하다. 물론 방송 참여 준비를 하는 동안에도 나의 본연의 업무인 취재가 동시에 이루어져야한다. 누가, 언제, 왜 이런 사고를 치게 됐는지를 알아야 떠들 수 있는 것 아니겠는가. 물론 원고는 없다. 전화기 두 대를 들고 있으려면 원고를 줘도 볼 수 없다. 이쯤 되면 동영상 휴대전화와 방송의 만남이 약간 원망스러울 때도 있다.

 긴 한숨과 함께 땀나는 생방송을 끝내고 나면 내가 한 쇼(SHOW)를 돌아본다. 아직은 중계차량을 동원한 생방송 참여가 가장 보편적인 방송 현실. 하지만 동영상 휴대전화는 뉴스 중계라는 부분에 있어서 비용과 장비, 인력의 제한을 단숨에 뛰어넘는 획기적인 장비임에 틀림없다. 취재기자 한명과 동영상 휴대전화 한 대만 현장에 있으면 (물론, SNG와 같은 중계 장비를 이용한 것과는 아직 많은 차이가 있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기존의 전화 연결을 통한 방송 참여 방식을 훌쩍 뛰어넘게 됐으니까.

 획기적인 시도인 만큼 아직 보강, 개선돼야할 부분이 많다. 동영상의 화질이 아직은 많이 떨어지는 편이라는 게 가장 큰 문제. 카메라를 움직이게 되면 화질이 깨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정지화면 역시 CCTV보다는 낫지만 방송용이라고 하기에는 부족한 게 사실이다. 오디오 송출 역시 아직은 넘어야 할 산이다. 지금은 오디오 전송을 위한 휴대전화 한 대를 더 연결해서 두 대를 가지고 방송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화면의 입모양과 실제 소리가 차이가 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 야간에는 외부 조명 시설이 없는 한 현장을 보여줄 수 없는 치명적인 한계도 가지고 있다.

 아직은 많은 문제점이 있지만 무엇보다 경계해야 할 것은 동영상 휴대전화의 남발일 것이다. 통상적인 방송 화질과 많은 차이가 있음에도 현장 연결을 감행할 때는 분명 그만큼 중대한 사안이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최대한 빨리 전해야하는 상황이어야 하고, 시청자들을 그 뉴스를 보고 그만큼 놀랄 것이다. 하지만 현장성만 강조해 남발하다보면 시청자들에게 오히려 “뭔가 큰일이 났나보다”하는 불안감을 주게 될 것이고 이러한 일이 잦아지면 나중에는 양치기 소년처럼 돼 버릴 수도 있을 것이다.

홍선기 / YTN 보도국 사회팀 기자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윤 대통령, 금명간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할 듯 file 2023.06.29 148
감사로 털고 주인 바꾸고 압수수색으로 겁 주고 돈줄 죄고… file 2023.06.29 147
아소타로 일본 자민당 부총재의 역사인식 file 2023.06.29 174
“언론이 작고 위태로운 성냥일지라도 그것이 없다면 어둠은 훨씬 커질 것” file 2023.06.29 134
전쟁 취재하면 형사처벌? file 2023.06.28 132
대통령실이 빼든 KBS 수신료 분리 징수…“방송 장악’노골화” 반발 file 2023.04.26 200
일본 군국주의 전범자가 제정한 ‘나카소네 야스히로 상(賞)’ file 2023.04.26 744
MBC충북 김병수, 신석호 기자 <미래유산을 찾아서>가 보도한 건축물들 줄줄이 충북 등록문화재 ‘등록’ file 2023.04.26 286
2022년 최고의 영상보도 7편, 제36회 한국영상기자상 수상 file 2023.03.03 263
협회, 풀(Pool)취재·포토라인 준칙, ‘영상보도가이드라인’ 개정한다 2023.03.03 238
“영상기자들, 초상권 침해 규정 절반만 인지” file 2023.03.03 292
2022년 제주·대전충남지역 영상보도, 작품이 되고 역사가 되다. file 2023.03.03 177
나준영 MBC영상기자, 제28대 한국영상기자협회 회장 선출 file 2023.03.03 225
MBC, 안형준 신임 사장… 보도의 독립성과 공정성, 사내 형평인사, 지역MBC, 중소제작자와의 협력과 상생 공약 2023.03.03 175
10.29 참사 취재한 영상기자들, 심각한 트라우마 호소 file 2022.12.28 255
MBN 6개월 업무정지 행정소송 2심판결 앞두고 사원들 생존권위협 호소 2022.12.28 238
윤 대통령, 도어스테핑 중단·신년 기자회견 보류, 공식일정 취재 ‘제한’ 늘어나 2022.12.28 137
법사위에서 잠자는 공영방송 지배구조개선법안 2022.12.28 109
‘이태원 참사’ 취재로 트라우마 겪고 있다면? 2022.12.28 113
“1980년 광주의 비극,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계속돼, 힌츠페터 기자의 5.18취재정신 이어가야” file 2022.11.02 23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0 Next
/ 4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