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3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No Attached Image

제목 없음

<대선 취재기자와의 일문일답>

제17대 대선 한마디로 하면 ‘눈코 뜰새없다’

 제17대 대통령선거가 12일 앞으로 다가왔다. 그로 인해 대선주자들의 취재를 맡은 기자들은 그 어느 때보다 바쁜 일정을 소화해 내고 있다. 많은 대선 취재 기자들 중 이회창,권영길, 이인제 후보의 취재를 맡고 있는 KBS 김승욱 기자와 대선 취재에 대한 짧은 얘기를 나눠 보았다.

1. 요즘 하루 일과가 어떻게 되나?

 아침 7시 30분 경 국회에 모여 스케줄 체크를 한 후, 맡고 있는 대선주자들의 유세장소 2~3곳을 취재한다. 보통은 5시 뉴스부터 당일 유세 아이템이 나가기 때문에 그 전에 회사에 들어와 뉴스로 내보내고, 특별한 일이 있는 경우에는 그 일까지 마치고 회사로 복귀한다.

 복귀후 촬영원본을 체크하고 편집을 한다. 보통 퇴근 시간은 8시에서 9시 정도 되는데, 워낙 일정이 많기 때문에 주말이나 휴일에도 거의 취재를 나가고 있다.  

2. 대선 취재는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나?

 일정이 많다 보니 KBS, MBC, SBS, YTN은 한시적으로 풀 시스템을 운영해 취재를 하고 있다. 유세일정중 주요 행사나 유권자가 많아 모여 영상취재가 가능한 곳을 풀팀에서 정한다. 4사가 3팀으로 나누어 담당 후보들을 맡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눈코 뜰새 없을 정도로 바쁘다.  

3. 대권주자들을 가까이서 취재하면서 느낀 점

 전에 취재 지원을 한 적은 있었지만, 이렇게 취재를 하는 것은 처음이다. 취재를 하면서 느낀 점이라면, 선거의 재미가 전보다 덜하다는 것이다. 이는 뒤집어 생각하면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후보자들이 최대한 시민에게 불편을 끼치지 않는 범위에서 선거 운동을 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전에는 본인의 이미지를 부각 시키기 위해 시민들에게 불편을 끼치면서까지 그러한 상황을 연출하려 했으나 지금은 그런 모습을 보기 어렵다. 후보자나 선거운동을 하는 사람들의 마음 자세가 조금은 성숙해졌다고 볼 수 있겠다.

4. 취재를 하면서 어려운 점

 어려운 점이라면 다른 취재도 마찬가지겠지만, 매우 많은 수의 취재진이 몰린다는 것이다. 취재진만 몰리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까지 촬영에 나선다. 모든 후보를 같은 비중으로 다루어 주어야 하는데, 구도 조차 잡기 어려워 영상을 구성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 점이 가장 어려운 것 같다.

5. 취재를 하면서 보람 있었던 점

글쎄, 후보의 이미지가 내가 촬영한 뉴스 영상에서 제대로 표현 되었다고 느껴질 때 뿌듯함을 느꼈던 것 같다. 카메라기자는 ‘영상’으로 말하는 직업 아닌가? 본인이 취재한 영상이 만족스럽다면 그 무엇보다도 뿌듯하고 보람 있다.  

6. 취재를 하면서 느낀 ‘2007 대통령 선거, 이렇다’

한 마디로 말하면 ‘아쉽다’고 할 수 있겠다. 이전 선거도 마찬가지였겠지만, 더 나은 ‘정책’으로 경쟁하기 보다는 상대방의 약점을 들춰내 깎아 내리기가 주가 되는 것 같아 아쉽다. 선거 문화가 전보다는 깨끗해진 것이 사실이나 좀 더 의식적인 변화의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

안양수 기자 soo179@naver.com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문체부, 저작권법 전부 개정 작업 들어가 file 2020.07.08 516
저작물이어도 성명 표시는 당연… 가짜뉴스에 악용 등 권리 침해 발생해도 대처 불가 file 2020.07.08 487
독일, 저작재산권·인격권 모두 ‘창작자 귀속’ 영국·미국·EU, 창작자의 저작인격권 ‘인정’ file 2020.07.08 614
방통심의위, 시신 운구 영상·드론 촬영 방송사에 잇달아 ‘권고’ 결정 file 2020.05.11 516
“언론, 인권 감수성 부족” 비판에“ 오히려 잘 된 일” 지적도 file 2020.05.11 429
새로운 플랫폼(Platform)으로서의 유튜브(Youtube) file 2020.05.11 558
제33회 한국영상기자상 시상식 열려 file 2020.03.12 439
코로나, 지역사회 전파로 영상기자 안전 '빨간 불' file 2020.03.12 342
전통미디어의 위기 유투브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인가? file 2020.03.12 1131
협회, ‘2020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발간 file 2020.01.08 685
방송사, 세월호참사 특조위에 이례적 영상 제공 file 2020.01.08 470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KBS·MBC, 아카이브 재구성 아이템 ‘눈길’ file 2020.01.08 806
협회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연구위원 김창룡 교수, 방통위 상임위원 임명 file 2020.01.08 452
영상을 통해 기록되는 역사의 사실 보도영상실록 file 2020.01.08 358
협회, ‘2019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초안 공개 file 2019.11.07 4329
‘몰카’부터 ‘저작권’까지…다양한 송사 사례 쏟아져 file 2019.11.07 828
원전 취재, 기자 안전 보호 장치 ‘절실’ file 2019.11.07 470
“드론 취재, 안전이 우선” 항공안전법 준수 등 드론 교육 필요 file 2019.11.07 499
정경심 교수 모자이크 처리, 피의자 인권 보호 신호탄 될까 file 2019.11.06 348
모자이크와 초상권 file 2019.11.06 186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0 Next
/ 4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