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99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No Attached Image

카메라기자존, 어떻게 생각하나?

응답자의 95%, 카메라기자존 긍정적으로 생각해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전광선)는 최근 몇 년 사이 급증한 취재진으로 인해 취재 현장의 혼잡이 극심한 현 시점에서, 그 질서를 바로잡고 안전한 취재 환경을 확보하고자 ‘카메라기자 존(가칭)’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협회는 회원들의 카메라기자존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지역 회원 21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관련기사 4~5면)

※ ‘카메라기자 존’이란?

 약 5팀의 카메라기자가 자리를 잡고 안정된 취재를 할 수 있도록 바닥에 단이나 깔개를 놓고 접근 금지 팻말이나 바를 세워 만든 공간. 기자실이 존재하는 모든 곳에 설치하며 지속적인 브리핑과 중요 발표 및 인터뷰 장소로 활용함.

 카메라기자들은 ‘카메라기자 존 설치’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이번 설문 조사에서 주목할 만 한 점은 카메라기자 대부분이 ‘카메라기자 존’의 필요성에 대해 인정 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카메라기자 존의 필요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이라는 질문에서 “반드시 필요하다”에 59%, “있으면 좋다고 생각한다”에 36%가 답을 해 총 95%가 ‘카메라기자 존’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설치시기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기자실 재 설치와 맞물려서”라는 대답이 40%로 가장 많았고, “실용정부 출범과 함께”라는 답과 “충분히 준비해서”라는 답이 각각 22% 정도 나와 카메라기자 존이 설치된다면 기자실 재 설치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설치장소는 어디까지가 합당하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주요 취재 현장”이라는 답이 55%를 차지했고, “협조 가능한 곳”이라는 답이 24%, “기자실 브리핑 룸”이라는 답이 11%, “촬영 포인트라면 모두”라는 답이 9%로 기자들이 많이 모여 혼잡의 가능성이 있는 모든 취재현장에 ‘카메라기자 존’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과반수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 및 관리의 주체에 대해서는 58%가 “각 출입처 간사”라고 답했고, 20%가 “각 출입처 직원”, 13%가 회원사 출입기자들이 순번제로 담당하는 것이 좋다고 대답했다.

 “협회 회원(카메라기자)를 제외한 다른 사람들의 사용은 어디까지 허용하는 것이 합당할까?”라는 물음에는 40%가 사용허가제(카메라기자 외 취재진이 사용을 원할 때에는 허가를 받은 사람에 한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허가는 매번 이루어지며 취재 질서가 무너지지 않는 범위에서 허용 인원수를 정한다)를 도입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대답했다. 이어 회원(카메라기자) 외 사용은 금지한다는 의견이 26%, 사진기자협회와의 조율을 통해 사진기자협회 회원(사진기자)와 함께 사용한다는 의견이 23%로 비슷했으며, 카메라기자가 없을 때만 사용 가능하게 한다는 의견이 10% 정도 있었다.

 이 외 브리핑 룸이 갖춰져 있는 취재 현장을 제외하고 카메라기자 존이 꼭 설치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곳을 적어달라는 질문에 공항입국장(25명), 검찰(20명), 경찰서(19명), 스포츠 경기장(12명), 영화시사회장(12명), 시민단체 기자회견장(9명), 기업체(5명) 등의 의견이 있었으며, 코엑스, 대학, 비상설 사건사고 현장, 시위현장, 국회 각 분과별 상임위장 등 답도 있었다.

안양수 기자 soo179@hanmail.net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지명관 전 한림대 교수, 5·18언론상 공로상 수상 file 2020.09.09 301
MBN 6개월 업무정지 행정소송 2심판결 앞두고 사원들 생존권위협 호소 2022.12.28 299
나준영 MBC영상기자, 제28대 한국영상기자협회 회장 선출 file 2023.03.03 290
“1980년 광주의 비극,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계속돼, 힌츠페터 기자의 5.18취재정신 이어가야” file 2022.11.02 288
문제 발언 취재, 보도한 MBC 영상기자, 취재기자에 협박편지도 file 2022.11.02 276
‘대통령+집권여당→방통위→공영방송 이사→사장’ 수직 구조 깨져야 file 2022.05.03 271
전범국 독일과 일본은 무엇이 다른가 file 2024.03.04 271
코로나19, 언론사도 못 피해가…CBS, 언론사 최초 ‘셧다운’되기도 file 2020.09.10 269
'2023 전국신입주니어영상기자연수' 11월 30일부터 2박 3일간 강릉서 열려 file 2023.12.21 258
‘함께 모색하는 영상기자의 발전’ 주제로 file 2022.08.31 249
공영방송 지배구조개선 법안 발의 국회 빠른 입법처리로, 공영방송 국민의 품으로 돌려줘야 file 2022.05.03 245
대통령실이 빼든 KBS 수신료 분리 징수…“방송 장악’노골화” 반발 file 2023.04.26 244
협회, 11월 27일 'AI 저널리즘의 미래와 취재제작윤리' 세미나 개최 file 2023.12.21 244
방통위, ‘자본금 편법 충당’ MBN 최종 의결 앞둬 file 2020.11.11 242
“언론 자유 중요성, 진실 보도 당위성을 스스로 돌아보는 기회 될 것” file 2023.12.21 239
아소타로 일본 자민당 부총재의 역사인식 file 2023.06.29 233
2022년 제주·대전충남지역 영상보도, 작품이 되고 역사가 되다. file 2023.03.03 232
현장취재진 위험으로 내모는 KBS의 인건비 감축 국가재난방송, 공영방송보도기능 위축 불가피 2024.02.29 230
‘대통령 비속어 논란’ 국내외에서 언론자유 퇴행 우려 2022.11.02 227
제37회 한국영상기자상 대상에 KBS부산 김기태 기자 '연속기획-목소리' file 2024.02.29 227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