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78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제목 없음

지역사 최초의 여자 카메라기자, 수습을 마치다

“10kg, 그 이상의 무게를 어깨에 얹고”

“여자 카메라 기자는 처음 뵙네. 그거 안 무거워요?”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가버린 수습기자 생활 3개월. 그 짧은 시간동안 무수히 들은 인사 아닌 인사말. 처음 몇 번은 ‘가볍게’ 웃으며 무겁지 않다고 대답했다. 선배들이 농담처럼 종종 말하는 ‘지역사 최초의 여자 카메라 기자’라는데, 저런 말이 나오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무겁지 않다고 대답하는 나의 문장은 말줄임표를 덧붙인 듯 무거워졌다. 취재를 가는 곳마다 듣게 되는 그 말의 혹은 그 상황의 함의를 서서히 느꼈기 때문이다. 그것은 내가 들고 있는 카메라의 물리적 무게가 아니라 그 카메라에 얹힌 내 위치의 무게였다.

 내게 있어 방송의 가장 큰 매력이자 장점은 “모두가 가질 수 있는 평등함”의 매체라는 것이다. 방송은, 그 중에서도 지상파 방송은 주목받지 못하는 평범한 사람들의 생활을 보다 잘 그려낼 수 있고 힘든 삶을 함께 나눌 수 있는 매체라고 생각한다. 그러한 평등성은 내가 방송을 꿈꾸는 이유가 되었고, 영상 없는 방송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기에 카메라 기자가 되고자 했다. 그렇게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방송에 대한 고민 속에서 ‘여성’인 카메라 기자에 대해서는 - 솔직히 고백하자면 - 따로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면접을 보러 갔을 때 온통 넥타이를 맨 양복 입은 남성들이 대기 중인 것을 보고 ‘어라?’ 했던 것이 처음이었던 것이다. 지금 생각하건대, 그 때 ‘쟤는 뭐지?’라는 시선을 느낀 순간부터는 꼭 ‘여성 카메라 기자’가 되어야겠다는 나름의 결연함으로 시험을 치렀던 것 같다. 그리고 부산MBC의 카메라 기자가 되었다. 수습 교육을 받으며 적응하느라 그 결연함은 잠시 잊어버린 채 정신없이 2개월을 보냈다. 3개월 차에 접어들면서 카메라를 들고 현장에 나가게 되었고, 그와 더불어 다시 느끼게 된 시선 그리고 무겁지 않느냐는 인사말. 나는 - 아직까지는 - 신기한 존재인 ‘여성 카메라 기자’인 것이다. 더구나 지역에서는 더 말할 것도 없는.  

 지금은 무겁지 않느냐는 인사말에 속으로 대답한다. 무겁다고. 이깟 10킬로그램 때문이 아니라, 내가 아니 정확히 말해 여자인 내가 얼마나 잘 해내는 지 지켜보고 있는 수많은 눈빛이, 여기저기서 카메라 기자를 향해 달리고 있는 다른 여성들의 꿈이 내 어깨에 함께 얹혀 있는 것만 같아 꽤 많이 무겁다고. 하지만 그 기분 좋은 무게감에 나는 결연해진다. 아직은 아주 많이 어설프지만, 여성이기 때문에 더 빛을 발하는 카메라 기자가 되리라 두 주먹 불끈 쥔다.

 10kg, 그 이상의 무게를 어깨에 얹고 이제 시작이니까.

우현주 / 부산MBC 보도국 영상취재팀 기자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1980년 광주의 비극,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계속돼, 힌츠페터 기자의 5.18취재정신 이어가야” file 2022.11.02 288
“6월, 미디어법 관련 국회 난투극 재발되나?” file 2009.05.18 4744
“KBS2TV·SBS ‘조건부3년’재허가한다” file 2021.01.06 333
“공공성 빠진 저급미디어 난립 우려” 2005.06.02 7387
“드론 취재, 안전이 우선” 항공안전법 준수 등 드론 교육 필요 file 2019.11.07 543
“디지털이 바꿔 놓은 뉴스취재의 기록 ” 2008.07.04 5792
“몰카 촬영 여부 판단 기준은?” “물리력으로 취재 방해할 땐 어떻게…” file 2020.11.16 441
“언론 자유 중요성, 진실 보도 당위성을 스스로 돌아보는 기회 될 것” file 2023.12.21 239
“언론, 인권 감수성 부족” 비판에“ 오히려 잘 된 일” 지적도 file 2020.05.11 465
“언론이 작고 위태로운 성냥일지라도 그것이 없다면 어둠은 훨씬 커질 것” file 2023.06.29 189
“없애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포토라인과 알 권리 file 2019.05.07 799
“영상기자들, 초상권 침해 규정 절반만 인지” file 2023.03.03 353
“지역 방송사 영상기자 평균 연령 50대” “개인 차로 자가운전해 취재” file 2021.01.06 614
“초상권 보호 대상, 공인 개념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중요” file 2019.07.03 665
“카메라기자와 카메라감독 통합운영을 바라보며” 2009.05.18 5611
“코로나19 이후 해외 취재 재개한다” file 2021.05.06 453
“한국 언론사(史)의 이정표…윤리적 다짐 넘어 실질적 지침이 될 것” file 2019.01.02 438
“현장 정착 위해 교육·홍보 필요” “동영상 교육 자료도 효과적일 것” file 2019.07.03 565
간담회 - 젊은 카메라 기자들의 수다 file 2013.12.17 3642
감사로 털고 주인 바꾸고 압수수색으로 겁 주고 돈줄 죄고… file 2023.06.29 218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