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32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수정 삭제


미디어 환경의 급진적인 변화, 국민의 동의를 구하는 작업 반드시 선행돼야


영화 <아바타>의 인기는 시청자에게 3D 영상이 친근하게 접근하는 계기가 됐다. 또한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소비자 가전쇼 2010’에서 선보여진 3D 신기술들은 미디어환경의 급변을 예고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힘입어 정부는 올해 3D 콘텐츠에 대한 예산으로 200억여 원을 책정했다. 그리고 지난 12월29일에는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가 '3D TV 실험방송 추진단'을 출범시켰으며, 국내 3D 방송 촉진을 위한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올해 10월에는 풀 HD급 지상파 3D TV 실험방송을 실시해, 3차원 영상의 방송을 조기에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계획들은 세계의 3D 시장을 선점하고 3D 미디어환경을 조기에 정착시키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결과다. 새로운 미디어 환경은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정부의 3D 방송 계획이 국민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다는 점은 참으로 아쉬운 일이다.

3D? 영상을 입체적으로 만들어 ‘현실 재현’ 효과를 내는 것
몇몇 광고와 만화 속에서 우스개 차원으로 연출된 ‘사람이 TV를 뚫고 나오는 것’을 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어떻게 저런 일이 가능할 수 있을까 싶지만, 2차원이 아닌 3차원으로 영상을 접한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쉽게 말하자면 TV에서 ‘사람이 뚫고 나오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은 3D영상으로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3차원 영상은 한 대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동시간대에 다양한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들로 만들어진다. 우리가 물체를 3차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은 하나의 물체를 바라볼 때 오른쪽 눈과 왼쪽 눈으로 들어오는 신호가 다르기 때문이다. 양쪽 눈으로 들어가는 영상신호가 다르기 때문에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오늘날 이를 활용해 편광안경을 이용하거나, 디스플레이 되는 장치에 렌즈를 부착함으로써 각 눈으로 들어가는 영상이 다르게 만드는 방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풀 HD 3D환경으로 가는 LCD와 카메라의 진화
지난 12월 3일 LG 디스플레이는 세계 최초로 ‘셔터안경’식의 풀 HD 3D LCD를 양산 출시했다. 또한 파나소닉은 업무용으로서 세계 최초로 양안식 풀 HD 3D카메라를 발표해 올해 가을부터 발매할 예정이다. 이러한 미디어 장비 기술의 혁신적 진보는 정부로 하여금 3D 시장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하고 있다.
LG 디스플레이에서 발표한 LCD는 현재 상용화 된 HD급 3D 디스플레이보다 두 배 이상 화질이 선명하며, HD급 3D LCD 및 풀 HD급 2D LCD에 비해 두 배 이상 많은 영상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는 점을 자랑한다. 파나소닉에서 발표한 카메라의 경우 하나의 카메라에 두 개의 렌즈, 카메라 헤드, 메모리 카드가 있다. 종래의 3D카메라는 좌우의 눈용으로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2대의 카메라를 가지고 두 개의 렌즈를 통해 광축을 인간의 눈의 간격인 6.5cm분 만큼 떼어놓아 설치해 촬영했다. 그러나 카메라가 클 때 간격을 조정할 수 없기도 했고, 이동할 때 엇갈림이 생기기도 했다. 단계적으로 3D 영상 제작의 어려움이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확실히 이러한 LCD의 지속적인 기술력의 향상은 현실과 가까운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방통위는 올해 하반기 풀 HD급 3D 방송을 지상파, 케이블, 위성에서 실험 송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 밝혔다. 더불어 오는 11월에 열릴 예정인 G20 정상회의 때 이를 시연하고, 내년과 내 후년 각각 열리는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와 여수세계박람회도 3D TV로 중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사를 통해 정부의 입장을 ‘통보’마냥 들은 이런 계획은 앞으로 겨우 아홉 달 남은 일이다.

3D 산업, 국민 고려하지 않는 ‘아름다운’ 신 성장동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주도해온 한국의 3D 기술은 아직까지 서구나 일본과 비교하면 한 발 뒤처져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한국은 올해 세계 최초로 지상파 TV를 통해 풀 HD 3D 콘텐츠를 송출할 전망이다. 일본의 3D 방송의 경우 위성방송이며 풀 HD화질이 아니다. 또한 일반 TV를 보유한 가정에서는 겹쳐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지상파로의 송출을 머뭇거리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서구나 일본에 비해 뒤쳐진 3D 기술을 가진 한국이 세계 최초로 풀 HD 3D 콘텐츠를 송출하겠다는 시도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3D 방송시장 선점과 활성화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깔려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는 이러한 사업 추진에 있어 일본을 비롯한 다른 나라들이 시도하지 못했던 이유, 즉 일반 TV를 가진 가정에서는 겹쳐진 화면을 볼 수밖에 없다는 현실을 충분히 감안해야만 한다. 지상파는 국민의 TV 시청권까지 고려한 공익에 근거한 방송을 제작하고 송출해야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정부와 방통위, 문화관광부의 계획 아래서 국민들의 동의 없이 지상파 실험방송을 실시하고, 내년과 내후년의 몇몇 행사를 3D로 중계하겠다는 야망은 적절해 보이지 않는다. 방통위 전파방송관리과 담당 사무관은 “3D 콘텐츠를 송출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3D 시험방송은 국민들에 대한 충분한 고려와 동의를 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신 성장동력의 ‘국익’이라는 수식어로 정부의 일방적인 입장의 표출함으로써 국민들의 TV 시청권을  유보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 이것은 국민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기만해버린 ‘독선’이다. 물론 앞으로 엄청난 미디어 환경의 변화가 올 것이라는 것은 충분히 예상 가능한 일이나, 정부와 방통위의 이러한 계획들이 세계 3D TV 시장 선점의 기반 마련이라는 의도에서 비롯된 ‘조급증’은 아닌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기술의 경쟁적 선진화라는 정부의 욕망에, 시청자가 고려되지 않고 단순히 휘둘려지는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황혜정 기자 hjnorza@gmail.com


※ <미디어아이> 제71호에서 이 기사를 확인하세요
미디어아이 PDF보기 바로가기 링크 ▶▷ http://tvnews.or.kr/bbs/zboard.php?id=media_eye&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938

  1. 선정 보도 계속 되야 하나?

    제목 없음 선정보도, 계속 돼야 하나? 연예인 취재 현장에서의 문제점 지난 9월 8일, 탤런트 고 안재환 씨의 사망 현장. 안 씨가 사망한 차량 주위로 취재진들이 하나 둘 모여들었다. 현장은 차의 운전석 창문이 열린 곳을 통해서만 스케치할 수 있었고 일부 ...
    Date2008.12.11 Views4569
    Read More
  2. 세계 자유·민주·평화에 기여한 영상기자 대상…5·18정신 세계화 기대

    세계 자유·민주·평화에 기여한 영상기자 대상…5·18정신 세계화 기대 “공신력 확보, 기금 마련 등 현실적 문제 충분히 검토해야” ▲ 5ㆍ18 기념문화센터에서 열린 힌츠페터 국제 보도상 제정 세미나에서 인제대 신문방...
    Date2019.09.06 Views415 file
    Read More
  3. 세계 최초 지상파 풀 HD 3D 방송 계획

    미디어 환경의 급진적인 변화, 국민의 동의를 구하는 작업 반드시 선행돼야 영화 <아바타>의 인기는 시청자에게 3D 영상이 친근하게 접근하는 계기가 됐다. 또한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소비자 가전쇼 2010’에서 선보여진 3D 신기술들은 미디어환경의 ...
    Date2010.01.13 Views5326 file
    Read More
  4. 세월호 참사 4주기를 맞이하며...우리에게 남은 숙제

    세월호 참사 4주기를 맞이하며...우리에게 남은 숙제 ▲사진제공: 한국사진기자협회 2014년 4월 16일 오전 9시 45분 취재 회의가 끝날 무렵 회의실에 뉴스속보 하나가 전달됐다. “서해바다 진도 해상 여객선 좌초” 곧바로 보도국 기자들은 하나같이 휴대폰을 ...
    Date2018.05.04 Views643 file
    Read More
  5. 세월호 참사 기록보존, 어디까지 왔나?

    세월호 참사 기록보존, 어디까지 왔나? 가족대책위, 안산에 "416기억저장소"마련 사회적 기억화를 위한 민/관 협력모델 구추세월호 참사 기록보존, 어디까지 왔나? 가족대책위, 안산에 “416기억저장소” 마련 사회적 기억화를 위한 민/관 협력모델 구축이 시급 ...
    Date2014.11.18 Views2186 file
    Read More
  6. 세월호 참사 토론회-세월호 이후 '재난보도'는 그대로

    세월호 이후 '재난보도’는 그대로 재난시 정보 중심으로 보도해야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 사고 후 나온 전원구조라는 최악의 오보와 사실 검증 없이 쏟아진 받아쓰기 기사에 자극적인 보도 등은 언론의 신뢰도를 추락시켰고, 소위 기자와 쓰레기를 합성...
    Date2015.07.21 Views1161 file
    Read More
  7. 세월호 참사보도 문제점과 재난보도 준칙 제정 방안 토론회

    지난 4월 23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세월호 참사보도 문제점과 재난보도준칙 제정 방안 토론회’가 개최됬다. 박종률 한국기자협회회장의 사회로 진행 했고 이연 선문대 교수가 발제를 맡았다. 토론에는 이중우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장, 정필모 KBS 보도위원...
    Date2014.04.25 Views2489 file
    Read More
  8. 소리의 울림이 온 몸을 타고 전해지는...

    제목 없음 <나만의 스트레스 해소법Ⅰ> 소리의 울림이 온 몸을 타고 전해지는… 그것이 첼로의 매력 “선생님, 제가 지금 첼로를 배워도 될까요??” “바이올린이라면 조금 힘들겠지만, 첼로는 어렵지 않아요. 걱정하지 말고 한번 해 봐요.” 현악기 제작자인 김동...
    Date2007.07.23 Views6478
    Read More
  9. No Image

    손명환 기자 추도사

    보고 싶은 선배. 선배를 좋아하던 이들이 이렇게 많고 선배를 평생 그리워 할 이들이 이렇게 많은 줄 몰랐습니다. 선배는 늘 말이 적었습니다. 그 대신 행동으로 보여주곤 했습니다. 후배들도 싫어하는 일이 있으면 마다하지 않았고, 힘든 취재가 있으면 먼저 ...
    Date2010.08.20 Views4463
    Read More
  10. No Image

    손명환기자의 순직을 바라보며.....

    손명환 기자의 순직을 바라보며..... 힘들 정도로 질긴 무더위에 태풍이 온다기에 조금 기다려졌습니다. 오늘도 부산 경남지역엔 비바람이 아침부터 더 세게 몰아칩니다. 어제부터 잠도 오지않고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어제 아침 일찍 손명환 기자의 사고 소식...
    Date2010.08.12 Views4093
    Read More
  11. 수상자들, 김진표 국회의장 격려간담회, 5.18민주묘역 헌화행사

    수상자들, 김진표 국회의장 격려간담회, 5.18민주묘역 헌화행사 필립 콕스 등 “한국기자들 국제분쟁보도현장에서 훌륭한 저널리즘 보여주길 바래” 마지디 베누라 영상기자, 팔레스타인 평화를 소망하는 시민들과 만남행사도 참여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조직위...
    Date2022.11.02 Views210 file
    Read More
  12. No Image

    수습카메라기자입니다.

    안녕하십니까... 카메라기자 수습 교육이 언제쯤이나 있나해서 글을 올립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Date2006.02.28 Views4615
    Read More
  13. No Image

    수준이하의 종편보도 이제 그만…….

    수준이하의 종편보도 이제 그만……. 채널A의 뉴스 진행자가 아시아나 여객기 착륙사고를 다룬 뉴스특보를 진행하면서 “사망자 두 명은 한국인이 아닌 중국인으로 밝혀졌다. 우리 입장에서는 정말 다행이라고 말할 수 있다”라고 말해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두 ...
    Date2013.07.30 Views2058
    Read More
  14. 수중 촬영의 기본, 확실하게 배웠습니다!

    <수중촬영 교육 후기 Ⅰ> 수중촬영의 기본, 확실하게 배웠습니다! 강사님이 말씀하시길, "중상급자는 일단 장비 챙겨서 물속으로 들어가세요. 물속에서 봅시다~!" 중상급반에 속한 나는 재빨리 뒤로 한발 물러나며 물었다. "공기탱크와 레귤레이터가 제대로 연...
    Date2006.11.20 Views5690
    Read More
  15. No Image

    수험생을 둔 학부모가 바라는 수능보도

    수험생을 둔 학부모 입장에서 본 수능보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그야말로 코앞에 닥쳐왔습니다. 그 동안 우리 언론이 이 사안을 온 국민들에게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애를 쓰셨음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 고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두고 있는 학부모...
    Date2008.01.15 Views6216
    Read More
  16. 순간을 기록하는 일에 경외감을 갖겠습니다

    제가 카메라에 진지하게 다가간 계기는 대학 때 인상파와 관련한 수업을 들으면서였습니다. 신이나 왕, 귀족을 그리던 세계관에서 벗어나 일상과 자연, 사건의 순간들을 화폭에 담는 인상파의 세계관이 흥미로웠고 이러한 시대에 카메라가 탄생했다는 사실에 ...
    Date2011.12.27 Views2539 file
    Read More
  17. 숨어있는 진실을 영상에 담고싶다

    MBN 영상취재부 카메라기자 진은석 발로 담아낸 영상의 힘은 이 세상을 움직이리라!! 펜은 칼보다 강하다. 하지만 그 펜보다 강한 것은 영상의 힘이다. 세상에 보이는 모든 일들의 이면에 숨어있는 진실을 영상에 담아냈을 때 비로소 이 세상은 진정한 민주화...
    Date2011.11.18 Views2727 file
    Read More
  18. 스마트폰 취재, 새로운 변화

    스마트폰 취재, 새로운 변화 스마트기기의 확산으로 미디어시장은 급격한 변화를 진행 중이다. <유튜브>를 필두로 한 스트리밍 사이트들은‘ 뉴 미디어’를 자처하며 새로운 영역을 이미 개척했고, 스마트폰의 대중화는 이를 더욱 촉진시킨 기폭제 ...
    Date2018.12.19 Views489 file
    Read More
  19. 스마트한 카메라기자가 되겠습니다

    KBS 38기 카메라기자 조은경 포연 자욱한 전쟁터에서 카메라를 어깨에 들쳐매고 탱크사이를 당당히 걸어나가던 여성종군기자의 모습에 반해 촬영기자를 꿈꾸게 되었습니다. 대규모 기자단이 우루루 왔다 썰물처럼 빠져나간 전쟁터를 홀로 지키며 '내가 아니면...
    Date2011.11.18 Views3436 file
    Read More
  20. No Image

    스킨수쿠버를 배워야 수중촬영을 할수있다

    ◎스쿠바를 시작하면서 스쿠바 다이빙은 가장 독특하며 모험적인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누구든지 일단 수중세계에 발을 들여놓기만 하면 열대지방의 아름다운 산호초 사이를 헤엄쳐 다니는 조그만 물고기들을 비롯하여 커다란 고래나 돌고래들도 직접 눈으로 ...
    Date2006.01.24 Views666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