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6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긴장과 평화가 공존하는 곳 연평도

 

 

(사진)긴장과 평화가 공존하는 곳 연평도.jpg

▲ 연평도에서 북쪽을 주시하면서 취재하는 필자

 

 

 

북한과 가장 가까운 섬

 개성 남북연락사무소가 폭파되고 다음 날 선발대로 연평도에 들어갔다. 연평도는 서해 5도 섬 가운데 북한과 가장 가까운 섬이다. 북방한계선(NLL)과는 1.5km 떨어져 있고 북한 장재도와는 7km 거리다. 10년 전 군인과 주민 등 4명이 숨진 포격 도발의 상흔이 남은 곳이라 긴장감이 극도로 큰 곳이다.

 

포문이 열리다

 북한의 특이 동향을 포착하는 게 나의 롤이었다. 입도한 지 셋째 날 그동안 해무로 볼 수 없었던 북한 개머리 해안 지역의 포문이 망원렌즈로 포착됐다. 다음날 인근 대수압도에서도 포문이 개방된 것이 관측되었다. 지난 2018년 9·19 남북군사 합의로 해상 완충구역에서 남북 모두 포문을 폐쇄했다. 하지만 눈앞에 포문들은 열려 있었다. 동굴을 파고 안에 들여놓는 형태로 설치하는 북한 해안포는 습기 제거 차원에서 군사 합의 이후에도 포문을 열었다, 닫았다 한 적이 있다. 다만, 지금 같은 상황에서 북한이 여러 개의 포문을 개방했다는 건 남북 간 긴장감을 고조시키기 위한 의도가 다분히 엿보였다. 연평도엔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었다.

 

대피소와 함께 하는 주민들

긴장감이 감도는 가운데 연평면사무소는 불안감을 덜어주려는 의도로 대피소를 취재진에 공개했다. 평소 문화 강좌들이 열리기도 해 대피소는 연평면 주민들에게 익숙한 공간이다. 코로나 19 여파로 대피소의 문을 닫고 있었는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주민들이 쉽게 들어갈 수 있 게) 번호키가 설치됐다.

 

 연평도에는 8개의 대피소가 있다. 이들 대피소는 2010년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후 차례로 지어졌다. 취재진에 공개된 대피소는 주민 5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곳으로, 강당과 취사 시설, 진료소, 비상 발전시설 등을 갖춰 장기간 동안 지내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설계됐다. 언제든 북한의 타격이 가해지면 바로 대피소로 뛰어가기 위해 주민들은 평소에도 외출복을 입은 채 잠을 잔다고 한다. 주민 한 명 한 명 몸으로 기억하는 순간이 있어서다.

 

변한 건 없다

 10년이 지났지만 변한 것은 없다. 연평도 부녀회장 김영애 씨는 어젯밤 천둥소리에 그때가 떠올라 깜짝 놀랐다고 했다.

 

 “천둥소리도 폭탄 떨어지는 소리죠. 그 소리가 나면 자는 중에 깜짝 놀라 핏대가 올라요. 저만 그런 게 아니고 여러 사람들이(트라우마를) 겪고 있어요.”

 

 긴 시간이 지났지만, 주민들은 여전히 2010년을 살고 있었다.

 

 “걱정은 되는데 심하게 걱정하지는 않아요. 일상처럼 자꾸 받아들이고 있는 거죠.”

 

  입도한 지 6일째 되는 날. 후발대와 교대하고 연평도를 떠나는 배에 올랐다. 며칠 지나지 않아 강화도 접경 지역에선 설치됐던 확성기가 철수됐다고 전해졌다. 연평도 주민들은 긴장감 속에서 일상을 살고 있다.

 

 

 

 

박세준 / KBS (사진) 박세준 증명사진.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갔노라, 보았노라, 기록했노라" file 2024.05.08 14
타이완 지진. 언론인으로서의 '선택과 소회' file 2024.05.08 43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소감] 인류최악의 원전사고, ‘체르노빌원전사고’를 알린 네 명의 영상기자들 file 2023.11.20 63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소감] “인사이드 러시아: 푸틴의 국내 전쟁(Inside Russia: Putin’s War at Home)” file 2023.11.20 84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소감] “바흐무트 전투(The Battle of Bakhmut)” file 2023.11.20 91
모든 것이 특별했고 모든 것이 감사했다 file 2023.11.15 104
2023 특집 다큐멘터리 [우리도 광주처럼] file 2023.12.18 107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소감]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 러시아의 소프트파워 (Russian Soft Power in The CAR)” file 2023.11.20 108
지역에서는 이미 불거진 문제, 아쉬움만 가득한 잼버리 조기퇴영 file 2023.08.31 120
저는 지금 텔아비브의 중심가에 나와 있습니다 file 2023.11.15 134
EEZ 중국 불법어선 단속 동행 취재기 file 2023.12.21 165
“오송 지하차도 참사가 우리에게 주는 숙제” file 2023.08.31 167
언론인에 대한 정교하고 다양해진 공격, 직업적 연대로 극복해야 file 2022.11.01 174
"기후위기 시대의 영상기자’로의 진화가 필요한 시점" file 2023.08.31 182
[카타르 월드컵 거리응원 현장 취재기] 뉴스의 중심에 선 ‘사람들’을 위해 그들과 등지고 서다. file 2022.12.28 191
“후쿠시마 오염수, 서로 다른 체감온도” file 2023.08.31 199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발표 취재기 file 2023.12.21 204
“첫 취재를 함께 했던 언론인 동료이자 친구인 故쉬린 아부 아클레 기자의 죽음 영상으로 담아낸 고통 …팔레스타인의 진실 계속 취재할 것” file 2022.11.01 206
[현장에서] ‘세계적 보편성’ 인정받은 ‘세계의 지역성’ …‘ATF2022’와 다큐멘터리 ‘화엄(華嚴)’ file 2023.03.03 229
[현장에서] “독재와 권력에 맞설 우리의 무기는 손에 든 카메라와 마이크입니다.” file 2022.07.01 234
외신에 의존하지 않는 한국 시각의 전쟁 취재.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나? file 2023.12.21 25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