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o Attached Image

몽골고원에서 폴란드의 대평원까지
- <칭기스칸 원정로를 가다> 동행 취재기

박영률(조연출 겸 동행 취재 작가)

분열에서 통합으로, 역사의 변방에서 세계사의 중심으로!
13세기 초 몽골고원에서 몸을 일으킨 가공할 회오리바람이 중앙아시아와 중동 동유럽에 이르는 세계의 대부분을 휩쓸었다. 회오리는 단순한 파괴에 그치지않고 동서를 하나로 이은 새로운 세계사를 창조하였다. 그리고 이 회오리의 중심에는 칭기스칸이라는 사내가 있었다.
칭기스칸! 그는 어떻게 골육상쟁을 일삼으며 강대국들에 이용만 당하던 부족들을 강력한 국가로 통합할 수 있었을까? 수렵과 목축에 종사하던 변방의 오랑캐들이 순식간에 세계를 휩쓸고 역사상 전무후무한 세계제국을 건설할 수 있었던 힘의 근원은 무엇이었을까?
먼저 이는 황량한 몽골 고원과 천산산맥 너머의 사막과 오아시스로 이루어진 중앙아시아 5개국, 차도르의 나라 이란, 카스피해와 석유로 이루어진 아제르바이잔 그리고 폴란드의 대평원에 이르는 30,000Km 100여일간에 걸친 대 장정은 바로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함이었다.
1997년 4월 25일 16시 30분 우리가 탄 비행기는 화성표면처럼 황량한 초봄의 몽골고원에 내려앉았다. 나무 한 그루 없는 오렌지 빛 구릉아래 툴강은 늙은 뱀처럼 길게 허리를 틀고 있고, 그옆에 옹기종기 모여 있는 낡은 아파트들, 성한 유리창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차들과 우리나라에서는 벌써 수십년 전에 사라진 전차, 거지소년들..., 울란바토르는 60년대의 한국을 연상시켰다. 탐사대는 MBC촬영팀 4명과 동아일보 2명, 대우 자동차 정비사 1명, 외부 학술 요원 1명 등 총 8명으로 앞으로의 험난한 일정을 함께할 다목적군이었다.예상했던 대로(?) 모든 일이 지연되었다. 우선 세관에서 차를 찾는 데만 여러 날이 소요되었다. 식량과 탐사 장비 점검, 차량 정비 그리고 몽골측 카운터 파트와 의견 조율 등등...,
5월 2일 드디어 출발, 혀찬사에 제공한 누비라 승용차 2대, 탐사팀에서 구입한 세렉스 트럭 1대와 지원유조차 1대(우리가 가는 구간에는 주유소가 없다)를 끌고 러시아 국경을 향해 대장정은 시작되었다.
출발 전 우리의 차량을 본 몽공현지인들은 고개를 절래절래 흔들었다. 승용차로는 그 길을 절대 못간다는 것이다. 얼마 못가서 필시 되돌아 올 거라는 게 그들의 애기였다. 출발한 지 불과 몇 시간만에 우리는 그들의 말이 과장이 아니라는 것을 실감할 수 있었다.
지뢰밭 같은 돌밭, 끝없는 모래 수렁, 가파른 바위산들을 넘어 걸레가 된 타이어를 교체하고 구덩이에 빠진차를 밀며 우리는 전진했다. 마치 무슨 군사작전을 치르는 것처럼, 흡드로 가는 길에 만난 낙타대상은 자기는 태어나서 승용차를 처음 봤다며 자기 낙타와 우리차를 바꾸자고 조르기도 했다.
몽골의 대평원. 그것은 자유 그 자체였다. 보이는 건 구름아래 끝없는 벌판, 그리고 바람소리 바람소리뿐! 몽공의 해는 늦게 진다. 장거리 이동 후 촬영 포인트에 짐을 푼 뒤, 촬영을 마치고 해질 무렵에 돌아오면 어느새 시계바늘은 밤 11시를 가르키고 있었다. 촛불을 켜고 발전기를 돌려 배터리를 충전시켜놓고, 물 한 컵으로 몽골식 세우와 샤워를 마치고 나면 자정을 훨씬 넘겨 잠자리에 들곤 했다. 이러한 우리의 엄청난 노동강도에 현지인들은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는데 결국 희생자들은 우리와 함께 일했던 현지인 가이드 혹은 운전사들이었다. 몽골뿐만 아니라 몽골에서 폴란드까지 전 구간에 걸쳐 우리와 함께 일했던 가이드들은 우리와 헤어진 후 과로로 병원신세를 져야 했다.
촬영은 취재팀이 스스로 정한 몇가지 원칙에 따라 진행되었다. 첫째는 양보다 질을 우선한다는 것이었다. 처음부터 흥분해서 보이는 걸 모두 카메라에 담으려 하다면 초반에 거꾸러질 게 뻔하기 때무이었다. 대신 필요한 장소와 시간에 맞춰 원하는 그림을 담으려 했다. 그리고 이것은 어느 정도 지켜졌다. 두번째는 휴식과 일을 구분한다는 것이었다. 이 역시 장기 촬영을 염두에 둔 배려이기는 했으나 이 원칙은 별로 잘 지켜지지 못했다. 왜냐하면 상황은 항상 돌발적이기 때문이었다.
반면 꼭 필요한데 타이밍을 놓쳐 어렵게 촬영을 마친 경우도 있었다. 바로 독수리 사냥씬이었다. 사막과 대초원 북구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내가 있어야할 자리를 깨닫게 한 나의 첫 올림픽취재 file 2022.03.08 350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국 vs 투르크메니스탄 (1) file 2019.11.07 347
재난현장의 슈퍼맨 file 2020.11.18 343
제2의 고향 속초, 이재민들의 여름 나기 file 2019.09.09 343
‘큰불’로 시작된 취재 file 2020.11.18 327
인도네시아 지진, 쓰나미 취재기 file 2018.12.19 326
비극은 어디서 부터 시작됐을까? 철인 3종 최숙현 선수 사망사건 file 2020.09.11 320
“한국 언론인으로서 힌츠페터 정신 인정받아 감사 여권법 개정 통해, 전쟁터, 재난국가에서 한국 언론인 취재 권한 보장되길” file 2022.11.01 301
“속도보다는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다면적 보도해야… 한·일 저널리즘, 세계적 영향력 갖추길” file 2022.11.01 288
[2023년 4월 11일 강릉 경포동 산불 취재기] 강풍은 곧 대형 산불로…반복되는 재난 보도 대비 절실 file 2023.04.26 286
[현장에서] 카메라와 아이디어로 담아낸 현실의 부당함과 저항, 인간의 투쟁이 세상의 조명을 받도록 file 2022.07.01 266
[카타르 월드컵 카타르 현장 취재기] 월드컵 역사상 다신 없을 카타르 월드컵 file 2022.12.28 257
외신에 의존하지 않는 한국 시각의 전쟁 취재.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나? file 2023.12.21 252
[현장에서] “독재와 권력에 맞설 우리의 무기는 손에 든 카메라와 마이크입니다.” file 2022.07.01 234
[현장에서] ‘세계적 보편성’ 인정받은 ‘세계의 지역성’ …‘ATF2022’와 다큐멘터리 ‘화엄(華嚴)’ file 2023.03.03 229
“첫 취재를 함께 했던 언론인 동료이자 친구인 故쉬린 아부 아클레 기자의 죽음 영상으로 담아낸 고통 …팔레스타인의 진실 계속 취재할 것” file 2022.11.01 206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발표 취재기 file 2023.12.21 204
“후쿠시마 오염수, 서로 다른 체감온도” file 2023.08.31 199
[카타르 월드컵 거리응원 현장 취재기] 뉴스의 중심에 선 ‘사람들’을 위해 그들과 등지고 서다. file 2022.12.28 191
"기후위기 시대의 영상기자’로의 진화가 필요한 시점" file 2023.08.31 182
언론인에 대한 정교하고 다양해진 공격, 직업적 연대로 극복해야 file 2022.11.01 174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