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o Attached Image

제목 없음

<태안 기름 유출 사태 취재기 Ⅰ>

국내 최대 원유 유출사고 그 10일간의 기록!

 12월 7일 오전 7시 50분 취재기자 선배로부터 걸려온 한 통의 전화! 충남 태안군 만리포 북서방 5마일 해상에서 항해 중이던 홍콩선적 14만6천t급 유조선이 삼성중공업 소속 해상크레인을 적재한 1만1천800t급 부선과 충돌해 유조선 왼쪽 오일탱크 4개에 구멍이 나 1만2천547㎘원유가 바다로 유출되고 있다는 다급한 목소리의 사건 소식이었다. 카메라 장비를 챙겨 일단 태안으로 향했다.

 이미 바다는 풍랑주의보가 발효된 상태! 사고 현장을 가기위해 배를 타는 것은 불가능 하였고 헬기도 현 상황에선 뜰 수 없다는 소식을 접했다.  그래서 일단 정확한 상황과 사고 경위를 파악하기 위해 태안 해경으로 향했다. 해경 도착 후 유조선(허베이 스피리트호)에 대한 각종 정보와 현재 상황 등을 브리핑을 통해  알 수 있었고 상황이 매우 심각함(국내 최대 원유유출)을 파악 할 수 있었다.

 방송은 영상이 생명! 무조건 사건현장의 그림을 시청자들에게 제공해야 했다. 하지만 우리가 사고 첫 날 사건 현장취재를 할 수 있는 길은 오직 항공촬영 뿐 KBS는 본사에 항공2호기가 있기에 서울에 취재를 요청하였고 현장에서 들어오는 CCTV화면을 확보해 대전 보도팀에 그림을 송출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그 날 전국에 TV를 통해 태안 사태를 알렸고

 그렇게 첫 날의 취재가 끝나갈 무렵 취재팀은 만리포 해안에 기름띠가 나타났다는 제보를 받게 되었다. 바로 현장으로 달려가 보니 이미 원유가 해안가까지 밀려와 해변을 시커멓게 오염시키고 있었다. 오전 해경브리핑 시 충분한 방제력을 동원하였기 때문에 원유유출로 인한 해안가 오염은 없을 것이라던 당초 발표와는 달리 브리핑 13시간 만에 원유가 만리포 해안까지 이동해 온 것이었다. 11시 뉴스라인에 단독으로 그 현장을 고발 하였고 이 사건이 결코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을 예감했다.

 둘째 날 이미 해경에는 수많은 방송사의 촬영기자들과 취재기자들로 북적이고 있었다. 지난 95년 여수 앞 바다에서 일어났던 시프린스호 원유 유출사건(5천여 톤) 이후 국내 최대 규모의 원유 유출사건(1만2천547㎘)! 말 그대로 초대형사고이자 동시에 초대형뉴스였다. 일단 우리 팀은 전 날 풍랑주의보로 취재가 불가능했던 유조선 사고 현장에 가기 위해 해경 배에 몸을 실었다. 여전히 해상은 바람으로 인해 3m정도의 높은 파도가 치고 있었다. 1시간 30여분이 흐르자 드디어 사고현장이 내 눈앞에 펼쳐졌다. 웅장한 자태를 뽐내며 바다 위에 한가로이 서 있는 크레인선! 흰 유증기를 내뿜으며 어제의 재앙이 아무렇지도 않은 듯 유유히 바다를 표류하는 유조선! 아! 그런데 이게 무슨 일인가? 유조선 앞 부분 구멍에서 많은 양의 원유가 여전히 뿜어져 나오고 있는 것이 아닌가.

 즉시 최대한 줌인을 하여 카메라의 레코더 버튼을 누르고 높은 파도에 내 몸이 어떻게 되는지도 모른 채 유조선을 촬영하기 시작했다. 분명 어제 발표에서는 더 이상의 원유유출은 없다고 했는데 말이다. 시커멓게 뿜어져 나오는 원유는 계속해서 점점 더 바다를 점령해 가고 있었다. 해상 중간 중간 방제선에서 뿜어져 나오는 유화제나 차단막으로 쳐 있는 오일펜스도 무용지물이었다. 대한민국의 방재시스템이 얼마나 허술한지가 명명백백히 드러나는 순간이었다.

 현장 취재를 마치고 다시 KBS 취재본부가 꾸려진 천리포로 가는 길! 해안가는 이미 시커멓게 물들어 있었고 바닷물은 이미 푸른색이 아닌 검은색으로 변해 있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방제 작업에 나서고 있었지만 언제 끝날지 모를 싸움인 듯 해 보였다. 날이 갈수록 전국 각지에서 모인 수많은 자원봉사자들이 만리포와 학암포 신두리 사구 모항 의황리 파두리 그 외 여러 지역을 찾아가 시커먼 오일로 뒤덮인 해안가와 바위 틈새 틈새를 닦아내고 원유를 퍼 나르면서 이 재앙이 끝나기만을 기원했다. 가족단위의 자원봉사자, 재외국인, 한국에 시집온 해외 이주민들도 눈에 띄었다. 카메라에 이들의 모습을 담으면서 그 옛날 IMF때 대한민국의 저력이었던 금모으기 행사가 떠올랐다. 정말 놀라웠다. 재앙 앞에서 망연자실하기보다 더욱 단결하고 하나 되는 것이 우리 국민의 저력이 아닌가 싶다. 대한민국이 아직 살아있음을 희망이 있음을 피부로 직접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이곳에 삶의 터전을 잡고 살아온 사람들! 두 팔 두 다리 다 걷어 부치고 현장을 사수하고자 방제현장을 뛰며 살려달라고 언론사 취재진들을 붙잡으며 이야기 하던 사람들! 이들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으며 깊은 슬픔과 절망감이 교차했다. 원주민들은 이제 허탈을 떠나 절망으로 내딛고 있었다. 사고 10일째 이미 눈에 보이는 기름은 상당수 제거되고 해안가는 제 모습을 찾아 가는 듯 보였다. 하지만 이들의 마음엔 원유보다 더 시커먼 실망감과 절망감이 닦아도 닦아도 지워지지 않고 가슴 한 켠에  남았다.

 원유의 기름띠는 어느 정도 제거 됐지만 상당수의 원유가 이미 모래 속으로 파고들었고 타르덩어리로 변질되어 바다 위 아래로 수 십 킬로 수 백 킬로미터의 해상을 떠돌고 있다.  문제는 이 원유들이 더운 여름이 되면 다시 녹아 해상으로 해안가 위로 떠오른다는 것이다.

 복구를 한다 해도 이미 생태계가 제자리를 찾는 데는 10년 - 20년 이상이 걸린다고 하니 이들의 삶의 터전을 원상복구 하는 방법도, 예상치 못했던 재해로 한 순간 얻게 된 수많은 빚을 해결할 방법도 현재는 시커먼 원유처럼 캄캄하기만 하다. 이미 이들의 여름은 없어진 지 오래다. 수십 수백만의 인파로 북적였던 해수욕장의 모습도 배 한가득 파닥파닥 뛰는 물고기를 싣고 항구로 들어오는 배들의 모습도 한 동안은 이곳에서 볼 수 없을 지도 모른다. 어쩌면 나도 올 여름 북적이는 해수욕장의 인파와 배 한가득한 물고기보다는 카메라에 다시 떠오른 원유와 기름 덩어리들을 취재 할지도 모를 일이다.

 지금도 충남 태안 앞바다와 그 일대 그리고 군산 앞바다까지 수많은 자원봉사자들과 방재 인력들이, 한 번만 더 생각하고 한 번만 더 점검하고 한 번만 더 조심했으면 일어나지 않았을 사람에 의한 재해에 매달리고 있다. 보다 철저한 사고 조사로 다시는 이러한 일이 반복해 일어나지 않도록 그 대책을 마련하고  직, 간접 피해 주민들에 대한 충분한 보상 그리고 보다 적극적인 국민들의 참여가 이번 대 재앙을 이겨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나 또한 앞으로 시청자의 눈과 귀로서 이번 태안 사태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며 시청자의 알권리 충족에 보다 만전을 다 할 것이다.

 다시는 이러한 사고가 뉴스에 등장하지 않기를 바라며… 충남 태안에서…

심각현 / KBS 대전총국 보도팀 기자


  1. No Image

    EBS ‘아름다운 사람 아름다운 뉴스’

    EBS ‘아름다운 사람 아름다운 뉴스’ 서로 돕고 함께 나누는 푸른학교 편 ‘아름다운 사람 아름다운 뉴스 - 서로 돕고 함께 나누는 푸른학교’편은 EBS에서 방송된 다큐멘터리이다. 이 글을 쓴 구재모씨는 제5회 인권영화제에서 공식 상영된 다큐멘터리 ‘평화의 ...
    Date2003.07.08 Views7113
    Read More
  2. No Image

    남북 정상 회담장과 동굴(?) 만찬사

    남북 정상 회담장과 동굴(?) 만찬사 서영호 기자(영상취재1부 차장) young@mbc.co.kr 정상 회담장의 카메라 모터소리 6월 13일! 역사적인 남북 정상회담을 지켜보는 시청자들의 눈과 귀는 온통 텔레비전 속으로 집중되었다. 두 정상의 만남은 마치 오랜만에 만...
    Date2003.02.24 Views7104
    Read More
  3. No Image

    뇌성마비 어린이들의 잔치

    이렇게 많은 어린이들이 고통받고 있는 줄 몰랐다. 이토록 많은 어머니들이 멍든 가슴을 안고 사는 줄 몰랐다. 오후 2시, 데스크로 부터 뇌성마비 어린이들의 작은 잔치를 취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아무 생각없이 도착한 자그마한 공원.... 휠체어를 탄 많은...
    Date2003.07.08 Views7098
    Read More
  4. 북한 최고위급 3명 전격 남한 방문 취재기 - 좋을 땐 당장 통일 될 것 같은 느낌

    좋을 땐 당장 통일 될 것 같은 느낌! 토요일 여유로운 주말 근무의 시작을 충격과 놀람으로 몰고간 건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 다음가는 실세가, 한 명도 아니고 세 명이나 동시에 남한으로 입국한다는 속보였다. 통일부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황병서 총정치국장...
    Date2014.11.18 Views7086
    Read More
  5. No Image

    한국문화의 주체성과 정체성을 모색해야

    <YTN '위대한 문화유산' 제작기> 한국문화의 주체성과 정체성을 모색해야 올해 초 회사의 직무에 개편이 있으면서 영상기획팀에 있던 나와 정철우 기자는 바뀐 영상기획팀의 직무에 맞는 컨텐츠 제작을 고심했고 여러 아이디어를 가지고 토론했다. 24시간 뉴스...
    Date2008.01.12 Views7083
    Read More
  6. 가족처럼 슬펐다!

    <캄보디아 여객기 추락사고 취재기> 가족처럼 슬펐다! 캄보디아를 향해 날아가는 비행기 속에서도 나는 실종자 가족들의 걱정과 두려움을 가슴으로 느끼지 못했다. 내게 일어난 일이 아니고, 더군다나 이런 사건사고를 취재해 온 것이 어언 7년 아니던가. 게다...
    Date2007.07.23 Views7079
    Read More
  7. No Image

    북한관련 프로그램의 기획요령과

    북한관련 프로그램의 기획요령과 북측인사 접촉과정 북한 관련 프로그램의 기획은 당연히 일반적인 경우와는 큰 차이가 난다. 물론 일반적인 경우에도 여러가지 변수가 많이 발생하는 것이 방송프로그램의 기획이지만, 특히 북한과 관련된 기획은 아직도 어렵...
    Date2003.07.08 Views7068
    Read More
  8. No Image

    NAB의 SONY

    (이 글은 전체적인 참관기에 넣기에는 너무 길어지는 것 같고, 특히 한국인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해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따로 정리했음) NAB에 참가한 수 백 개의 H/W와 S/W 업체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회사가 바로 SONY일 것이다. 우리와 인접...
    Date2003.07.08 Views7061
    Read More
  9. No Image

    최초보고, 일본 자위대 이렇게 만들어진다

    <취재기> 최초보고, 일본 자위대 이렇게 만들어진다 군대 아닌 군대, 자위대 자위대! 군대가 아니면서 최신 이지스함과 잠수함 그리고 최첨단 비행기로 무장한 군대 아닌 군대! 일본 군국주의의 부활로 상징되며 동북아시아 긴장을 고조시키는 두려운 조직! 우...
    Date2008.02.05 Views7049
    Read More
  10. <시리아 난민 취재기> 요단강, 이 쪽의 사람들 - 카메라에 민감한 정서

    요단강, 이 쪽의 사람들 - 카메라에 민감한 정서 11월 23일 00시 05분, 인천공항에서 요르단으로 출발했다. 아부다비를 경유하여 가는 여정은비행시간만 13시간이 걸리는 꽤 먼 길이었다. ‘UN난민기구’가 관리하는 요르단 내 ‘시리아난민캠프’와 거기에서 나와...
    Date2014.12.30 Views7045
    Read More
  11. 아시안게임 취재기 - 진정한 축제가 간절하다

    진정한 축제가 간절하다 우리사회가 지금 축제를 축제답게 즐길 수 있는 여건인가 스포츠팀에 오자마자 인천 아시안게임 취재명단에 이름이 들어갔을 때 설렘이나 기대는 크지 않았다. 폐막 이후의 끔찍한 그림이 너무나 선명하게 보였기 때문에. 경기장, 시설...
    Date2014.11.18 Views6993
    Read More
  12. No Image

    뛰면서 꿈꾸는 이들이 모여 있는 일당백의 ‘막강

    뛰면서 꿈꾸는 이들이 모여 있는 일당백의 ‘막강 '뛰면서 꿈꾸는 우리’ 언젠가 내가 회사에 입사해 카메라 기자라는 직업이 무엇인지 채 느껴보기도 전에 처음으로 읽었던 책의 제목이다. 5∼7년 차 경력의 한창 물오른 14명의 현직 기자들이 현장에서 피부로 ...
    Date2003.07.08 Views6990
    Read More
  13. No Image

    2008년 4월,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인 탄생하다!

    “Space 2008” 2008년 4월,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인이 탄생하다! 2008년 4월 8일 3, 2, 1, 0, 발사~~~ 지축을 뒤흔드는 엄청난 굉음과 흰 연기를 내뿜으며 대한민국 첫 우주인 ‘고 산’이 탑승한 “소유즈 우주선” 은 광대한 우주를 향해 첫 발을 내딛는다. 3만6...
    Date2008.01.10 Views6949
    Read More
  14. 홍콩시위 취재 - 홍콩평화시위를 다녀오다

    퇴근시간 무렵, 동료들과 맥주 한 잔 마시기로 하였기에 “퇴근 하겠습니다.” 인사를 하고 사무실을 나서려 했다. 내근데스크가 조용히 와보라고 한다. 왜일까? 내일 조근일정이 갑자기 생겼나 싶었다. 궁금함을 가득 느끼며 가까이 가니, “현상이 너 홍콩가야...
    Date2014.11.18 Views6941
    Read More
  15. No Image

    브라질 촬영기

    브라질 촬영기 -신영토의 꿈을 좇아...- 이양한/iTV 경인방송 영상제작부 아시아의 끝자락에 매달린 일각의 돌출, 작지만 끝을 모르고 향하는 화살촉 모양으로 반도의 땅 한국은 자리잡고 있다. 그 지리적 생김새와도 같은 한국인의 기상. 극심한 역사의 아픔...
    Date2003.02.24 Views6917
    Read More
  16. No Image

    국내 최대 원유 유출 사고 그 10일 간의 기록

    제목 없음 <태안 기름 유출 사태 취재기 Ⅰ> 국내 최대 원유 유출사고 그 10일간의 기록! 12월 7일 오전 7시 50분 취재기자 선배로부터 걸려온 한 통의 전화! 충남 태안군 만리포 북서방 5마일 해상에서 항해 중이던 홍콩선적 14만6천t급 유조선이 삼성중공업 ...
    Date2008.02.13 Views6916
    Read More
  17. No Image

    그들이 정당한 보상을 바라는 이유

    제목 없음 <이천화재 취재기 Ⅱ> 그들이 정당한 보상을 바라는 이유 새벽 5시 30분. 차에 타고 나서야 취재를 시작한다. 조간을 뒤지고 6시 라디오 뉴스의 볼륨을 높이고. 사망자 수를 확인한다. ‘30여명이라.’ 머릿속으로 현장을 그린다. 창고, 비상구, 용접,...
    Date2008.02.18 Views6889
    Read More
  18. No Image

    아파트 촬영허가 받으셨어요?

    현장 속에서 현장1- 경기도 파주에 있는 한 유명업체에서 지은 아파트의 처마가 무너졌다는 얘기를 듣고서 현장을 찾았다. 사고가 난 H아파트는 2년 전에 입주를 시작한 새 아파트였다. 사고가 난 처마는 가로 5 미터, 세로 1 미터, 깊이 1미터이고 총무게가 ...
    Date2006.05.16 Views6853
    Read More
  19. No Image

    대선 취재가 남긴 숙제들...

    제17대 대통령 선거 취재를 마치고 대선취재가 남긴 숙제들… 17대 대선이 끝났다. 이는 우선 각 캠프별 일정이나 브리핑 메일, 문자메시지가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줄어든 것에서 우실감할 수 있었다. 당선된 쪽에서는 축제분위기가, 낙선된 쪽에서...
    Date2008.02.13 Views6834
    Read More
  20. No Image

    수해취재엔 포토라인이 없다...

    제목 없음 수해 취재엔 포토라인이 없다... 어느 날 밤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에 큰 파도와 폭우가 몰아쳤다. 05시 30분 어둠이 가시지 않은 이른 아침 회사의 전화를 받고 출근한 나와 오중호 기자(취재기자)는 당장 배를 타고 위도로 들어가라는 팀장님의 명...
    Date2008.01.10 Views6829
    Read More
  21. No Image

    절망의 태안 바다에서 희망의 햇살을 보다

    <태안 기름 유출 사태 취재기 Ⅱ> 절망의 태안 바다에서 희망의 햇살을 보다 3주 만에 달콤한 휴식을 맛보고 있는 지금 내가 있는 곳은 푸른 녹차밭과 깨끗한 강이 보이는 시골 찻집. 그리고 오늘은 크리스마스 전 날이다. 오랜만에 친구와 수다가 이어지다 화...
    Date2008.02.13 Views681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