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0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수정 삭제

No Attached Image

눈물의 내부고발

“ 私もサラリ-マン. 家族を路頭に迷わすわけにいかない. 4年間惱んだ. しかし眞實を述べる義務があると決斷した. 告發による不利益はあるでしょう”と聲を詰まらせ, ハンカチで目をぬぐった. (”저도 봉급쟁이입니다. 가족들을 길거리로 내몰 수는 없습니다. 4년간이나 괴로워했지요. 하지만 진실을 말해야하는 의무가 있다고 결단을 내렸습니다. 고발에 의한 불이익은 있겠지요“ 라며 목 메인 소리로 눈물을 훔쳤다.)

지난 2004년 12월 13일 일본방송협회(NHK)의 나가이 아키라라는 한 교육 책임 프로듀서가 기자회견을 자청했다. 나가이 프로듀서는 지난 2001년 ‘전쟁을 어떻게 재판할 것인가’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NHK의 교육 채널에 방송을 내보냈다. 이 프로그램은 전시 일본군에의한 성폭력을 다룬 내용이었는데, 문제는 방영 전에 일본 자유민주당의 아베 前 관방부장관(現 자민당 간사장 대리)과 나카가와 경제산업장관이 NHK의 마츠오 방송총국장과 노시마 국회 대책 담당국장을 만남에서 비롯되었다 . 이들은 방송중지를 요구했고, NHK는 결국 종군위안부의 증언과 일왕에 책임이 있다는 ‘민중 법정 결론부’를 ‘커트’하여 원래 44분짜리 완성본을 40분으로 편집하여 방송을 했다.

영국의 BBC와 함께 세계 공영방송의 양대 산맥으로서 어깨를 겨룬다는 NHK의 프로그램이 정치적 외압에 굴복하여 방송 내용이 대폭 수정되었다는 사실이 아사히신문을 통해 폭로되면서 이후 파장은 일파만파 커져갔다. 이에 NHK의 광보국(홍보국)은 브리핑을 통해 “당시 NHK는 여러 국회의원에 대해 여러 가지 사업내용을 설명할 때 이 프로그램이 화제가 된 것은 사실이지만, 그러나 이것에 의해 프로그램의 공정성과 공평성이 해를 입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 프로그램은 NHK의 편집 담당자가 자주적인 판단을 기초로 편집을 하여 방송을 내보낸 것이다”라고 주장했고, 이에 니카가와 경제산업장관은 “공정중립의 입장에서 방송하지 않으면 안 된다라는 것을 지적한 것으로써 정치적 압력을 가해 방송중지를 강요한 것은 아니다. 본인이 명확히 편향된 방송 내용을 알게되어 공정중립의 입장에서 보도할 것을 지적했을 뿐이다”라고 주장했다. 이는 NHK가 공적인 방송 윤리성에 대해 독자적인 의사 결정 기구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정치인의 입김에 의해 프로그램의 성격이 좌지우지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왜 그랬을까. 사실 일본의 NHK라는 공영방송은 본질적으로 여당 자유민주당에 약할 수 밖에 없는 ‘태생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예산을 따내기 위해서는 국회에서 ‘예산 승인’을 받아야하기 때문이다. 예산 승인을 위해서 ‘국회 대책 담당 국장’이라는 직책까지 두면서 언제나 국회에서 머리를 조아리며, 해당 이익 당사자의 의견을 들어야 하는 NHK로서는 이러한
문제는 언제라도 재발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이 현실일 수 밖에 없다.

현재 방송위원회가 입법 예고한 정부투자기관의 예산편성지침에 따라 KBS의 예산을 짜라는 방송법 개정안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만약 방송위의 입법안대로 방송법 개정안이 그대로 통과된다면 KBS의 사장 및 제작진은 예산안을 들고 목동에 있는 방송위원회로, 반포에 있는 기획예산처로, 여의도 국회를 기웃거리며 아쉬운 소리를 해야하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것이며, 이는 NHK의 사례처럼 권력집단과 이익집단에 의해 프로그램의 성격이 바뀌고 마는 현실로 이어질 수 있다. 1973년 국영방송에서 공영방송으로 탈바꿈한 KBS가 그나마 ‘공영방송’으로서의 틀을 다지게 된 것은 예산통제조약을 삭제함으로써 가능해진 것은 이미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2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난 지금 방송위는 다시 KBS에 대한 정부통제를 강화하는 방송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KBS의 예산지침을 정부투자기관에 준하도록 하고, 감사원에서 결산감사를 국회에 제출하고, 잉여금 일부를 국고에 납입하며, 사장과 부사장 그리고 본부장과 감사까지 공무원 신분화 하는 등 KBS가 언론매체라는 사실을 완전히 무시한 채 국민의 공영방송을 마치 관영 방송화 하려는 의도로 보이며 이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방송자유와 독립을 보장하고 방송의 공적 책임을 높임으로써 시청자의 권익 보호와 여론
형성 및 국민문화 향상을 도모하고 방송 발전과 공공복리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라는 현행 방송법 제 1조에 규정된 방송법의 제정 목적을 우리는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아내의 양해를 구했고, 불이익을 감수하겠다며 울먹이며 기자회견을 자청한 NHK의 나가이 아키라 프로듀서의 ‘눈물의 내부고발’이 그리 멀지 않은 미래 우리의 모습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KBS 한상윤 기자

  1. 외신이 본 한국의 카메라기자

    제목 없음 외신이 본 한국의 카메라 기자 日本放送協會(NHK) 서울지국 카메라 기자 이정우 카메라 기자의 역할은 세상에서 일어난 일들을 영상화(映像化) 하는 것. 기본적으로 사명감을 갖고 “보도에 관련된 영상은 모두 취재한다.” 라는 점에서 일본의 카메...
    Date2005.07.11 Views6359
    Read More
  2. No Image

    TV 뉴스, 재연 영상 사용 자제해야 한다!

    <외부기고> TV뉴스, 재연 영상 사용 자제해야 한다! “경기도 연천군 최전방 비무장지대 대북감시소초. 새벽 2시 반 지하 벙커로 돼 있는 단층건물 내무실에 김 모 일병이 들어옵니다. 내무실에서 병사 25명이 자고 있었습니다. 김일병은 상병들이 자고 있는 침...
    Date2005.07.11 Views6053
    Read More
  3. No Image

    나의 5개월 간의 수습 생활

    <수습을 마치고> 나의 5개월간의 수습 생활 “나의 목표는 시청자 앞에 부끄럽지 않은 카메라기자 이상은” ‘이상은, 빨리 편집팀으로 튀어와!’ 카메라 기자가 된 지 5개월 남짓, 여전히 내 온몸을 식은땀으로 흠뻑 젖게 만드는 가장 두려운 말이다. 19층에 있...
    Date2005.07.11 Views6071
    Read More
  4. No Image

    울산 건설플랜트 노조 파업 현장에서

    건설플랜트 노조 파업의 현장에서 지난 5월 6일, 울산 건설플랜트 노조의 시위와 관련해 취재를 하라는 데스크의 지시를 받고, 나는 현장으로 출발하기 전부터 좀 걱정이 되었다. 돌과 화염병, 쇠파이프 등이 난무하는 현장에서 실감나는 화면을 확보하려면 ...
    Date2005.06.13 Views5977
    Read More
  5. 검찰청사 내 영상 취재 논란! 그 해법은?

    검찰 청사 내, 영상 취재 논란! 그 해법은? 검찰청사 내에서의 영상취재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피의자, 참고인, 피내사자의 소환이나 출두가 있을 때 그들은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된다. 대부분의 경우 우리 사회의 지명도 있는 인사가 소환의 대상이 되었을 경...
    Date2005.06.13 Views5905
    Read More
  6. No Image

    비용 절감과 뉴스의 경쟁력

    비용절감이 뉴스경쟁력을 약화시킨다 최근 MBC 보도국에서는 회사 차원의 예산 절감의 일환으로 해외 출장 시 오디오맨이 없이 취재기자와 카메라기자만이 출장을 가는 2인 출장제를 선별적으로 도입하겠다고 결정했다. 소위 원맨 시스템이라는 것이다. 이 같...
    Date2005.06.13 Views5803
    Read More
  7. No Image

    <칼럼> 가벼운 뉴스, 무거운 뉴스

    가벼운 뉴스, 무거운 뉴스 뉴스가 가벼워지고 있다고들 한다. TV뉴스 프로그램의 문제점으로 늘 지적되는 것이 연성화와 선정적인 보도, 사건 나열 중심의 단순보도이다. 그리고 속보 경쟁으로 인해서 부정확한 보도가 되기도 한다. TV뉴스도 시청률 경쟁에서...
    Date2005.06.13 Views5967
    Read More
  8. No Image

    불황엔 모든 것이 돈으로 판단되는가?

    <취재 포커스> 불황엔 모든 것이 돈으로 판단되는가? 며칠 전 아침 나는 KBS의 구조조정 관련 글을 인터넷에서 찾아보다가 모니터 앞에서 몸이 딱 굳어버렸다. 그 글은 KBS의 경영에 관해 논하면서 인력의 효율적 배치가 중요하다는 논지의 글이었는데 마지막 ...
    Date2005.06.13 Views6094
    Read More
  9. No Image

    학부모 찬조금에 대한 단상

    학부모 찬조금에 대한 단상 예전에도 그러했지만 지금도 촌지로 인해 말도 많고 탈도 많다. 자식을 낳고 기르면서 처음에 부모의 염원은 “건강하고 튼튼하게만 자라다오” 였다가, 점점 아이가 자라면서는 다른 아이들보다 뒤쳐지면 걱정이 태산이다. 이렇듯 자...
    Date2005.06.13 Views6338
    Read More
  10. No Image

    브리핑 제도, 초심으로 돌아가라!

    브리핑 제도, 초심으로 돌아가라! 참여정부 출범 이후 야심차게(?) 진행되고 있는 정부 부처의 브리핑 제도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여전히 높다. 선진 언론 취재 시스템이라는 거창한 제도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그 운영에 많은 허점을 노출시켜 제도 운영에 ...
    Date2005.06.13 Views6194
    Read More
  11. No Image

    “공공성 빠진 저급미디어 난립 우려”

    천영세 의원 “이대로면 뉴미디어도 난개발” 10회 연속 공개 세미나 “공공성 빠진 저급미디어 난립 우려” “지금 모두가 위성 디엠비(DMB·디지털미디어방송)나 지상파 디엠비 등 뉴미디어에 대해서는 ‘수출주역이 된다’, ‘고용창출이 늘어난다’는 식의 장밋빛 환...
    Date2005.06.02 Views7435
    Read More
  12. "KBS 현장 포착" 그리고 뉴스의 내일

    제목 없음 “KBS 현장포착”의 선장, 최현주 차장 인터뷰 5월 31일, 기자는 KBS 영상편집제작팀을 방문하게 되었다. 방문 목적은 “현장 포착”을 제작하는 최현주 차장을 인터뷰하기 위함이었다. 기자가 방문하는 순간에도 최현주 차장은 편집에 열중하고 있었다...
    Date2005.06.01 Views6446
    Read More
  13. No Image

    제32회 한국방송대상 보도영상부문 신설

    제목 없음 제32회 한국방송대상 보도영상부문 신설 한국방송협회는 운영위원회와 이사회를 거쳐 제32회 한국방송대상 올해의 방송인 부문에 보도영상부문의 신설을 의결하고, 지난 27일 방송대상 실시 요강을 공고했다. 한국방송협회 민영동 차장은 “ 보도영...
    Date2005.05.30 Views4075
    Read More
  14. TV뉴스 "선호도" 갈수록 줄어든다! 인터넷 속보로 경쟁력 잃어...

    제목 없음 방송 뉴스 ‘선호도’ 갈수록 줄어든다 인터넷 속보로 경쟁력 잃어...1위는 드라마 ▲ 2004년도 지상파 채널 프로그램 연령별 선호장르 및 교육수준별 선호장르 지상파TV의 뉴스 프로그램 선호도가 해가 지날수록 줄어들고 있다. 특히 연령별 선호도에...
    Date2005.05.27 Views6206
    Read More
  15. No Image

    문화방송이 경인방송 인수(?)

    제목 없음 문화방송이 경인방송 인수(?) 지난해 말 방송사업권을 박탈당한 <경인방송>(아이티브이)이 계속 방송계의 화제다. 이번엔 <문화방송>이 경인방송을 인수해 2채널 체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는 미디어전문지 <미디어오늘>의 보도가 논란을 촉발시켰...
    Date2005.05.27 Views6222
    Read More
  16. No Image

    방송-통신 통합기구 논의 유감

    방송-통신 통합기구 논의 유감 전신의 아버지 사무엘 모르스는 통신기술의 발달이 가져올 미래의 변화에 대해 낙관적 확신을 설파했다. 그는 더 빠른 통신이 더 좋은 세상을 창조할 것이라고 예언했던 것이다. 1964년 출간된 마셜 맥루헌의 저서 ‘미디어의 이...
    Date2005.05.27 Views5622
    Read More
  17. No Image

    지상파 DMB특위, 망식별 부호 도입 왜?

    제목 없음 지상파 DMB특위, 망식별 부호 도입 왜? 지상파DMB특위의 망식별 기능 도입 결정은 SK텔레콤을 비롯한 이동통신사업자에게 지상파 DMB에 대해 명확한 입장 정리를 요구하는 측면이 강하다. 지상파 DMB 6개 사업자들은 경쟁매체인 위성 DMB가 본 방송...
    Date2005.05.27 Views6422
    Read More
  18. No Image

    지나치게 친절한 검찰의 피의자 보호

    "지나치게 친절한 검찰의 피의자 보호" 장면1 지난 3월 말 소환 조사에 응한 한나라당 김충환 의원의 서울 중앙지검 출두에 때 아닌 고함과 욕설, 그리고 수십 명이 뒤엉킨 난투극(?)이 벌어졌다. 김의원은 난투극 직전에 이미 언론과의 인터뷰를 마친 상태였...
    Date2005.05.23 Views6128
    Read More
  19. No Image

    카메라기자 또한 밥그릇 싸움에 당당히 나서야 한다.

    지상파의 밥그릇 싸움은 공익이다 최근 비엔지니어 분야에서 일하는 어떤 선배를 만났더니 “디지털TV 전송방식 논쟁 때 왜 엔지니어들의 문제로만 여겼는지 참 후회스럽다”며 방송사에 몸담은 모든 사람들이 지금의 방송기술 변화를 학습하고 이해하며 자신의 ...
    Date2005.05.23 Views6122
    Read More
  20. No Image

    카메라기자, 재교육 없는 방송 환경 심각하다!

    제목 없음 재교육이 없는 방송환경 심각하다. 급격한 변화 속에 자칫 소외될 처지 급격하게 변화하는 방송환경 속에서 카메라기자들이 자칫 소외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국내에서는 드물게 뉴스영상을 연구하는 한국언론재단의 최민...
    Date2005.05.23 Views617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