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542 추천 수 0 댓글 0
Atachment
첨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Get out, Get out“ , “ Everybody Get out”

짚차를 타고 닫힌 목장문을 통과하려던 순간이었다.
느닷없는 총소리와 함께 복면을 한 납치범들이 나타난 것이다.
총소리에 놀란 우리는 한사람씩 차에서 끌려 내려와 땅바닥에 패대기 쳐졌다.
땅바닥에 엎어지자마자 얼굴에는 아무것도 볼 수 없는 복면이 씌워졌고 순간 긴장감이 감돌았다.

이어서 머리에 총구가 닿는 느낌이 들더니 납치범들이 온몸을 수색하기 시작하고
몸에 지니고 있던 시계며 지갑이며 모든 물건들을 빼앗아 가는 것이 느껴졌다.
복면에 목이 조여오고, 앞은 보이지 않고 얼굴에는 땀방울이 맺히기 시작했다.
숨을 제대로 쉴수 없어 답답한 순간.
얼마나 시간이 흘렀을까 이번에는 이리 저리 끌고 다니기 시작했다.

이것이 일명 인질로 납치되는 상황 체험 훈련 이었던 것이다.
불과 10여분 이라고 했지만 몇 시간이 흘렀는지 모를 만큼 긴 시간처럼 느껴졌다.
상황연출이 끝난후 교관은 이러한 납치 상황이 벌어진다면
관심을 끄는 과대행동이나 신경질적인 행동, 너무 긴장해 울어 버린다든지, 살려달라고 애원하는 등의 자극적인 행동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처음에는 그저 시키는 대로 행동하고 말도 크게 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
납치범이 묻는 말에는 천천히 또박또박 대답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다음
가능하다면 상대를 자극하지 않는 선에서 동정을 유발하는 말을 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상대방도 인간이라는 것. 또한 행여나 군대와 관련된 물건은 자칫 불필요한 의심을 받게 되기 때문에
소지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충고 했다.

이렇게 시작된 영국 센추리 온의 적대적 험지 교육은
적대적인 지역에서의 위험요소에 대한 군사적 훈련과
다친 사람에 대한 응급조치 훈련이 두 기둥이 되어 진행됐다.
젊은 시절 군대에 입대해 기본적인 군사훈련을 배우고 익힌 우리 한국 남자들에게는
수류탄, 지뢰, 각종 총기 등 다소 낯익은 상황과 무기들, 그리고 훈련 내용들이 많았는데
때로는 내가 영국식 예비군 훈련을 받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었다.
하지만 센추리 온에서는 납치 상황, 인질상황에 대한 실제 체험,
검문소 통과와 차량을 이용한 이동상황에서 유의할 점 등이
실제 체험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이하고도 유용한 경험이었다.
이곳에서 말하듯이 모든 험지 상황이 연습과 똑같이 재현되지는 않겠지만
한번쯤 경험을 통해서 느끼고 대안을 모색해 본다면
비슷한 험지의 위기 상황에서 훨씬 안전한 대처가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뿐만아니라 군사적 훈련과 대응해서 실시한 DR.ABC를 기본으로 하는 응급치료나
심폐소생술 같은 경우 실제처럼 만들어진 시나리오 상황에서 훈련을 하기 때문에
더욱 생생하게 느껴졌고, 도끼를 들고 설쳐대는 교관 때문에 때로는 당황하고,
때로는 실수를 통해 다시 반복하면서 확실히 훈련내용을 익힐 수 있었다.
DR.ABC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다쳐서 쓰러져 있는 경우 생존률을 높이는 방법으로
응급처치의 기본이다.

Danger(to me), Response, Airway, Breathing, Circulation 그리고 Secondary survey 를 단계별로 진행한다.
이러한 응급치료는 센추리 온에서 강조하듯이 꼭 위험지역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도 교통사고나 산악사고 등 각종 사고현장에서 적이 않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센추리 온에서 강조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장에 있는 우리 자신의 안전이다.
때문에 전투지역이나 분쟁지역 같은 곳에서는 취재진 각각의 안전을 담보 할 수 있는
방탄복과 안전모 등 최소한의 안전장비를 갖추고
또한 현장을 잘 아는 안전요원과 함께 취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회사 차원의 지원이 꼭 필요하고
그래야만 취재진 모두의 안전을 조금이나마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대처 방안에 대해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준
이번 센추리 온 교육은 아주 유익한 연수였다고 생각한다.

카메라기자는 현장과 함께 존재한다. 현장이 없다면 카메라기자도 없다.
전쟁지역이든, 재해지역이든, 가장 위험한 현장에 우리가 있다.
때문에 이러한 교육 연수의 기회가 더욱 많은 카메라기자들에게 주어지기를 기대한다.

이동형 YTN 영상취재팀 기자





  1. <2023 광주 민주포럼> 세미나 영상

    한국영상기자협회는 지난 5월 17일 광주 5.18기념재단에서 <국제언론상을 통한 민주화경험의 국제화와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이라는 주제의 세미나에 참여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김동규 건국대학교 교수가 좌장으로, 미하일 아르신스키(제1회 힌츠페터 제보도...
    Date2023.06.12 Views53
    Read More
  2. <사회의 민주적발전과 영상저널리즘> 세미나 영상

    한국영상기자협회는 방송문화진흥회의 후원으로 지난 9월 14일 한국프레스센터 19층 매화홀에서 영상기자들이 현대사의 기록자로서 또 진실의 전달자로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5.18광주민주화운동과 80년대 전후를 중심으로 연구한 내용을 담은 세미나를 실시...
    Date2021.09.16 Views282
    Read More
  3. "디지털 분야에서 영상기자사 이룬 성과 지속될 수 있어야… 진짜 '멀티플레이어' 될 수 있도록 시간·공간 지원 필요"

    <2024 한국영상기자협회 특별 세미나> "디지털 분야에서 영상기자사 이룬 성과 지속될 수 있어야… 진짜 '멀티플레이어' 될 수 있도록 시간·공간 지원 필요" 지난 2월 5일, 2024 한국영상기자협회 특별 세미나 <디지털 비디오 저널리즘과 영상기자의 미래> 열...
    Date2024.02.29 Views86
    Read More
  4. "언론인, 흔들림 없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이야기를 자유롭고 안전하게 전할 수 있어야"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특별세미나 지면중계> "언론인, 흔들림 없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이야기를 자유롭고 안전하게 전할 수 있어야" 11월 7일, MBC골든마우스홀에서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특별세미나 열려… "세계가 직면한 문제 고민하고 연대하는 ...
    Date2023.12.21 Views62
    Read More
  5. '미생', 영상저널리즘의 '완생'으로 한 발 다가서다

    <2023 신입-주니어 영상기자 연수 후기> '미생', 영상저널리즘의 '완생'으로 한 발 다가서다  연합뉴스TV에 2022년 10월에 입사했다. 그 후 정신없이 1년이 지났고 한국영상기자협회 신입-주니어기자 연수가 개최된다는 소식을 들었다. 신입의 한에서만 갈 ...
    Date2023.12.20 Views51
    Read More
  6. No Image

    10.29참사취재의 경험 나누며, 서로 위로하고 공감했던 ‘별’ 같은 시간

    <2022 신입-주니어 영상기자 연수 후기> 10.29참사취재의 경험 나누며, 서로 위로하고 공감했던 ‘별’ 같은 시간 이번 신입주니어회원연수를 통해 영상기자의 역사, 언론 윤리, 초상권 문제, ENG 카메라의 변천사, 국제보도를 위한 준비 등 실전에 필요로 하는...
    Date2022.12.28 Views165
    Read More
  7. 2005 보도영상 포럼, "재난보도 어떻게 할 것인가?"

    제목 없음 2005 지방순회 보도영상 포럼 “재난 보도 어떻게 할 것인가?” 지난 6월 25일 오전 10시에 춘천 세종 호텔에서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가 주최하고 한국언론재단이 후원하는 2005 지방순회 보도영상 포럼이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은 KBS 영상취재팀 ...
    Date2005.06.29 Views8601
    Read More
  8. 2006 수중촬영 교육, "겸손함의 교훈"

    제주도 수중촬영교육을 다녀와서 들어가며 2006년 4월 28일부터 5월 2일까지 4박 5일 동안 제주도로 수중촬영교육을 받고 왔다. 다녀오고 나서 스스로 한층 더 성숙한 느낌으로 매일 아침을 맞이하고 있다. 힘든 교육을 마쳤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새로운 분야...
    Date2006.05.17 Views5749
    Read More
  9. No Image

    2007 Inter BEE, "HD For All! HD의 감동을 세계에!"

    HD For All! HD의 감동을 세계에! 먼저 몇 년간 배웠던 어줍지 않은 일본어를 인연으로 생각지도 않았던 이번 연수에 참가하게 되어 개인적으로 기쁘게 생각하고 또 세계 방송기기의 흐름에 대해 좀 더 넓은 안목으로 바라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주신 한국...
    Date2008.01.18 Views6347
    Read More
  10. No Image

    2007 Inter BEE, 사전 학습의 필요성을 절감하며...

    제목 없음 사전 학습의 필요성을 절감하며... 대세는 HD와 TAPELESS다. 새로운 방송 환경에 맞추어 새로운 장비는 도입하려는 모든 방송사가 고려하는 사항입니다. 뉴스 현장을 좀 더 선명한 영상으로 빠르게 전달하고픈 욕심은 끝이 없나봅니다. 기술의 발달...
    Date2008.01.18 Views5678
    Read More
  11. 2007 영국 적대적 험지교육(YTN 이동형)

    “Get out, Get out“ , “ Everybody Get out” 짚차를 타고 닫힌 목장문을 통과하려던 순간이었다. 느닷없는 총소리와 함께 복면을 한 납치범들이 나타난 것이다. 총소리에 놀란 우리는 한사람씩 차에서 끌려 내려와 땅바닥에 패대기 쳐졌다. 땅바닥에 엎어지자...
    Date2009.05.16 Views4542
    Read More
  12. 2008 Inter BEE, "HD 시스템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Inter BEE 2008 참관기 HD 시스템 승자는 누가 될 것인가? HD 시스템이란 무한 부가가치의 사과를 따기 위한 업체들의 경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세계방송 관련 업계의 화두는 과연 어떤 시스템이 HD시대를 이끌어 갈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제 세계 방송...
    Date2009.01.15 Views4845
    Read More
  13. 2008 NAB, "지금은 선택의 시간!"

    지금은 선택의 시간! 매년 개최된 NAB SHOW가 미국 라스베가스 컨벤션 센터에서 현지시간 4월 14일부터 17일까지 4일간 열렸다. 올해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의 영향으로 전에 비해 규모가 많이 축소되었다. 그래서인지 이번 NAB SHOW에서는 주목을 ...
    Date2008.06.26 Views6461
    Read More
  14. 2008 수중촬영 교육, "바다가 있었다, 그리고 그곳에는"

    제목 없음 바다가 있었다, 그리고 그 곳에는 어릴 때부터 바다와 함께 자랐던 저에게 바다는 친숙한 이름입니다. 넓은 백사장과 탁 트인 시야, 그리고 청량감 있는 갯냄새는 항상 제가 살아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집과 같은 곳입니다. 그런 제가 사랑하는 바다...
    Date2008.09.23 Views5451
    Read More
  15. 2008 수중촬영 교육, 고수(高手)

    2008 카메라기자협회 수중촬영교육 나이트록스 과정을 다녀와서 고 수(高手) "나이트록스가 뭐지?" "아 예... 그건 말이죠..." "밤에 다이빙하는 건가?" 아마 나이트록스 교육과정이 협회 홈페이지에 올라 온 이후 이런 반응을 보인 회원들도 있었을 것입니다....
    Date2008.09.23 Views5688
    Read More
  16. No Image

    2009 NAB 참관기 - NLE를 중심으로 (KBS 이상구)

    Non-Linear 편집프로그램은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출시하기보다 tapeless Full HD 카메라 파일을 지원하거나, 네트워킹 랜더링, SD 메모리 카드 사용 등 기존의 성능을 강화하는 추세였다. 지면 관계상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위주로 소개를 한다. 우선...
    Date2009.07.14 Views5842
    Read More
  17. No Image

    2010년 제1차 방송현안과 쟁점 세미나

    ▣ 일 시 : 2010년 2월 2일(화) 15시 ▣ 장 소 :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 ▣ 주 최 : 한국방송협회 ▣ 세부내용 ○ 사 회 : 권혁남(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발 제 - 종합편성PP채널 도입과 정책과제 / 최우정(계명대 법경대학 교수) - 방송시장 변화 분석 ...
    Date2010.02.10 Views5654
    Read More
  18. 2013 INTERBEE 참관 후기

    2013 INTERBEE 참관 후기 2013년 방송장비의 화두는 단연 4K이다. 일본은 2016년, 한국은 2018년부터 4K방송을 송출해야하기에 NAB, KOBA, IBC 등 앞 선 전시회에서도 4K 방송장비가 주를 이뤘는데, INTERBEE 역시 마찬가지였다. 한 해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
    Date2013.12.17 Views4440
    Read More
  19. 2019 수중촬영 업그레이드교육 보고서

    2019 수중촬영 업그레이드교육 보고서 ▲ 수중촬영 업그레이드 교육이 지난 9월 23일부터 27일까지 제주도 서귀포에서 있었다. 2017년 여름, 스쿠버다이빙 교육을 위해 필리핀 바닷속을 처음 경험했다. 그리고 어느새 2년이 지났다. 같이 갈 버디가 없다, 시간...
    Date2019.11.05 Views459
    Read More
  20. 2022 협회 연수 및 교육계획

    2022 협회 연수 및 교육계획 협회는 올 해도 회원들을 위한 다양한 연수와 교육을 기획, 준비하고 있다. 직무 관련 연수는 연차별, 생애주기에 맞게 설계되었다. 영상취재현장의 변화와 강화되는 취재윤리에 대한 고민들을 발전시키기 위해 영상보도가이드라인...
    Date2022.05.03 Views14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