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5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수정 삭제

No Attached Image

영상기자 2세대의 자가당착(自家撞着)
  
   1950년 한국전쟁의 발발과 함께, 등장한 한국의 영상기자는 올해로 61년의 직업적 역사와 전통을 가지며, 발전해오고 있다.  60여년 ‘한국영상저널리즘사’에 있어서, 영상기자 2세대는 한국영상저널리즘의 아버지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1950년에서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필름카메라에 기반한 1세대 영상기자들이 몸으로 보여준 헌신과 노력 끝에 대졸공채로 입사한 2세대 영상기자들은 ENG카메라의 등장, 80년대의 컬러TV방송 시작과 경제성장, 사회민주화, 서울올림픽을 통한 세계방송흐름의 변화를 겪으며, 영상저널리즘의 발전과 영상기자의 독립성, 전문성 확립에 한 획을 그었다.
‘영상저널리즘’, ‘영상취재’, ‘보도영상’, ‘영상기자’라는 용어의 조어와 개념정의가 이들 2세대에 의해 확립되었다. 또, KBS의 ‘현장의 눈’, ‘현장고발’, MBC의 ‘카메라고발’, ‘카메라출동’과 같이 시대를 앞서간 영상기자의 탐사저널리즘 프로그램들은 지금도 방송계에 차용되고, 회자되고 있다. 그들이 직접 기획하고 제작했던 다큐멘터리들은 오늘날 자연다큐, 시사다큐의 효시로 평가받는다.
아웅산폭발테러의 현장에서도 카메라의 버튼을 끄지 않았고, 화염병과 체류탄이 터지는 시위대와 경찰이 대치한 전투의 현장에서도 숨이 끊길 듯한 고통과 눈물을 참으며, 시대를 기록했다. 그래서, 그들의 영상기자로서의 프로의식과 항상 공부하고 고민하며, 행동하던 정신과 결과물들은 다매체시대를 살아온 3세대, 디지털시대의 4세대 영상기자들이 두고두고 되새기고, 다시 고민해야 할 존경과 배움의 표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조중동종편의 방송이 가시화 되어가면서, 2세대 영상기자들이 그들이 보여 왔던, 개척자로서의 삶을 멈추지 않고, 이들 종편사들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는 이야기들이 들려오고 있다. 후배들의 존경을 받으며, 이미 퇴직을 하거나 은퇴를 앞둔 2세대 영상기자들이 새로운 방송사에서 자신들의 다양한 30년 영상취재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삶을 진지하게 펼쳐간다는 것은, 소자고령화시대에 후배영상기자들로서는 신선한 충격과 스스로의 새로운 혁신을 위한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2세대 영상기자들의 조중동종편에서의 역할들이 조금씩 알려지면서, 이런 후배영상기자들의 기대와 존경심에 커다란 상처가 나고 있다. 조중동종편사들은 사주의 이익에 충실한 보도를 만들어내기 위해 보도영상의 위상을 취재된 기사를 보조하고 강화하는 역할정도로 인식하고 있다고 한다.
또, 공정방송의 요구가 싹트지 않기 위해, 분업과 협업체계 속에서 방송사를 대표하는 전문성과 윤리성을 추구해온 독립된 직종으로서의 영상기자를 인정하지 않고, VJ로 대볌되는 외주화 된 저임금의 고용이 불안한 카메라맨을 영상취재의 근간으로 활용하는 시스템을 고민하고 있다고 한다.
이런 종편사들에 각 방송사 출신의 2세대 영상기자들이 그 시스템의 관리자로서, 운영자로서 참여하기 위해, 제안서를 기획하거나, 종편의 출입처 안착을 위한 계약직 영상기자로서의 입사를 제안 받으며, 실무자들과 만나고 있다는 이야기가 들려온다. 또, 그 소문들은 협회의 조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이미 이러한 작업에 참여한 2세대 영상기자들은 ‘기존의 조중동종편의 보도영상에 대한 무지를 바로잡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 ‘더욱 추락할 수 있는 영상기자들의 위상을 살리기 위한 노력의 하나’라며, ‘반드시 영상기자후배들의 입지를 흔드는 일이 없을 것이다.’는 자신논리의 합리화를 추구하는 단계에 이른 듯하다.
하지만, 2세대 선배들이 영상기자와 영상저널리즘의 직업적 근간과 이론들을 만들어가며, 후배들에게 강조했던, 영상기자의 저널리스트로서의 독립성과 전문성, 협업과 분업의 틀에서 최고의 방송을 만들어가는 영상기자로서의 자부심이 존재하지 않는 영상기자와 조직은 그 진실성을 상실할 수밖에 없는 가짜 영상저널리즘을 추구하는 조직일 수밖에 없다.
더 이상 2세대 선배들이 쌓은 영상저널리즘의 업적과 선배영상기자로서의 존경을 한순간에 허물어버리는 자가당착의 길을 가지 않기를 선배들에게 간곡히 부탁하고 싶다.
그것이 선배들이 항상 이야기하는 ‘우리 사랑하는 영상기자후배들이 잘 되기만을 바라는 선배’로서의 첫걸음이 될 것이다.
  선배님들 저희의 사랑과 존경을 부디 버리지 말아 주세요!!!  


            
   - 한 후배기자의 호소

  1. No Image

    2007 MBC와 사랑할 시간

    <안녕하세요? 2007 신입카메라기자입니다> 2007 MBC와 사랑할 시간 혹독하게도 추운 겨울이었다. 뉴스에서는 백년만의 따뜻한 겨울이라고 연일 이상고온을 강조하고 있었지만, 합격자 발표를 초조히 기다리는 두 남자의 심정은 매일 매일이 혹한기였다. 그렇...
    Date2007.02.20 Views5798
    Read More
  2. No Image

    19대 총선과 보도영상의 공정성 세미나 개최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태양식)는 5월 25일 오후 6시, 서울 그린월드호텔에서 ‘19대 총선과 보도영상의 공정성’ 세미나 및 제43회 이달의 카메라기자상 시상식을 개최한다. 이 세미나는 미디어 정치 시대의 영상저널리즘은 어떤 성격을 지니고 있고 바...
    Date2012.04.28 Views2678
    Read More
  3. 19대 대통령 선거 무엇을 보도 할 것인가 -방송언론의 독립 없이 진정한 민주주의 없다.

    19대 대통령 선거 무엇을 보도 할 것인가 방송언론의 독립 없이 진정한 민주주의 없다. 1987년 이후 민주화 과정에서 방송사들은 정권과 권력으로부터 독립되고 간섭에 영향 받지 않는 공정방송의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다. 영상취재 준칙 제...
    Date2017.05.23 Views419 file
    Read More
  4. 12월 1일 이후 지상파 DMB 방송 시작과 낮방송 확대

    12월 1일 이후 -지상파 DMB 방송 시작과 낮방송 확대 지상파 DMB 방송이 시작되었다. 또 낮 시간 방송연장으로 시청자들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 없이 지상파 방송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방송시간 연장은 단순한 방송의 연장이 아니고 콘텐츠양의 증가를 의미한...
    Date2005.12.16 Views6319
    Read More
  5. 100호 발행 축사-박원순 시장

    영상저널리즘의 바른 길을 모색하는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의 회보 <카메라기자>가 벌써 발행 100회를 맞았습니다. 오늘도 어김없이 전국 현장 곳곳에서 고군분투 하고 계실 방송카메라기자 여러분들이 흘린 땀과 열정이 맺은 결실입니다. 진심으로 축하드립...
    Date2015.09.07 Views1517 file
    Read More
  6. 100호 발행 축사- 양동암

    카메라기자의 생각을 공유하는 신문 어떤 과거의 일은 꽤 시간이 지났는데도 한 장의 사진처럼 떠오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카메라기자 신문 100호 기념 원고 청탁을 받고 떠올려본 2003년. 그 기억 역시 겨울의 끄트머리 충무로 인쇄골목의 여백이라는 조그만 ...
    Date2015.09.04 Views1268 file
    Read More
  7. 100호 발행 축사- 심상정 대표

    무더운 여름날, 땀은 비 오듯이 흐르고 걸음 속도에 맞춘 뒷걸음질이 아슬아슬 합니다. 눈이 뒤에라도 있는 양 능숙한 발걸음이지만 한 눈에 보아도 육중한 카메라가 더 없이 묵직해 보입니다. “조심하세요” 라고 말씀드리려는 찰나 사방에서 질문이 쏟아지고,...
    Date2015.09.07 Views1123 file
    Read More
  8. 100호 발행 축사- 신진수

    충무로의 밤을 지키고 있을 또 다른이들에게 “신차장, 협회 편집부장 좀 맡아줘..” “헉! 선배.. 다른 어떤 일이라도 다 맡을 테니 신문 만드는 것만은 제발 좀…” 팀 선배인 태양식 회장이 2011년 카메라기자협회장으로 취임하자마자 회장사 후배로서 당연히 협...
    Date2015.09.04 Views1086 file
    Read More
  9. 100호 발행 축사- 성인현

    100호에서 200호, 300호가 되길 바라며. 내가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신문을 발행한게 17호부터였으니 벌써 10년이 넘은 일이다. 당시에는 월간지였고, 한번은 16면으로 증면 발행한 기억도 있다. 협회보가 친목의 장으로써 우리 회원들의 동정이나 알아야할 ...
    Date2015.09.04 Views1083 file
    Read More
  10. 100호 발행 축사- 문재인 대표

    반갑습니다. 새정치민주연합 당대표 문재인입니다. 먼저,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의 카메라기자협회보 100호 발간을 대단히 뜻 깊게 생각하며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아울러 역사의 현장에서 최고의 영상을 담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계신 카메라기자 여러분들의...
    Date2015.09.07 Views1432 file
    Read More
  11. 100호 발행 축사- 김무성 대표

    안녕하십니까?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 김무성입니다. 카메라기자 100호 발행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1987년 창립 이래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는 우리나라 자유언론의 발전과 방송문화 창달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습니다. 현장을 밤낮없이 발로 뛰며 시대...
    Date2015.09.07 Views1563 file
    Read More
  12. 10.29 참사 취재한 영상기자들, 심각한 트라우마 호소

    10.29 참사 취재한 영상기자들, 심각한 트라우마 호소 영상기자들, ‘확장된 기억’ 때문에 트라우마 피해 다른 언론직종 비해 더 심각 10.29이태원참사 초기, 참사현장과 합동분향소, 영안실 등을 취재했던 많은 영상기자들이 심각한 취재트라우마를 호소하고 ...
    Date2022.12.28 Views252 file
    Read More
  13. No Image

    -건의-카메라 로고 스티커 제작합시다.

    ytn 윤원식입니다. 예전에 한국방송카메라기자 스티커 제작하지 않았습니까? 소속감도 생기고 좋더군요. p2나 xdcam 으로 바뀌면서 안 붙여져 있는데, 새로이 제작해서 회원들이 붙여서 다닐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카메라 부착 스티커 ...
    Date2010.02.27 Views5255
    Read More
  14. No Image

    - 경찰서 마다 외부 연결 인터넷 라인이 있다면?

    어제 동대문 경찰서 성폭행범 찍으러 갔었드랬습니다. 경찰서 취재 많이 가는데요. 요즘 각사가 대부분 인터넷 송출을 합니다. 많이 하죠. 근데, 인터넷 송출할 경우 경찰서 취재때는 항상 pc방을 찾거나 주변 인터넷이 되는 곳을 찾느라 밖으로 나가 시간을 ...
    Date2010.07.17 Views4269
    Read More
  15. No Image

    (칼럼) 영상기자 2세대의 자가당착(自家撞着)

    영상기자 2세대의 자가당착(自家撞着) 1950년 한국전쟁의 발발과 함께, 등장한 한국의 영상기자는 올해로 61년의 직업적 역사와 전통을 가지며, 발전해오고 있다. 60여년 ‘한국영상저널리즘사’에 있어서, 영상기자 2세대는 한국영상저널리즘의 아버지들이라고 ...
    Date2011.05.21 Views3509
    Read More
  16. No Image

    (줌인)방송카메라기자에 대한 폭행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

    방송카메라기자에 대한 폭행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 지난 2월1일 SK그룹 최태원 회장과 최재원 부회장에 대한 선거 공판과정을 취재하던 KBS 정환욱 기자가 취재를 막으려는 SK측 경호원에 의해 발등 뼈가 부러지는 큰 부상을 입었다. 포토라인이 무너지는 ...
    Date2013.03.29 Views2441
    Read More
  17. (줌인) 카메라기자의 빈자리

    카메라 기자의 빈자리 신고한 지 150일 만에 송환된 정유라를 공항에서 체포한 검찰과 그 뒤를 쫓는 위험한 레이싱이 도로 위에서 무법을 양산했다. 중앙선을 넘고 호송 차량을 가로막으며 속도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뉴스는 계속된다. 생방송을 연결한 회사는 ...
    Date2017.07.20 Views713 file
    Read More
  18. (줌인) 영상저널리즘의 재정의가 필요하다

    영상저널리즘의 재정의가 필요하다 2013년 5월 미국에서 8번째로 큰 신문사인 ‘시카고선 타임즈(The Chicago Sun Times)’는 퓰리처 상을 탄 베타랑 존 화이트(John H. White)를 포함한 28명의 정규직 사진기자들을 해고했다. 프리랜서 사진기자들을 고용해서 ...
    Date2018.03.15 Views846 file
    Read More
  19. (줌인) 뉴스 영상 저작권 시대를 열며

    줌인(카메라기자 107호) 뉴스 영상 저작권 시대를 열며 뉴스 영상 저작권 시대가 열렸다. ‘언론자유’와 ‘국민의 알 권리 실현’을 위해 노력한 카메라 기자의 땀과 열정이 그 결실을 보게 된 것으로 자축하지 않을 수 없다. 방송 뉴스 미디어의 선진국이라 자부...
    Date2017.06.21 Views904 file
    Read More
  20. (줌인) 뉴스 그리고 ‘재현의 공간’

    뉴스 그리고 ‘재현의 공간’ 인간은 공간에 기초하여 삶을 뿌리박고, 사회적 관계를 영위하며 살아간다. 이런 공간에 대해 르페브르는 지각 공간으로 물리적 구체화를 만들어 ‘공간적 실천’을 하면서, 지식과 기호, 코드 등을 사용하여 ‘공간을 재현’해 구체화...
    Date2017.08.29 Views439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Next
/ 4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