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78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취재현장 포토라인 개선방안 세미나 열려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회장 한원상)가 주최하고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민병욱)이 후원한 ‘취재현장 포토라인 개선방안’ 세미나가 지난 13일 오후 6시 스텐포드 호텔(상암동)에서 개최되었다.

포토라인은 지난 1994년에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와 한국사진기자협회는 취재질서를 지키고 취재원의 인권보호를 위해 포토라인 규정을 선포하고 언론매체의 증가와 경쟁으로 인해 2006년 8월 31일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한국사진기자협회, 한국인터넷기자협회는 포토라인 시행준칙의 내용을 개정했다.

그 후 11년이 지난 현재 포토라인 규정의 재제 강화와 세부 준칙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포토라인 개선방안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이번 세미나는 포토라인의 취재 환경과 초상권에 대한 문제, 포토라인 준칙 강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방송사, 신문사, 언론중재위원회, 학계 등의 전문가가 참여해 취재 현장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김동규 건국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포토라인 1면.jpg



이 자리에서 첫 발제자로 나선 MBC 나준영 차장이 ‘영상취재현장의 변화와 포토라인’을 주제로 취재현장에서 일어나는 포트라인 문제점을 제기하고,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인제대 김창룡 교수가 ‘포토라인과 초상권의 대립에 관한 연구’ 주제로 발표했다. 또한, 양재규 언론중재위원회 변호사가 ‘포토라인의 진화와 초상권 동의’를 주제로 발제하고 김종완 YTN 차장이 ‘취재공간과 포토라인의 공적 기능’을 주제 마지막 발제자로 나와 발표했다.

이어서 국민일보 이병주 차장과 SBS 홍종수 기자, OBS 조성진 기자, MBN 이우진 기자 등이 토론자로 나와 발제자 발표내용에 대해 토론을 벌였다.


이 날 세미나에서 김창룡 인제대 교수는 주제 발제를 통해 “포토라인에 대한 규정은 법적 근거가 없지만, 공공성과 공익성이 인정되고 있는 만큼 언론사 차원에서 질서유지를 위해, 취재협조를 위해 세분화, 명문화 시킬 필요가 있다”며 “동행 의무가 없는 제3자는 포토라인에 서지 못하도록 하든가, 서겠다고 고집할 경우 초상권 보호의 의무를 질 수 없다는 점을 미리 고지하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김종완 YTN 차장은 포토라인 취재 위반 시의 제재 방안으로 “협회에 소속된 회원의 경우 협회에서 징계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며 “ 협회에 소속되지 않은 비회원사 기자, 회원사나 비회원인 기자의 경우, 징계절차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회원사와 민간 위원을 포함한 ‘영상취재 윤리위원회(가칭)’의 신설과 함께 포토라인, 취재윤리 위반자 및 위반 언론사, 단체에 대해 규제를 할 수 있는 신설기구를 제안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이정남 기자







  1. No Image

    취재윤리 무감각은 늘어나는 뱃살과도 같은 것

    11Jan
    by
    2006/01/11 Views 5784 
  2. No Image

    취재진의 정당한 취재 활동을 방해하거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에 대해 엄중히 경고한다.

    17Feb
    by
    2017/02/17 Views 863 
  3. 취재현장 포토라인 개선방안 세미나 열려

    02Nov
    by TVNEWS
    2017/11/02 Views 785 
  4. 취재현장에 뛰어나갈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18Nov
    by
    2011/11/18 Views 2578 
  5. 취재환경 변화에 맞춘 포토라인

    02Nov
    by
    2017/11/02 Views 596 
  6. 취재환경! 이제는 좀 바뀔 때가 되지 않았나?

    11Aug
    by
    2006/08/11 Views 5170 
  7. 측정 불가능한 초심 잃지 않을터…

    18Nov
    by
    2011/11/18 Views 2768 
  8. 친구, 영웅, 가족. 이 모든 것이 합쳐진 이름 - 아버지

    15May
    by
    2007/05/15 Views 6621 
  9. No Image

    카메라기자 그들이 위험하다!

    11May
    by
    2005/05/11 Views 6214 
  10. No Image

    카메라기자 또한 밥그릇 싸움에 당당히 나서야 한다.

    23May
    by
    2005/05/23 Views 6015 
  11. No Image

    카메라기자 전문화 교육 제대로 되어야

    12Sep
    by
    2005/09/12 Views 6434 
  12. No Image

    카메라기자 최고의 권위의 상 "한국방송카메라기자대상"

    14Jul
    by
    2008/07/14 Views 5909 
  13. No Image

    카메라기자 특파원 턱없이 적어

    16Apr
    by
    2007/04/16 Views 6409 
  14. No Image

    카메라기자 특파원, 그 존재의 의미

    16Apr
    by
    2007/04/16 Views 6213 
  15. No Image

    카메라기자, 다큐멘터리 제작 활발

    22Nov
    by
    2006/11/22 Views 5672 
  16. No Image

    카메라기자, 재교육 없는 방송 환경 심각하다!

    23May
    by
    2005/05/23 Views 6079 
  17. 카메라기자가 선정한 2014년 10대 뉴스

    30Dec
    by
    2014/12/30 Views 2748 
  18. No Image

    카메라기자는 사회의 파수꾼이며, 민주주의의 보루

    22Nov
    by
    2006/11/22 Views 5638 
  19. 카메라기자는 안전한가?

    16Mar
    by
    2011/03/16 Views 3672 
  20. 카메라기자들이 뽑은 2008 10대 뉴스 및 굿 뉴스 메이커

    17Jan
    by
    2009/01/17 Views 5496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