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3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No Attached Image

박근혜 전 대통령 재판 선고 생중계 가능…대법원, 규칙 개정


"1, 2심 선고 생중계 허용" 법정방청규칙 8월 1일부터 시행

생중계 허용 여부는 재판장이 결정…"국민 알권리 충족·사법 이해 제고"


대법원은 7월 25일 오전 양승태 대법원장이 주재하는 대법관 회의를 열고 8월 1일 자로 현행 '법정 방청 및 촬영 등에 관한 규칙'을 개정해 1·2심 재판 선고의 생중계를 허용하기로 했다.

다만 생중계 허용 여부는 재판장이 결정하게 된다. 피고인의 동의가 없어도 공적 이익이 더 크다고 재판장이 판단할 경우에도 중계방송이 허용된다.

이에 따라 박근혜 전 대통령 등의 선고 결과를 전 국민이 방송을 통해 확인 할 수 있게 됐다.

그간 법원은 법정 방청 및 촬영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본격적인 공판·변론 시작 이후엔 어떠한 녹음·녹화·중계도 불허해왔다.

특히 박 전 대통령이 재판에 넘겨지면서 국민의 알 권리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해 중계가 허용돼야 한다는 

여론이 일자 대법원도 규칙 개정 검토에 착수했다.

대법원은 지난달 20일 대법관 회의에서 결심과 선고 공판을 생중계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고 25일 회의를 속개해 선고만을 공개키로 했다. 다만, 선고 중계 제도의 활용 양상과 결과를 본 뒤 

중계 범위를 확대할 가능성도 있다.

대법원 관계자는 "국민의 즉각적·즉시적인 알 권리를 보장하는 폭을 넓히되 피고인의 인권을 보호하는 범위에서 최종 결정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방송사 시신이송 장면 솜방망이 처분 ‘논란’ file 2020.11.16 393
[신간 소개] 흐름의 한국 축적의 일본.... 한 일 간 차이를 만드는 세 가지 축 file 2018.10.19 396
남북정상회담 비속어 논란, 청와대 “사실 아니다” file 2018.12.19 398
코로나, 지역사회 전파로 영상기자 안전 '빨간 불' file 2020.03.12 399
‘거리두기’ 안 되는 ‘언론’ file 2021.01.06 405
정경심 교수 모자이크 처리, 피의자 인권 보호 신호탄 될까 file 2019.11.06 407
정규 교육과정화 시작한 초중고 미디어교육, 영상제작교육 부실화 우려 file 2022.08.31 408
영상을 통해 기록되는 역사의 사실 보도영상실록 file 2020.01.08 411
Produce 299 file 2018.12.19 412
진화하는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file 2020.09.09 413
사회적 영향력 큰 유명인 자살 보도, ‘기본’을 지키려면? file 2020.09.10 413
세계 자유·민주·평화에 기여한 영상기자 대상…5·18정신 세계화 기대 file 2019.09.06 416
미얀마가 ‘오월광주’다! file 2021.03.09 423
미얀마 민주화 지지 움직임 언론사로 확산 file 2021.05.06 424
방송사, 고령화 대비 대책 ‘전무’ file 2021.07.06 429
일부 방송, 박원순 시장 시신 보도… “시청자 혐오감 자극” file 2020.09.10 430
우크라이나전쟁 현장 취재, 언론인 간담회 file 2022.05.03 432
박근혜 전 대통령 재판 선고 생중계 가능…대법원, 규칙 개정 2017.08.30 437
“한국 언론사(史)의 이정표…윤리적 다짐 넘어 실질적 지침이 될 것” file 2019.01.02 438
협회, 2020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온라인 교육 닻 올리다 file 2020.11.16 44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