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미터 눈폭탄 '진짜 난리에요'>

 

 

 

 

IMG_2371.jpg

 

IMG_2363.jpg

 

 

- 26. 하늘에서 함박눈이 쏟아진다. 원주를 떠나 강릉에 발령난 지 불과 사흘째. 좀처럼 볼 수 없던 탐스러운 눈발에 잠시나마 감상에 젖어든다. 카메라를 들고 거리로 나섰다. 솜털 같은 하얀 눈이 도로 위에 쌓여간다. 어지러운 도심이 순백의 옷으로 갈아입고 있다.

 

- 27. 밤을 하얗게 지새웠다. 눈 상황은 시시각각 변하고 있다. 하루 사이에 얼굴이 퀭해졌지만 일손을 놓을 수 없다. 현장과 사무실을 벌써 열번 넘게 들락날락거리며 촬영과 편집을 반복하고 있다. 내일부터 주말이다. 비번이니 뜨거운 물에 씼고 좀 쉬어야겠다.

 

- 28. ()에 눈() 밖에 안 보인다. 벌써 50센티미터나 쌓였다. 주말이고 뭐고 전원 출근이다. 불평할 시간도 없다. 눈밭이 된 도로는 거대한 주차장으로 변했다. 도심은 이미 마비됐다. 제설용 중장비만 바쁘게 오갈 뿐이다. 눈앞에서 크고 작은 사건사고가 속출하고 있다. 몸은 천근만근이지만 긴장을 늦출 수 없다.

 

- 29. 즐거운 일요일이다. 하지만 계속 눈이 온다. 오늘도 쉬기는 틀렸다. 출근길 인도에 쌓인 눈 때문에 발이 푹푹 빠진다. 짜증이 난다. 산간마을에는 일부 주민들이 고립됐다. 길가에는 운행을 포기하고 버려둔 차들이 수두룩하다. 기상청은 당분간 눈이 더 온다고 한다. 제발 예보가 틀리기를 바랄 뿐이다.

 

- 217. 일주일이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르겠다. 얼굴이 검게 타버렸다. 열흘 동안 정신없이 눈 속에 파묻혀 지냈다. 허리춤까지 차오르는 눈이 이제 아무렇지도 않다. 열흘 넘게 계속된 눈과 제설에 주민들이 지쳐가고 있다는데, 나도 그 중 하나다. 이 눈이 대체 언제 끝날지 모르겠다.

 

- 218. 눈이 그쳤다. 지난 6일 이후 12일째 만이다. 적설과 관련된 모든 기록을 갈아치웠다고 한다. 1911년 기상 관측이 시작된 이후 가장 많은 110센티미터의 눈이 쌓인 것으로 기록됐다. 기상청 예보관들조차 1미터 이상 쌓인 눈을 직접 눈으로 볼 줄은 몰랐다며 당혹해했다. 나도 정말 당혹스러웠다.

 

- 224. 일상을 서서히 되찾고 있지만, 마음이 복잡하다. 지붕이 주저앉으면서 삶의 터전을 잃은 할머니. 열흘 넘게 고립됐던 산골마을 할아버지. 뜬눈으로 밤을 지새며 제설차를 몰았을 공무원까지. 폭설이 할퀴고 간 상처는 깊기만 하고, 삶이 정상화되려면 얼마나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지 장담하기 어렵다. 정신없이 촬영에만 열중하는 사이 피해 주민들의 속사정을 제대로 취재하지 못 한 것은 아닌지 후회스럽다. 폭설은 끝났지만 아직 할일이 많다. 폭설에 따른 피해 복구가 제대로 이뤄질런지, 대규모 재난에 우리 지자체나 정부의 대응 시스템은 제대로 가동됐는지 등 아직도 들여다볼 부분이 적지 않다. 아직 담아내지 못한 눈()이 없는지 다시 눈()에 불을 켜고 현장으로 달려가야겠다.

 

 

 

 

 

김중용 / KBS 강릉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첫 해외출장에서 첫 MNG로 공개한 ‘직지’ 원본… 해외 소재 문화재 환수 움직임 생겨 ‘뿌듯’ file 2023.06.29 371
안나푸르나, 그 높은 좌절의 벽 file 2020.03.12 363
내가 있어야할 자리를 깨닫게 한 나의 첫 올림픽취재 file 2022.03.08 356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한국 vs 투르크메니스탄 (1) file 2019.11.07 352
제2의 고향 속초, 이재민들의 여름 나기 file 2019.09.09 346
재난현장의 슈퍼맨 file 2020.11.18 345
‘큰불’로 시작된 취재 file 2020.11.18 330
인도네시아 지진, 쓰나미 취재기 file 2018.12.19 329
“한국 언론인으로서 힌츠페터 정신 인정받아 감사 여권법 개정 통해, 전쟁터, 재난국가에서 한국 언론인 취재 권한 보장되길” file 2022.11.01 324
비극은 어디서 부터 시작됐을까? 철인 3종 최숙현 선수 사망사건 file 2020.09.11 323
[2023년 4월 11일 강릉 경포동 산불 취재기] 강풍은 곧 대형 산불로…반복되는 재난 보도 대비 절실 file 2023.04.26 299
“속도보다는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다면적 보도해야… 한·일 저널리즘, 세계적 영향력 갖추길” file 2022.11.01 294
외신에 의존하지 않는 한국 시각의 전쟁 취재.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나? file 2023.12.21 271
[현장에서] 카메라와 아이디어로 담아낸 현실의 부당함과 저항, 인간의 투쟁이 세상의 조명을 받도록 file 2022.07.01 270
[카타르 월드컵 카타르 현장 취재기] 월드컵 역사상 다신 없을 카타르 월드컵 file 2022.12.28 262
[현장에서] “독재와 권력에 맞설 우리의 무기는 손에 든 카메라와 마이크입니다.” file 2022.07.01 243
[현장에서] ‘세계적 보편성’ 인정받은 ‘세계의 지역성’ …‘ATF2022’와 다큐멘터리 ‘화엄(華嚴)’ file 2023.03.03 240
2030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발표 취재기 file 2023.12.21 230
“첫 취재를 함께 했던 언론인 동료이자 친구인 故쉬린 아부 아클레 기자의 죽음 영상으로 담아낸 고통 …팔레스타인의 진실 계속 취재할 것” file 2022.11.01 211
“후쿠시마 오염수, 서로 다른 체감온도” file 2023.08.31 210
[카타르 월드컵 거리응원 현장 취재기] 뉴스의 중심에 선 ‘사람들’을 위해 그들과 등지고 서다. file 2022.12.28 197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