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인천, 아쉬움만 남았던 15일
주경기장.jpg









 첫 단추부터 어긋났다. 대회 시작 전 출입용 AD카드를 본인이 직접 방문하여 ‘활성화’해야 한다기에 지정된 장소중 하나인 주경기장을 찾았다. 어차피 출입 시마다 사진과 대조할 텐데, 뭔 ‘활성화’인가?! 테러위협으로 보안을 강화하고자 직접 신원을 한 번 더 확인해야 된단다. 

‘그래, 귀찮지만 G20회의 때도 그랬고... 뭐, 협조해야지’ 하지만 광활한 주경기장 내, 외부를 도보와 차량을 번갈아가며 두어 바퀴 돌다시피 뒤져보아도 활성화를 해준다는 등록센터를 안내하는 표지판은 없었으며, 만나는 안내요원마다 돌아오는 대답은 한결같이 “저도 잘 모르겠는데요?”였다. 

30여분을 헤맨 끝에 찾은 등록센터는 경기장 외곽에 컨테이너박스만한 크기로 나를 비웃듯 숨어있었다. 사무실 하나 찾는 일 조차 숨은 보물찾기의 전통놀이문화와 결합시켜 하나의 스포츠로 승화시킨 조직위의 능력에 감탄하며 들어선 등록센터. 담당요원에게 정말 찾기 힘들었노라고, ‘제발 곳곳에 안내문구 몇 개 붙여달라’고 하니, 돌아오는 대답에 할 말을 잃었다. “저희도 한참을 헤매다가 겨우겨우 찾아왔어요”. “아...네...”
 

기자에게도 스포츠정신을 함양하는 조직위의 운영은 거기가 끝이 아니었다. 양궁 컴파운드 결승이 있었던 계양경기장. 믹스드존에서 자리를 잡고 선수들을 기다리는 내게 운영요원이 와서 말한다. “선수들 인터뷰는 여기서 안하고 2층 프레스룸에 마련된 기자회견장에서 합니다.” 뭔가 이상했지만 그리한다고 하니 자리를 옮겼다. 한참이 지났을까. 분명 시간이 되었는데 아무도 없다. 뭔가 잘못된게 아닐까? 이런 쌩한 느낌은 예전에 ‘물먹던’ 바로 그 기분. 아니나 다를까, 아까 그 운영요원이 다급하게 와서 말한다. “죄송하지만 믹스드존 인터뷰가 맞다”고, “다시 내려가셔야 합니다”. ‘지금 누굴 X개 훈련시키냐’고 항의할 시간조차 없었다. 

말을 듣자마자 우사인 볼트로 빙의하여 다시 뛰어 내려간 믹스드존에는 다행히 인터뷰가 시작되기 직전이었다. 인터뷰가 끝나고 송출을 위해 또 프레스룸으로 뛰어올라갔다. 투혼을 불사르며 겨우 송출을 마치자마자 전날 과음의 여파가 신호를 보낸다.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취재하다가 결국 구토까지 하는 나를 보고 외신 사진기자들이 감탄했으리라. ‘한국의 카메라기자는 취재도 마라톤같이 죽을힘을 다하는구나! 오죽했으면 송출을 마치자마자 저렇게...’라고 생각하지 않았을까. 본의 아니게 한국 기자정신을 외신들 앞에 선보이게 해주신 조직위에 다시 한 번 감사했다.


 취재현장에서도 모두가 하나가 되었다. 관중석 사이에 위치한 ENG-ZONE은 원칙상으로는 일반 관중의 출입이 통제되거나 허용되더라도 잠깐의 이동 정도만이 허용되어야 했다. 하지만 중간에 출입을 관리하는 자원봉사자들은 AD카드가 없는 일반 관중들을 제지하는 경우가 전무하다시피 했고, 중간에 몰려든 관중들과 함께 어우러져 경기를 관람하기에 바빴다. 결국 ENG존 포인트간 통로는 자원봉사자와 관중, 취재진이 뒤섞이는 바람에 너무 비좁아진 나머지 장비를 가지고 이동하는데도 한참이 걸렸다.


 조직위의 운영미숙은 경기 취재의 마지막인 믹스드존에서도 드러났다. 그중 경험했던 최악의 경우는 축구 4강전, 對 태국전이었다. 밀려드는 몇몇 태국 기자들은 자리를 잡지 못한 나머지, 한국 선수들을 기다리고 있던 우리 취재진의 카메라 앞으로 머리를 들이밀며 자국 선수들을 취재하기 시작했다. “우리 선수들이 곧 나온다, 취재해야 하니 ENG존을 침범하지 말고 다른 곳에서 하라”고 아무리 설명해도 막무가내였다. 도저히 안 될 것 같아 운영요원들에게 제지를 부탁하였으나 그 어떤 조치도 하지 못하고 쩔쩔매기만 했다. 


 취재구역의 관리가 이 정도였으니 기자회견장에 ENG를 위한 단상을 설치해준 것조차 고마워해야 했을까. 그 수많은 취재진이 몰려드는 기자회견장에서, ENG단상 뒤에 유선 오디오 Out 박스를 설치해주기를 바랬던 것은 지나친 바램이었을까. 결국 묘안을 짜낸 나는 기자회견장 스피커의 뒷부분에 있는 Out단자 하나를 발견하고 오디오 라인을 연결하였으나, 이후에는 이것을 목격한 한국, 일본 취재진들이 앞 다투어 이 Out단자 하나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을 벌이는 진풍경이 연출되기도 하였다.


 ‘45억 아시아인의 축제’. 이번 아시안게임 관련 기사마다 붙는 수식어였다. 아시안게임 취재 후기를 요청받고 생각해보았다. 과연 축제였는가. 좋았던 점과 아쉬웠던 점을 써달라는 말에 나는 도무지 좋았던 점은 찾을 수가 없었다. 그렇다고 생각에 없는 좋은 말만 늘어놓을 수는 없지 않겠는가. 혹여 관계자들이 이 글을 보게 된다면 무척이나 섭섭하겠지만 할 수 없다. 진작에 잘하시던가. 조직위 기자회견장에서 ‘아시아 운동회’라는 비아냥거림이 괜히 나온 것이 아니다. 매 경기마다, 경기 취재 순간순간마다 아쉬움을 넘어 분노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았다. 이미 끝난 대회, 인천 조직위에 더 이상 할 말은 없다. 다만, 평창 동계올림픽 관계자들에게 한번쯤은 이 글이 눈에 띄기를 바라본다. 외신들이 3년여 뒤에 한국을 다시 찾았을 때, 이 나라 국제대회 운영이 조금은 나아져 있어야하지 않겠는가!






이성재 / MBC 보도국 사회2부 

  1. No Image

    F-16 전투기 탑승 촬영기

    차원 공간의 체험 - F-16 전투기 탑승 촬영기 KBS 보도본부 영상취재부 김병길 기자 "F-16" 우리 공군의 최신예 전투기이다. KBS는 광복 50주년을 맞아 "F-16" 편대의 동서횡단 비행 임무를 방영함으로써 이제는 국방력의 중심에 선 공군이 영공뿐만 아니라 영...
    Date2003.02.24 Views8224
    Read More
  2. No Image

    뇌성마비 어린이들의 잔치

    이렇게 많은 어린이들이 고통받고 있는 줄 몰랐다. 이토록 많은 어머니들이 멍든 가슴을 안고 사는 줄 몰랐다. 오후 2시, 데스크로 부터 뇌성마비 어린이들의 작은 잔치를 취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아무 생각없이 도착한 자그마한 공원.... 휠체어를 탄 많은...
    Date2003.07.08 Views7098
    Read More
  3. No Image

    북한관련 프로그램의 기획요령과

    북한관련 프로그램의 기획요령과 북측인사 접촉과정 북한 관련 프로그램의 기획은 당연히 일반적인 경우와는 큰 차이가 난다. 물론 일반적인 경우에도 여러가지 변수가 많이 발생하는 것이 방송프로그램의 기획이지만, 특히 북한과 관련된 기획은 아직도 어렵...
    Date2003.07.08 Views7068
    Read More
  4. No Image

    "OUT OF FOCUS" 유감

    “OUT OF FOCUS” 유감 요즈음의 뉴스 화면을 보면 촬영기자가 의도적으로 초점을 흐리게 해서 촬영하는 “OUT OF FOCUS” 촬영기법 장면이 눈에 많이 띈다. 이러한 화면은 대개 사건 사고의 잔혹한 장면이나 특별히 피의자의 초상권을 보호할 목적으로 촬영기자...
    Date2007.02.01 Views6596
    Read More
  5. No Image

    "사람이 떠내려갔어요. 살려주세요!"

    <태풍 '나리' 취재기> "사람이 떠내려갔어요. 살려주세요" 지난달 16일, 제 11호 태풍 나리가 제주로 향하고 있었다. 해마다 겪어온 태풍이라 큰 긴장감은 없었다. 예상보다 일찍 태풍 나리가 제주에 상륙한다는 소식에 일요일이었지만 좀 일찍 출근했다. 그...
    Date2008.01.12 Views6690
    Read More
  6. "사랑한다 아들아!"

    ‘사랑한다. 아들아.’ 이 말을 듣고도 가슴이 먹먹해지지 않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뉴스뿐만 아니라 여러 프로그램에서 들려오는 목소리였다. 그런 이 말을 나는 현장에서 직접 듣고 있었다. 미어지는 어머니의 목소리, 한마저 느껴지는 가족의 목소리...
    Date2010.05.14 Views9734
    Read More
  7. "취재 사업은 잘 되셨습니까?"

    “취재사업은 잘되셨습니까?” ‘금강산 역’을 출발해 ‘제진 역’으로 향하는 열차 안 북측 마지막 역인 ‘감호 역’에서 통관검사가 있었다. 북한 군인들이 열차를 타고 인원점검을 했다. 하지만 객차를 섞어 탄 사람들이 많아 시간이 걸렸다. 이 때문에 휴전선 통...
    Date2007.06.25 Views7792
    Read More
  8. "태풍 무이파" 영상 취재 24시

    "태풍 무이파" 영상 취재 24시 무이파 (태풍 번호: 1109, 국제 명: MUIFA)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서양자두 꽃을 의미한다. 이 아름다운 꽃말의 태풍은 클레오파트라의 치명적 매력만큼 위력은 엄청났다. 2011년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9번째 태풍으로, ...
    Date2011.11.17 Views10866
    Read More
  9. <10.29참사 취재영상기자 간담회> “참사 당시로 돌아간다면 다시 현장취재 할 수 있을지 의문”…현장기자들, 트라우마 ‘심각’

    <10.29참사 취재영상기자 간담회> “참사 당시로 돌아간다면 다시 현장취재 할 수 있을지 의문”…현장기자들, 트라우마 ‘심각’ 협회 차원의 구체적인 참사 취재 가이드라인 개정·취재트라우마 극복 위한 제도적 지원 필요 10.29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두 달이...
    Date2022.12.28 Views465
    Read More
  10. <태풍 취재기> 고글쇼에 대한 단상

    고글쇼에 대한 단상 ▲ 고글은 태풍현장에 안전하지 않았다.<사진> “선배, 그거 뭘까?” 제주총국 보도국에 이상한 놈이 나타났다. 물안경과 비슷하지만 그보다 크고, 스포츠 고글과도 비슷하지만 그것보다 투박하다. 분명한 건 뒤쪽의 밴드를 머리...
    Date2019.11.08 Views472
    Read More
  11. <태풍 취재기> 태풍 취재현장의 생생함과 안전 그리고 그 중간은 어디?

    태풍 취재현장의 생생함과 안전 그리고 그 중간은 어디? ▲ 제17호 태풍‘타파’현장<사진> “위험합니다. 더 떨어지세요!” 지난 9월 22일 제17호 태풍 ‘타파’ 강풍에 주차타워 건물의 외벽 재가 떨어진 상황. 현장 관리자가 ...
    Date2019.11.08 Views457
    Read More
  12. <태풍 취재기> 태풍의 최전선 가거도, 제13호 태풍 ‘링링’ 그 중심에 서다

    태풍의 최전선 가거도, 제13호 태풍 ‘링링’ 그 중심에 서다 ▲ 제13호 태풍 ‘링링’ 가거도 취재현장<사진> 지난 9월 초, 제13호 태풍 ‘링링’이 한반도를 관통할 것이란 예보가 나왔다. 지리적으로 태풍의 가장 직접적인 영...
    Date2019.11.08 Views617
    Read More
  13. "갔노라, 보았노라, 기록했노라"

    [현장에서] 이종섭 호주대사 출국금지 호주 현장 취재기 “갔노라, 보았노라, 기록했노라” 카메라에 눈이 쏠렸다. 출국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표정에 호기심이 가득했다. 평화로운 3월 10일 일요일 인천공항에 기자들이 몰렸다. 게이트마다 한 팀씩 자리를 잡고 ...
    Date2024.05.08 Views1541
    Read More
  14. "기후위기 시대의 영상기자’로의 진화가 필요한 시점"

    [현장취재기] “기후위기 시대의 영상기자’로의 진화가 필요한 시점” 바야흐로 기후 위기의 시대입니다. 올여름 살인적인 더위로 우리나라에선 전국적으로 천 명이 넘는 온열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수십 명이 목숨을 잃기도 했습니다. 바다 건너의 상황도 마찬...
    Date2023.08.31 Views195
    Read More
  15. '2011세계육상선수권대회' 달구벌 뜨거운 열기에도 나의 열정은 식어있었다

    ‘2011세계육상선수권대회’ 달구벌 뜨거운 열기에도 나의 열정은 식어있었다. A, “야! 가지고 있는 카메라, 망원렌즈, 트라이포드, 스트로보 모두 꺼내고 짐이 많은 것 처럼하고 뛰어 들어가자.” B, “입구는 한 곳인데 경찰이 저렇게 열을 지어 있는데 저기로?...
    Date2011.11.18 Views11447
    Read More
  16. '재난위험지역 전문취재' 과정을 마치고...

    국제경쟁력강화 프로그램 '재난위험지역 전문취재' 과정을 마치고... SBS 뉴스텍 영상취재팀 서진호 기자 2011년 3월 11일 14시 46분 일본 도호쿠(東北) 지방에서는 일본 관측 사상 최대인 리히터 규모 9.0의 지진이 발생했다. 강진 발생 이후 초대형 쓰나미...
    Date2012.07.25 Views11058
    Read More
  17. '청와대 하명수사' 취재 후 영상기자의 소회

    '청와대 하명수사' 취재 후 영상기자의 소회 ▲ 송병기 전 울산광역시 경제부시장이 지난 1월 직권면직된 후 청사를 빠져 나가고 있다<사진>. 지난해 말부터 장장 석 달이 넘는 기간, 울산은 여전히 떠들썩하다. ‘청와대 하명수사’라는 거...
    Date2020.03.12 Views381
    Read More
  18. '카메라기자 수난시대’ 쌍용차사측, 기자폭행…경찰은뒷짐

    “쏵 다 밀어 붙여!~” 멀찌감치 에서 소리가 들려오자 나는 급히 카메라 렌즈를 격앙된 함성에 초점을 맞추며 앵글을 잡았다. 곧 마스크, 복면, 모자 등으로 얼굴을 가리고 한 손에는 각 각 쇠파이프, 빗자루, 나무막대기, 물병, 돌을 움켜 쥔 겉보기에 수백 ...
    Date2009.10.16 Views10091
    Read More
  19. '후쿠시마 그 곳에서 일본을 보다'

    “후쿠시마 그곳에서 일본을 보다“ 다시 갔다. 솔직히 꺼림직 했으나 취재를 위해 7개월 만에 다시 찾아 간 후쿠시마는 너무나 평범하고 일상적인 모습들이었다. 동일본 대지진 직후 원전 폭발로 인해 발생된 피해와 사회적 두려움이 가득했던 지난 2월과는 사...
    Date2013.12.17 Views9808
    Read More
  20. 19대 대선취재기 - 조기대선이라는 아픈 역사가 반복되지 않아야 -

    19대 대선 취재기 - 조기대선이라는 아픈 역사가 반복되지 않아야 - 지난 3월 10일, 헌재에서의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결정과 동시에 조기 대선의 막이 올랐다. 반기문의 불출마 선언 이후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뚜렷한 대선 주자가 없었던 터라 두달...
    Date2017.06.06 Views1674
    Read More
  21. 19대 대선취재기 – 대선 취재 영상의 핵심요소는 ‘사람’

    19대 대선취재기 – 대선 취재 영상의 핵심요소는 ‘사람’  국회를 출입하면서 대통령선거를 경험하는 것은 행운이다. 각 정당의 에너지가 축약된 역동적인 현장을 직접 체험하는 짜릿함이 있다. 그리고 신명나는 만큼 무한 책임이 뒤따른다. 한 컷 한 장면이 ...
    Date2017.06.06 Views175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