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21 02:39

<사이버 폭력 취재기>

조회 수 126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o Attached Image

21세기 신 주홍글씨
사이버 폭력 벤쿠버는 우기로 접어들어 비가 내린다.

 

캐나다 벤쿠버는 우기로 접어들어 비가 내렸다. 몇 년 전 자살한 소녀의 집으로 가는 길은 비가 내려서인지 우울함이 더 했다. 
생소한 이름일수도 있고 들어본 이름일수도 있는 아만다토드.
15살의 어린 나이에 자살이라는 극한의 결정을 할 수 밖에 없었던 사연을 들으려 그녀의 엄마를 만나러 가는 길은

내리는 비만큼 마음이 무거웠다. 인터뷰가 가능할지도 모르는 조심스런 취재였다.

 13세의 아만다 토드는 부모의 이혼과 원만하지 못했던 학교생활의 탈출구로 화상채팅을 하다가 상대 남자의 유혹에

넘어가 그만 본인의 가슴을 보여줬고 얼마 뒤 그 남자가 이 화면을 캡처를 해서 다시 전신을 보여 달라는 협박에 넘어가

전신을 보여주는 치명적인 잘못을 저질렀다. 그 화면은 걷잡을 수 없이 세상에 퍼져 나갔고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아만다 토드는 창녀취급까지 받는 수모를 당했고 여러 차례 학교를 옮겨보고 심리적 치료도 해 봤지만 그녀를 올가멘

지독한 낙인은 지울 수가 없어서 15세가 되던 해에 자살을 하고 말았다. 이 사건으로 인해 캐나다는 충격에 빠졌다.
그녀의 엄마는 딸의 죽음을 계기로 제2의 아만다 토드가 나타자지 않도록  사이버 폭력이 사라지길 바라며 캠페인에

앞장서며 활동하고 있다. 아만다의 방을 스케치 하기위해 갔더니 정말 그 또래의 소녀같이 벽에 저스틴비버의 사진이

붙어있었고 인형도 많았으며 사진 찍기를 좋아하는 평범하고 예쁜 아이의 방 그대로 였다.

그런 아만다가 자살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몰아간 세상에 대한 미움으로 촬영 내내 가슴이 무거울 수밖에 없었다.

어렵게 그녀의 엄마로부터 인터뷰를 한 뒤 아만다의 묘지라도 가보려 물어봤더니

아만다는 어둠을  너무나 무서워하는 아이라 화장을 한 뒤 그 유골함을 집에 두고 작은 재단을 만들어 놓았다.

그녀의 엄마는 그 가해 학생들을 다 용서했다는 말로 인터뷰를 마쳤다.

과연 용서가 되는 것일까!

 

인터넷의 세상, 그 가운데서 특히 SNS(Social Network Services)는 많은 세상의 변화를 가져왔다.

역사적으론 아랍의 봄을 일으켰고 작게는 개인 간의 소통을 통한 네트워크 구축이다.

이러한 순기능 뒤엔 어마어마하게 무서운 악마의 모습을 함께 가지고 있다. 청소년 사이에서 가장 무서운 것이 사이버 왕따다. 
ㅇㅇㅇ동영상 유출, 우리는 오늘도 출처를 모르는 찌라시와 동영상을 보며 내심 재밌어하고 죄책감 없이

다른 이에게 전달하고 있는 사회에 살고 있다. 나쁘다는 것을 알면서도 즐기는 세상이다. 나만 아니면 된다는

이기심의 화살은 언젠가 나와 내 소중한 사람에게 돌아올 수도 있다는 것을 모른 채 살고 있는 것이다.

얼마 전 보고에 의하면 대한민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전 세계에 4위인 83% 달한다고 한다. 언제 어디서나 SNS를 통해서

무서운 속도로 퍼져나갈수 있다는 말이다. 그리고 그렇게 퍼져나간 내용은 다시는 지울 수 없는 주홍글씨로 남아 죽는

그 순간까지 괴롭힐 것이며 죽고 난 뒤에도 사라지지 않는 무서운 악마로 남는 것이다.

 

제2의 아만다 토드는 내가 될 수 있고 내 가족이 될 수 있다.

 

밴쿠버 작은 마을 연못가엔 벤치가 있다.

그 벤치엔 아만다 토드의 이름이 새겨져있다. 

그녀의 명복을 빈다.

 

 

 

정현석 / KBS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2023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수상소감] 인류최악의 원전사고, ‘체르노빌원전사고’를 알린 네 명의 영상기자들 file 2023.11.20 71
[2023년 4월 11일 강릉 경포동 산불 취재기] 강풍은 곧 대형 산불로…반복되는 재난 보도 대비 절실 file 2023.04.26 300
[U20 월드컵]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과 한국의 아쉬운 16강 탈락 file 2017.07.20 1507
[고성 산불 취재기] 고성 산불 그 후 file 2019.07.01 544
[고성 산불 취재기] 화마와의 사투 file 2019.07.01 549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폴란드 국경지역 취재기] 전쟁 속에서 꿈꾼 자유와 평화 (2022.2.17.~3.13) file 2022.05.03 403
[인도취재기]인도는 지금 변화로 몸살을.. file 2009.12.15 10609
[카타르 월드컵 거리응원 현장 취재기] 뉴스의 중심에 선 ‘사람들’을 위해 그들과 등지고 서다. file 2022.12.28 197
[카타르 월드컵 카타르 현장 취재기] 월드컵 역사상 다신 없을 카타르 월드컵 file 2022.12.28 263
[특별기획-브라질 월드컵] 응원석 태극기가 펼쳐질 때의 뭉클함을 잊을 수 없어 file 2014.08.13 7697
[특별기획-브라질월드컵] 4년 후 승리의 포효를 하는 기분 좋은 상상을 해본다 file 2014.08.13 7430
[특별기획-브라질월드컵] 포르투알레그리에서의 3일 file 2014.08.13 7353
[헝가리 유람선 사고 취재기] 화려함 아래 잠긴 슬픔 file 2019.09.09 373
[현장에서] ‘세계적 보편성’ 인정받은 ‘세계의 지역성’ …‘ATF2022’와 다큐멘터리 ‘화엄(華嚴)’ file 2023.03.03 241
[현장에서] “독재와 권력에 맞설 우리의 무기는 손에 든 카메라와 마이크입니다.” file 2022.07.01 243
[현장에서] 여전히, 오늘도, ENG. 다시 생각하는 ENG카메라의 미래 file 2022.08.31 1840
[현장에서] 역대 최악의 울진 산불 현장을 취재하며 file 2022.05.03 1089
[현장에서] 카메라와 아이디어로 담아낸 현실의 부당함과 저항, 인간의 투쟁이 세상의 조명을 받도록 file 2022.07.01 270
‘가슴 뛰었던 첫 출장, 뜨거웠던 쿠알라룸푸르’ - 말레이시아 출장기 file 2017.05.22 2305
‘그들의 광주 우리의 광주’ 취재를 마치고 file 2017.07.21 1626
‘극한출장, 베트남 2차 북미정상회담’ file 2019.05.08 49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