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2.28 23:07

<YS장례 취재기>

조회 수 453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거산(巨山)의 마지막을 함께하며..


오랜만에 근무가 없는 주말. TV 전원은 꺼두고 편히 쉬기로 마음먹은 지 이틀째 날. 
조용하던 핸드폰에서 뉴스 속보가 연이어 울렸다. ‘[속보]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얼마 전만 해도 SNS를 통해 병상에서 V자를 그리며 건강히 퇴원하는 모습을 보여준 당신이,
이리 갑작스레 세상을 떠났다고 하니 믿기지 않았다. 
고인에 대한 애도의 마음과 함께 당분간은 조문 행렬 취재로 바쁜 한 주를 보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자가 된 이후로 김영삼 대통령까지 포함하면 세 분의 대통령을 떠나보내게 되었다. 
노무현, 김대중 전 대통령 모두 빈소와 장례 과정을 현장에서 취재하긴 했지만, 카메라기자협회 풀로 국장의 
마지막 과정인 ‘안장식’을 취재하는 것은 처음이었다.대한민국의 문민정부를 이룩한 국가 지도자의 마지막 모습이기에 
더욱 어깨가 무거웠고, 오랜만에 검은 정장을 꺼내 입고 경건한 마음으로 국립현충원으로 향했다.
낮 동안은 세찬 눈이 쏟아졌다. 새벽에 약간 왔다 그친 며칠 전의 눈을 제외하면 낮에 제대로 본 눈으로는 
첫눈인 셈이었다. 항상 서민과 함께하며 친근하고 인간적인 모습을 보였던 당신이었기에 국가장 행사에 눈까지 더해져 
그의 마지막 길은 더욱 애틋하게 다가왔다. 국회에서 영결식을 마친 운구 행렬은 상도동 자택과 기념 도서관을 
거쳐 해가 어스름해질 무렵 현충원에 도착했다.
김 전 대통령의 묘역은 현충원 내 북동쪽, 장군 3 묘역 능선에 자리를 잡았다. 평생의 적이었던 박정희 전 대통령은 
위쪽 300m 지점에, 정치적 라이벌이었던 김대중 전 대통령은 왼쪽 300m 지점에 있어 김영삼 전 대통령은 
돌아가시고 나서도 삼각 편대로 긴장구도를 유지하는 듯했다. 입구에서 간단한 안장 의식을 치르고 나서 운구는 
가파른 언덕을 올라 묘소로 진입했다. 그가 대한민국 역사에 남긴 흔적에 비하면 다소 작게 느껴지는 묘소였다.
정치적 아들이라 자칭하는 유명 정치인들을 포함해 250여 명의 유족과 지인들이 그리 넓지 않은 묘소를 가득 채워 
추운 눈밭 위에는 온기가 가득했다. 부인 손명순 여사는 충격 속에 하관이 이뤄지는 동안 계속 넋이 나간 표정이었고, 
장례 기간 내내 냉정을 잃지 않았던 차남 현철씨도 마지막 순간에는 굵은 눈물을 쏟아내고야 말았다. 
그렇게 88년의 긴 세월 동안 수많은 카메라기자 선배들이 담아왔던 김 전 대통령의 모습을 내가 마지막으로 
기록했다는 사실에 마음이 숙연해졌다.
돌아가시기 전에 그가 남긴 마지막 말은 ‘화합과 통합’이었다. 생전에도 전국이 다 내 고향이라 말씀하셨던 터라 
봉분의 흙도 고향의 것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평생의 라이벌이었던 김대중 전 대통령과도 서거 직전 극적으로 
화해하시며 몸소 화합과 통합을 실천하셨다. 그의 언행이 갈등과 반목을 반복하고 있는 정치권과, 보수와 진보가 
끝없이 대립하고 있는 현재 한국 사회에 큰 울림을 주는듯하다. 지도자이기에 앞서 인생 대선배의 마지막 유언을 
우리는 다시 한 번 귀 기울이고 되새겨 봐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OBS강광민-거산의 마지막을 함께하며(이미지).JPG


강광민 / OBS





  1. <IS 파리테러 취재기>

    파리 테러 그 후 2015년 11월 13일 금요일. 주말을 앞둔 파리지앵들이 긴장을 풀고 파티를 즐기던 그날 밤. 파리 시내 한복판은 이슬람 수니파 무장단체 IS의 표적이 되었다. 불길의 상징인 13일의 금요일이 현실이 될 것이라 생각한 파리 시민은 아무도 없었...
    Date2015.12.29 Views4988
    Read More
  2. <YS장례 취재기>

    거산(巨山)의 마지막을 함께하며.. 오랜만에 근무가 없는 주말. TV 전원은 꺼두고 편히 쉬기로 마음먹은 지 이틀째 날. 조용하던 핸드폰에서 뉴스 속보가 연이어 울렸다. ‘[속보]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얼마 전만 해도 SNS를 통해 병상에서 V자를 그리며 건...
    Date2015.12.28 Views4533
    Read More
  3. <YS장례 취재기>

    첫 국가장 그 취재현장 속에서 지난 11월 22일 새벽, 김영삼 전 대통령이 향년 88세로 서거했다. 혈압 등 지병으로 19일부터 입원치료를 받아오던 중에 상태가 악화돼 숨을 거뒀다. 고인이 입원했던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빈소가 차려지고 국, 내외 많은 언론...
    Date2015.12.28 Views3316
    Read More
  4. <YTN 독도 취재기> 또 다시 밟아본 우리 땅 독도

    또 다시 밟아본 우리 땅 독도 대한민국 최동단의 땅, 독도 두 개의 섬과 90여개의 바위로 이뤄져 있으며 화산분출로 생겨난 천정굴, 코끼리바위. 한반도지형, 천국의문 등 섬 전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생태계 보호지역이다. 최근 계속되는 일본의 영유권 주...
    Date2014.12.30 Views7128
    Read More
  5. No Image

    <국정감사 취재기>

    2015 미완성 국정감사 “국정감사 종합일정 아직도 안 나왔어?!” 다들 초조해 지기 시작했다. 보통 2~3일전 국감 상임위 일정이 나와야 하는데 국감 시작 전날 늦은 오후에 세부 일정이 나온 것이다. 일제히 컴퓨터 앞에서 각 회사별 국감일정 전파보고와 평소 ...
    Date2015.11.21 Views952
    Read More
  6. No Image

    <국정감사 취재기>

    ‘얘기’되는 국정감사는 어디에? 실질적으로 국감 마지막 날이었던 10월 8일 국회의 국방위 국정감사장은 한국형 전투기(KFX) 개발사업에 대한 날선 공방으로 긴장감이 가득했다. 여야 가릴 것 없이 증인으로 나온 한민구 국방부 장관과 장명진 방위사업청장을 ...
    Date2015.11.21 Views1012
    Read More
  7. <민중총궐기집회> 새내기 기자의 첫 취재 현장속에서

    11월 13일, 입사하지 얼마 되지 않아 매일 양복을 입고 다니는 제게 선배가 퇴근하기 전에 와서 말했습니다. “내일은 무조건 편한 옷으로 입고 와라. 많이 뛰어야 할 테니까” 2008년 광우병 집회 이후 최대 규모의 집회가 될 것이라는 11월 14일 민중총궐기 집...
    Date2015.12.29 Views5355
    Read More
  8. No Image

    <사이버 폭력 취재기>

    21세기 신 주홍글씨 사이버 폭력 벤쿠버는 우기로 접어들어 비가 내린다. 캐나다 벤쿠버는 우기로 접어들어 비가 내렸다. 몇 년 전 자살한 소녀의 집으로 가는 길은 비가 내려서인지 우울함이 더 했다. 생소한 이름일수도 있고 들어본 이름일수도 있는 아만다...
    Date2015.11.21 Views1268
    Read More
  9. <스위스취재기> "빅토리녹스, 작지만 커다란 꿈을 만드는 공장"

    “빅토리녹스 작지만 커다란 꿈을 만드는 공장“ 스위스는 국토의 대부분이 알프스산맥의 능선에 걸쳐있고 고원과 깊은 계곡, 호수가 많다. 이 때문에 세계적인 풍광을 자랑하는 관광지가 발달되었으며 세계 최고의 관광산업국가로 평가받는다. 이렇게 뛰어난 풍...
    Date2014.11.18 Views7552
    Read More
  10. <시리아 난민 취재기> 요단강, 이 쪽의 사람들 - 카메라에 민감한 정서

    요단강, 이 쪽의 사람들 - 카메라에 민감한 정서 11월 23일 00시 05분, 인천공항에서 요르단으로 출발했다. 아부다비를 경유하여 가는 여정은비행시간만 13시간이 걸리는 꽤 먼 길이었다. ‘UN난민기구’가 관리하는 요르단 내 ‘시리아난민캠프’와 거기에서 나와...
    Date2014.12.30 Views7045
    Read More
  11. <아프리카 취재기>

    거부할 수 없는 매력, 아프리카 입사 20년만에 아프리카에 갈 기회를 얻었다. 정확히 얘기하자면 그 동안 그 기회를 애써 잡으려 하지 않았다... 아프리카는 묘한 곳이다. 가고 싶으면서 가고 싶지 않은 곳.. 에볼라, 테러, 기아, 해적.. 나의 마음을 주...
    Date2015.09.03 Views5480
    Read More
  12. <알래스카 취재기>

    “현지 코디의 중요성” 알래스카 북극의 대자연, 오로라, 빙하, 북극곰으로 유명한 알래스카는 1867년 전 미국이 구소련으로부터 720만 달러에 사들였다. 지금으로 환산하면 90억 원 정도이다. 터무니없는 가격으로 구매를 했지만 석유, 가스등의 자원은 천문...
    Date2015.11.21 Views5443
    Read More
  13. <유라시아 취재기>

    시베리아 횡단열차를 타고 생방송을... 블라디보스토크 기차역. 첫 번째 생방송이 예정된 곳이다. 누군가는 헤어지는 연인과 아쉬움에 진한 키스를 나누고 누군가는 여행의 시작에 들떠 사진을 찍고 있었다. 우리는 첫 생방송을 무사히 하기 위해 서울 신호...
    Date2015.09.03 Views5834
    Read More
  14. <일본지진취재기> 강진 속에서 흔들리지 않음을 배우다

    <일본지진취재기> 강진 속에서 흔들리지 않음을 배우다 “여진 느끼셨어요? 좀 많이 흔들리는데요..ㄷㄷ” “잉? 난 모르겠는 디 ㅋㅋㅋ” 새벽 1시, 숙소에서 각자 잘 준비를 하려던 참이었다. 그날 촬영한 영상 파일을 백업하고, 카메라 배터리를 충전기에 꽂아...
    Date2017.04.21 Views1806
    Read More
  15. <지역 취재기>

    “광수야, 오늘은 하늘에서 한 번 훑어야 할 거 같은데...” 데스크 지시가 떨어진다. ENG카메라만 챙기던 내가, 챙겨야 될 준비물이 하나 더 생겼다. 그건 바로 카메라가 달린 비행물체, ‘드론’이다. 처음엔 모든 게 어려웠다. 전에 RC카나 RC비행기를조종해봤...
    Date2015.09.03 Views6039
    Read More
  16. <지역 취재기>

    G1 창사14주년기념 보도다큐멘터리 가능성의 바다 관광블루오션 동해 (G1강원민방 홍성백 기자) 꿈과 목표 평소에 수중촬영에 관심이 많아 회사업무와 교육을 병행하여 현재 모 단체의 인스트럭터로 있고 마찬가지로 인스트럭터인 유세진 선배와 함께 수중팀...
    Date2015.11.21 Views5267
    Read More
  17. <진도 팽목항 취재후기>치유의 밀물, 우리의 역할이다

    세월호 참사, 비상식적인 사고가 대한민국을 뒤흔들었다. 그리고 많은 것을 잃었다. 300여명에 이르는 소중한 생명을 잃었다. 허술한 안전시스템에 국가는 국민의 신뢰를 잃었다. 지지부진한 세월호 법안처리에 국민은 할 말을 잃었다. 그리고 우리는 ‘언론의...
    Date2014.08.13 Views7503
    Read More
  18. <평양 체류기>

    평양, 7년만에 방북 KBS는 지난 8월 16일부터 25일까지 열흘간 평양에서 열린 국제유소년 축구대회를 취재하기 위해 북한을 방문했습니다. 2010년 5.24 대북재재조치 후 7년 만에 방북입니다. 그 사이 남북간 군사적 초긴장상태가 조성되기도 했습니다... 고...
    Date2015.11.21 Views5460
    Read More
  19. No Image

    <평양 체류기>-KBS 김대원

    Date2015.11.21 Views540
    Read More
  20. <호주 취재기>Working&Holiday 출장

    호주 취재기 Working&Holiday 출장 뉴질랜드의 2주간 취재를 마치고 호주 시드니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특파원현장보고> 제작을 위해 한국을 떠나와서 마지막 아이템 ‘워킹홀리데이 체결 20년, 스스로의 권익을 돕는 한국 워홀러’ 취재를 위해서다. ...
    Date2015.07.22 Views5861
    Read More
  21. AI, 인류의 새로운 미래

    AI, 인류의 새로운 미래 ▲ 카네기 멜론 대학교 AI기반 로봇을 시연하며 인터뷰 중이다<사진>. 2016년에 전 국민, 나아가 전 세계에 AI의 위력을 각인시킨 세기의 이벤트가 개최되었다. 바로 구글 딥마인드의 AI ‘알파고’와 세계 최고의 바둑기사인...
    Date2020.07.03 Views41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