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5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고(故) 안정환 선배를 추모하며

 
 
 동료들이 검은 옷을 입고 모인 빈소. 차고 건조한 느낌의 형광등 불빛 아래 놓인 영정사진. 그 안에서 환하게 웃고 있는 사람. 왜 그랬는지, 무슨 상황에서였는지 선배는 엄지를 치켜세우고, 비현실적인 미소를 짓고 있다. 지난 2017년 파업 때, 매일 보았던 그 얼굴이다. 그해 겨울은 몹시 춥고 바람도 매섭고 지루하리만치 길었다.
 
 선배는 그 겨울 동안 늘 묵묵히 자리를 지켰다. 생각해 보면 그게 선배와 함께 동고동락하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고 함께 술잔을 기울일 수 있었던 마지막 시간이었다.
 
 ‘나도 같이 하고 싶어. 내가 도울게. 전력을 다해 바꿔 보자.’
 그런 말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여차저차 선배가 파업 대열에 합류해 주었고, 실제로 큰 힘이 됐다. 그 시간이 없었다면, 나는 선배에 대해 지금처럼 많은 것을 알지 못했으리라. 선배의 마음속에도 그 기억이 나와 같이 남아 있을까?
 
 파업이 끝나고 나서 선배는 처음으로 팀장이 됐다. 그 기간은 참 짧게 끝나고 말았다. 팀장 자리에 앉아 암 선고를 받고 나서도 우리는 모두 담담했던 것 같다. 질병의 명칭이 주는 위압감과 공포를 선배도 나도 애써 외면한 것이리라. 나는 왠지 선배가 마지막까지 버티고, 당장에라도 건강한 모습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믿은 것 같다. 무슨 근거로, 그런 배짱을 부렸을까?
 
 선배도 딸 둘, 나도 딸 둘이다. 선배와 나 사이에 존재하는 공통 지점이다. 워낙 말수가 적어 선배로부터 딸들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듣지는 못했다. 오히려 내 딸 이야기를 선배에게 많이 했다. 그때마다 선배는 지긋이 웃으면서 마지막에 그저 짤막한 코멘트를 남길 뿐이었다. 선배가 얼마나 두 딸을 사랑하고 있는지, 또 형수를 아끼는지 느낄 수 있는 코멘트를.
 
 이따금 선배와 술잔을 기울였다. 선배는 원래 말이 없는 사람, 후배들에게는 왠지 엄격해 보이는 사람, 다가가기 쉽지 않은 사람이었다. 그런 선배와 참으로 편안하고 진솔한 자리를 가질 수 있었다는 게 얼마나 다행인가? 언론사에 들어와 온갖 불의와 싸우면서 믿을 수 있는 동료, 선배와 솔직하고 격의 없이 술잔을 기울일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소중한가? 지금 이 순간에도 선배와 마주 앉았던 그 자리가 몹시 그립다.
 
 선배를 보내고 나니 남는 후회란 더 자주 밥을 먹지 못한 것, 더 자주 술잔에 술을 부어주지 못한 것, 더 깊은 이야기를 더 많이 나누지 못한 것, 그런 소소한 것들뿐이다. 해도 해도 끝이 없을테지만 그래도 다시 한번 선배의 눈을 보고 싶은 마음은 무엇인가?
 
 10월 7일 아침에 비가 주룩주룩 내렸다. 7시 반. 이른 시간에도 2백여 명의 사람들이 회사 신관 로비에 모였다. 선배를 기억하고, 추모하고, 다시 보고 싶어 하는 동료들이 아침 일찍 추모식에 참석한 것이다. 짧은 추도 예식이 끝나고, 신관 3층 보도영상 팻말이 붙은 문을 지나 좁다란 복도를 걸어간 끝에 나온 아카이브실. 선배가 마지막 며칠을 머문 장소다. 영정사진을 안은 유가족은 아카이브실을 거쳐 4층 특집팀 사무실로 향했다. 선배가 암 선고를 받고 나서 몇 개월간 앉아 있었던 팀장 책상. 형수가 그 자리에 서서 한없이 흐느껴 운다. 마치 그 자리에 선배가 앉아 있었을 때 겪었던 일을 자신은 훤히 알고 있다는 듯 펑펑 눈물을 쏟는다. 오열하는 형수를 바라보며 나 역시 거기 앉아 있던 선배의 모습이 떠올라 가슴이 찢어지는 것 같았다.
 
 우리는 모두 죽음을 향해 걸어가는 존재들이다. 선배가 조금 먼저 정상에 올랐을 뿐이다. 나도 역시 삶의 길을 묵묵히 걷다가 언젠가 선배처럼 정상에 이르리라.
 
 선배가 떠난 후, 내 기억 속에 남은 선배는 싸우고 있고, 승리에 감격하고 있고, 마지막엔 그 승리의 여운을 조금이나마 공유하는 그런 모습이다. 그래서 참 다행이다. 선배의 삶에, (그땐 몰랐지만) 인생의 마지막 순간이 저벅저벅 선배를 향해 다가오고 있던 그 시점에 그런 승리, 작지만 감격스러운 사건이라도 없었다면 어땠을까 싶어 아찔하다.
 
 영정사진 속에서 환하게 웃으며 엄지를 높이 치켜세우는 선배 모습은 그래서 역설적으로 아름답다. 그날 속엔 나도 있었고, 환히 웃고 있던 선배도 있었던 것이다. 반년 가까이 급여를 받지 못하며 국정농단, 사법농단, 언론농단 세력과 맞서 싸우고, 개혁을 부르짖었던 시간은 순수하고 또 정의로웠다. 힘겹고 고독한 길을 걸어간 이상 우린 싸움 이전에 이미 승리자들이었다. 그 기억 속에 선배가 영원히 남으리라.
 
 남은 가족들께 깊은 슬픔과 함께 심심한 위로를 전해 드린다. 
 
 

김정은 / 편집장    f17df408ecf854986c366387ef590189.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특별기고-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위해 file 2017.11.04 609
군국 일본의 언론통제 file 2018.10.19 610
[이임사] 회장 임무를 마치면서 file 2021.03.11 625
‘한반도 위기설’을 선동하는 일본의 의도 file 2017.05.23 633
다가오는 '본격' 지방자치시대 지역방송사, 무엇부터 준비해야 하나? file 2018.01.10 634
거꾸로 가는 초상권 -류종현 / 부산대 초빙교수 전MBC 국장- file 2017.05.22 638
국민의 알권리, 사생활 보호받을 시민의 권리 file 2020.05.07 639
故 MBC 김경철 기자 10주기 추모글 file 2018.01.10 654
공정보도와 보도영상조직의 역할 file 2018.04.27 655
다기능 멀티플레이어가 요구되는 시대 file 2017.07.21 669
특별기고 한반도 주변 불안정과 달러 위기의 연관성 file 2018.03.15 688
<특별기고> 대통령선거와 카메라기자 - 이민규 교수 -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file 2017.06.06 692
옥상의 카메라, 무엇을 찍고 있는가 -양재규(변호사, 언론중재위원회 홍보팀장)- 2017.05.22 696
<새 정부에 바란다> 방송의 공공성을 회복하고 공정성을 확보해야 -김우철 /MBC - file 2017.06.06 703
방송환경의 변화에 영상기자들의 변화 file 2018.01.10 703
인류는 자신의 표현수단으로 이미지와 문자를 사용해 왔다 file 2018.07.04 721
<특별기고> ‘보도되는 자의 권리’이자 ‘보도하는 자의 윤리’로서 ‘초상권’ -류종현 초빙교수 - 부산신문방송학과 file 2017.06.06 760
[조성광변리사의 시 론] 자유경제와 경제민주화 file 2017.05.22 766
언시 장수생이 언시 장수생들에게 file 2021.01.07 836
북한 개성 방문기 file 2017.11.04 838
이미지와 권력 Image and Power file 2018.04.27 841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