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피의사실 공표 논란, '쉼표'가 될 기회





(사진) 피의사실 공표 논란, ‘쉼표’가 될 기회.jpg

▲ 법원의 영장실징심사에 출석하기 위해 경찰서를 나서는 피의자




 인사를 나누는 시간이 반갑다. 그간 소원해진 것 같다며 서로의 안부를 묻는다. 하루에도 몇 번씩 현장에서 얼굴을 마주하던 시절은 지났다. 대전·충남 영상기자들의 이야기다.


 검경의 피의사실 공표기준 강화는 출입처 지정이 없는 지역 기자들 사이의 물리적 거리감을 시나브로 벌렸다. 영상기자로 입사하면 수사기관 브리핑과 피의자 스케치라는 걸 가장 먼저 배우게 된다. 피의자와의 소통(?)이란 일을 핑계로 피의자를 낙인찍는 작업이다. 소통이 억압으로 둔갑하는 과정, 어찌 보면 그동안 이 억압의 클리셰를 우리는 당연시 해왔는지도 모른다. 수사 대상자가 암묵적형 확정자가 되는 것이다. 그들에게 카메라는 판사의 판결봉보다 무겁게, 기자들의 질문은 검사의 형량 구형보다 절망적으로 느껴지지 않았을까?


 피의사실 공표와 범죄 피의자 신상 공개 등에 대한 논란은 끝이 없다. 조주빈의 얼굴이 공개됐을 때 TV 앞의 국민은 분노했고, 조국 부인의 얼굴 공개 여부를 놓고는 모자이크 처리의 촌극이 빗어진 걸 보면.


 불과 몇 해 전까지만 해도 검경 수사 결과 브리핑은 영상기자가 할 수 있는 비교적 쉬운(?) 아이템이었다. 잘 차려진 밥상처럼 놓여 있는 각종 증거물 및 압수품들, 서로 반갑게 인사를 나누는 수사기관 관계자와 기자들 모습이 오늘 일은 쉽게 가겠구나, 하는 안도감을 안겨줬다.


 이제 밥상 위에 숟가락 올리던 시절은 지난 걸까? 요즘 지역 사회부 기자들은 아이템 고갈에 시달리고 있다. 피의사실 공표가 되지 않는 이상 통신사 뉴스 빼곤 알 수도 알아볼 수도 없는 사건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영상기자 역시 마찬가지다. 사실 확인이 덜 된 사건에 대한 영상취재는 자칫 르포르타쥬의 경계를 훌쩍 넘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취재 환경의 변화를 어떻게 봐야 할까? 한 박자도 쉬지 못하고 ‘음표’ 만 보며 달려왔던 취재 관행에 찾아온 ‘쉼표’를 단순히 영상취재 영역의 축소로만 해석할 필요는 없다. 알 권리와 소통이란 결국 국민에게 진실과 행복을 주기 위한 과정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사이코패스 전문가이자 컬럼비아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인 로버트 헤어 박사는 "상대방을 이해하는 마음 없이 경쟁만 강조하는 사회, 이기는 자만이 추앙받는 사회에서 사이코패스는 필연적"이라고 말하기도 했 다. 피의사실공표라는 알 권리와 소통의 명제가 영상기자에게 또 하나의 사이코패스를 만들진 않았는지 곱씹어 볼‘ 쉼표’의 시간이 왔다. 치열했던 자리싸움과 고성, 욕설 속에서 우리가 담으려 했던 장면들, 그 풍경 속의 우리 모습이 정상적이고 합리적 이었는지 생각해볼 시간 말이다.


 어쩌면 이제 더 이상 검경이란 공간에서 영상기자 간 만날 일이 없어질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선후배 간 만남의 장 (?)이 그만큼 줄어들고 나아가 관계가 소원해질지도 모른다. 그래도 반갑다! 영상기자의 영혼을 살찌울 수 있는 쉼표의 시간이 온 것에 말이다. 이참에 다시 새로운 음표를 맞이할 준비를 해 보면 어떨까? 더 많이, 더 빠르게 전달된 것이 언제나 우리 삶을 풍부하게 해 주는 진실이란 보장은 없지 않은가? 새로운‘ 음표’는 바로 그러한 인식에 서부터 시작하면 충분하리라.



박인학 / MBN 대전지부 (사진) 박인학 증명사진.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특별기고> 콘텐츠 빠진 새로운 판짜기 file 2017.05.23 576
‘한반도 위기설’을 선동하는 일본의 의도 file 2017.05.23 686
<특별기고> ‘보도되는 자의 권리’이자 ‘보도하는 자의 윤리’로서 ‘초상권’ -류종현 초빙교수 - 부산신문방송학과 file 2017.06.06 808
<특별기고> 대통령선거와 카메라기자 - 이민규 교수 -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file 2017.06.06 734
<새 정부에 바란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해야 할 언론 개혁 과제 file 2017.06.06 611
<새 정부에 바란다> 방송의 공공성을 회복하고 공정성을 확보해야 -김우철 /MBC - file 2017.06.06 768
알면 알수록 재미있는 몸짓 언어의 세계 file 2017.07.20 3124
지상파 UHD 방송 현황 file 2017.07.20 1520
다기능 멀티플레이어가 요구되는 시대 file 2017.07.21 743
‘가짜 단독’을 없애기 위한 우리의 ‘진짜 노력’ file 2017.07.21 640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한일 합의의 문제점과 해결의 길 file 2017.07.21 996
드론의 구체적인 제도화가 필요하다 file 2017.08.30 606
아시아·태평양전쟁에 있어서 원자폭탄의 정치·군사적 함의 file 2017.08.30 631
수중 촬영에서 피사체를 쉽게 찍을 수 없을까 file 2017.11.04 565
필사는 창작의 왕도 file 2017.11.04 651
북한 개성 방문기 file 2017.11.04 893
한국 미디어가 주시해야 하는 ‘소리 없는 세계통화전쟁’ file 2017.11.04 638
특별기고-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위해 file 2017.11.04 674
故 MBC 김경철 기자 10주기 추모글 file 2018.01.10 716
국제정세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file 2018.01.10 83919
일곱 번의 연기 끝에 성사된 '조용필 평양공연' file 2018.01.10 146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