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39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방송사 시신이송 장면 솜방망이 처분 ‘논란’
민언련 “행정지도만 세 번째…면피성 징계 말고 법정제재해야”

 

 

 

(사진)방송심의소위원회.jpg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심의소위원회 <사진/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제공>

 

 

 

 언론의 시신 영상 보도가 개선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심의 기관이 제재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민주언론시민연합(상임대표 김서중)은 지난달 18일 내놓은 논평에서 “방송통신심의위원회(위원장 강상현·아래 방통심의위)가 솜방망이 징계를 되풀이하는 사이 방송사들은 개선의 노력은커녕 ‘죽음’의 길조차 상품화하는 보도행태를 답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방통심의위 방송심의소위원회는 같은 달 16일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시신 이송 장면을 방송한 KBS·TV조선·채널A·MBN·YTN에 대해 ‘권고’ 결정을 내린 바 있다.

 

 한국영상기자협회(회장 한원상) ‘영상보도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자살한 사람의 시신은 “촬영해선 안 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주요 사건의 현장 생방송 중에 자살한 사람의 시신이 노출될 가능성이 있을 때’에는 영상기자와 방송사가 시신 장면이 방송되지 않도록 미리 대비해야 한다고 되어 있다.

 

 방통심의위 방송심의소위원회는 △2018년 고 노회찬 의원 시신 이송 생중계 △2019년 문재인 대통령 모친 시신 운구 모습 △2020년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시신 이송 장면 등을 방송한 방송사에 대해 모두 ‘권고’를 의결했다. 방통심의위는 심의 결과에 따라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정정·수정 또는 중지 △방송편성책임자·해당 방송 프로그램 관계자에 대한 징계 △주의 또는 경고 등의 제재를 할 수 있다. ‘권고’는 심의규정 등의위반 정도가 가벼워 제재를 할 정도가 아니면 내리는 행정조치다.

 

  민언련은 방통심의위를 향해 “방송에서 같은 문제가 세 번씩이나 반복되어 일어났는데도 어김없이 행정지도 권고를 결정했다.”며 “(방송사들이) ‘불필요한 시신 이송 장면을 관행적으로 쓰는’ 배경에는 문제가 벌어질 때마다 아무런 법적 효력이 없는 행정지도를 반복해 내린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책임도 가볍지 않다.”고 꼬집었다.

 

 민언련 김서중 상임대표는 “심의 제도는 사후에 제재를 가하는 것도 있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게 예방하는 측면도 있다.”며 “특히 심의를 잘하고 결정을 알리는 것 못지않게 방통심의위가 심의하고 제재를 가하는 사안이 무엇이고 무엇을 조심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 언론사들과 어떻게 소통하는지에 대해 의문”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방통심의위에 의견 진술을 다녀온 경험이 있는 한 방송사 관계자는 “대부분의 방송사 관계자들은 제재 수위를 조금이라도 낮추기 위해 ‘방송사가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서 재발을 방지하겠다’고 진술한다.”며 “심의 결과가 나온 뒤 방통심의위가 방송사들이 의견 진술에서 밝힌 내용을 잘 실천하고 있는 지 확인하는 과정은 없었다.”고 전했다.

 

  김 대표는 “방통심의위원들은 시신 이송 장면 보도가 갖는 위험성에 대해 정서적인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이 사안은 시청자의 불쾌감이 아니라 사자와 유가족의 인권에 관한 문제”라며 “세 번이나 같은 잘못을 반복한 언론들이 변명하는 데도 한계가 있었을 텐데, 그걸 고려했다면 단호한 제재를 할 필요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방통심의위 관계자는 “당시 회의록을 보면 방송심의소위 위원들이 현장 취재와 보도가 필요했다는 점과 문재인 대통령 모친 사망 당시와 비교할 때 흐림 처리를 하는 등 방송사들이 지난해 심의 결과를 반영하는 노력을 기울였다고 보는 것 같다.”고 밝혔다.

 


안경숙 기자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나준영 MBC영상기자, 제28대 한국영상기자협회 회장 선출 file 2023.03.03 290
MBN 6개월 업무정지 행정소송 2심판결 앞두고 사원들 생존권위협 호소 2022.12.28 299
지명관 전 한림대 교수, 5·18언론상 공로상 수상 file 2020.09.09 301
협회, 풀(Pool)취재·포토라인 준칙, ‘영상보도가이드라인’ 개정한다 2023.03.03 310
10.29 참사 취재한 영상기자들, 심각한 트라우마 호소 file 2022.12.28 322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제정한다. file 2020.09.08 326
주간경향 미얀마 특집호 구매, 배포 file 2021.04.15 326
내가 글을 쓰는 이유 file 2018.10.19 327
“KBS2TV·SBS ‘조건부3년’재허가한다” file 2021.01.06 332
2022년 최고의 영상보도 7편, 제36회 한국영상기자상 수상 file 2023.03.03 332
국회 언론·미디어 제도개선 특위‘빈손’…활동기한 연장해 결과내야 file 2022.01.06 333
MBC충북 김병수, 신석호 기자 <미래유산을 찾아서>가 보도한 건축물들 줄줄이 충북 등록문화재 ‘등록’ file 2023.04.26 334
6월 개최예정.<사회의 민주적 발전과 영상저널리즘>세미나, 방송문화진흥회 세미나지원 공모사업 선정 file 2021.04.15 343
“영상기자들, 초상권 침해 규정 절반만 인지” file 2023.03.03 349
용산 대통령실 이전 2개월…기자들 반응은? “도어스테핑으로 언론 접촉 늘었지만…” file 2022.07.01 362
포항MBC “포스코, 성역아냐”…기자단체, 포스코노사에 사과요구 file 2021.01.05 367
방송 출연 아동·청소년 인권 보호 가능할까 file 2021.03.09 368
국회발의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법안의 핵심 ‘운영위원회’ 모델 된 독일식 공영방송 방송평의회란? file 2022.05.03 378
제주MBC ‘직장내 괴롭힘’으로 조만간 인사위 개최 file 2020.11.11 380
20대 대선취재 영상기자 간담회 file 2022.05.03 38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1 Next
/ 4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