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7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심상찮은 전광훈 목사 현상

 

 

 

 ‘하나님 나한테 까불면 죽어’
 

 이 발언으로 논란이 됐던 전광훈 목사가 최근 코로나19 상황에서 광화문 집회를 독려해 감염병 재확산의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전 국민이 그의 이름을 알게 되었다. 사실 그의 이름은 2005년 처음 알려졌다.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부흥 설교 도중 ‘여신도가 나를 위해 속옷을 내리면 신자, 그렇지 않으면 아니다’라는 발언이 도마 위에 오른 것이다. 설명 과정에서 예화, 풍자의 의미로 사용했다고는 하나 일반적인 시민의 관점으로 보더라도 부적절한 발언이 틀림없었다.
 

 목사라는 호칭에 걸맞지 않은 그의 발언과 극우적인 행보는 다수의 국민들로 하여금 염려와 질타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극우적 성향을 가진 집단의 사람들에게는 영웅과도 같은 인물로 떠올랐다. 더 나아가 반정부 태극기 집회를 주도하고 이끄는 카리스마적 종교 지도자로 추앙받기에 이르렀다. 전 목사의 말 한마디에 내 편이 아니면 모두 빨갱이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2019년, 전 목사가 금권선거 논란 등으로 주요 교단들이 모두 탈퇴해 유명무실한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의 대표회장이 되고 나서부터 그의 적극적인 반정부 극우 정치 행보가 시작되었다.

 

 취임 첫 기자회견에서부터 문 대통령은 간첩이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말했고 이후 광화문에서 문 대통령 하야와 퇴진을 주장하는 대규모 태극기 집회를 한기총 이름으로 개최하면서 본격적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그의 무대가 기독교계를 벗어나 일반 언론의 관심을 받기 시작하면서부터 그의 발언 하나하나는 늘 이슈가 되었고 전 목사는 신이라도 난 듯 더욱 과격한 발언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언론은 이런 전 목사의 입에 주목했고 영상기자들도 그의 말 한마디를 신경 써 담았다 - 자괴감이 드는 일이다. 어쩌면 그의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막말을 분별없이 퍼 나른 언론이 전 목사를 극우의 중심에 설 수 있도록 도와준 격이라는 생각을 떨칠 수 없는 이유다.


 취재 현장에서 객관적 사실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지만 언론이 객관적 사실에 주목한 것인지 아니면 자극적인 그의 발언에 주목한 것인지 회의적일 수밖에 없다.
 

 전 목사는 보석 140일 만에 8·15 광복절 대규모 집회를 주도한 혐의로 보석이 취소돼 서울구치소에 재수감되었다.
 

 최근 열린 기독교계 주요 교단 총회에서 전 목사에 대한 이단 심의 및 연구를 마치고 그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어찌 된 일인지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킨 전 목사에 대해 왜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는가에 대해 혹 주류 보수교회 세력들의 정치적 입장이 그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은 아닌가 하는 의심마저 일고 있다.
 

 

 

최내호 / CBS (사진) 최내호 증명사진.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특별기고> 콘텐츠 빠진 새로운 판짜기 file 2017.05.23 576
‘한반도 위기설’을 선동하는 일본의 의도 file 2017.05.23 685
<특별기고> ‘보도되는 자의 권리’이자 ‘보도하는 자의 윤리’로서 ‘초상권’ -류종현 초빙교수 - 부산신문방송학과 file 2017.06.06 808
<특별기고> 대통령선거와 카메라기자 - 이민규 교수 -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file 2017.06.06 734
<새 정부에 바란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해야 할 언론 개혁 과제 file 2017.06.06 611
<새 정부에 바란다> 방송의 공공성을 회복하고 공정성을 확보해야 -김우철 /MBC - file 2017.06.06 767
알면 알수록 재미있는 몸짓 언어의 세계 file 2017.07.20 3114
지상파 UHD 방송 현황 file 2017.07.20 1519
다기능 멀티플레이어가 요구되는 시대 file 2017.07.21 741
‘가짜 단독’을 없애기 위한 우리의 ‘진짜 노력’ file 2017.07.21 639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한일 합의의 문제점과 해결의 길 file 2017.07.21 995
드론의 구체적인 제도화가 필요하다 file 2017.08.30 605
아시아·태평양전쟁에 있어서 원자폭탄의 정치·군사적 함의 file 2017.08.30 630
수중 촬영에서 피사체를 쉽게 찍을 수 없을까 file 2017.11.04 563
필사는 창작의 왕도 file 2017.11.04 649
북한 개성 방문기 file 2017.11.04 891
한국 미디어가 주시해야 하는 ‘소리 없는 세계통화전쟁’ file 2017.11.04 635
특별기고-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위해 file 2017.11.04 672
故 MBC 김경철 기자 10주기 추모글 file 2018.01.10 713
국제정세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file 2018.01.10 83894
일곱 번의 연기 끝에 성사된 '조용필 평양공연' file 2018.01.10 145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