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17 16:32

도심 속 고궁 산책

조회 수 23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도심 속 고궁 산책

 

(사진) 도심 속 고궁 산책.jpg

▲ 올여름, 경복궁 근정전 앞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의 모습

 

 

 “서울은 천박한 도시.”
 

 지난여름, 여당 대표의 입에서 나온 말이다. 서울을 가리켜 아파트값만 얘기하게 되는 천박한 도시로 표현해 논란이 됐다. 행정수도 이전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도중, 서울의 집값 문제 및 재산 가치로만 평가되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한 발언이었다지만 논란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았다. 개인적으로 반은 맞고 반은 틀린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강남불패니 마용성, 노도강 하는 단어들을 떠올려보면 맞는 말이고, 서울이 조선왕조 500년에 근현대 100년을 더한 현재 진행형 역사 도시임을 생각해 본다면 틀렸다. 서울은 단순히 물질적 가치로만 평가할 수 있는 도시가 아님은 분명하다.


 입사하며 시작된 서울살이가 어느덧 7년 차. 최근 몇 년 사이 나에겐 새로운 취미가 생겼다. 서울 시내 고궁 산책이다. 조선 500년의 수도였던 서울에는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 등 자그마치 5개의 궁궐이 있다. 취재 일정 중 비는 시간이나 철야 근무 후 쉬는 날이면 나는 고궁을 찾는다. 아스팔트와 보도블록으로 덮인 도심 길을 걷다가 고궁의 흙바닥을 걸으면 왠지 모르게 발걸음이 가벼워진다. 역사문화적 식견은 부족하지만 보이는 그대로의 아름다움이 내 마음을 풍요롭게 한다.
 

 한국의 전통미를 말할 때 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라고 표현한다. 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다. 여유로이 고궁을 바라보고 있자면 무슨 말인지 알 것도 같다. 부드럽게 곡선으로 뻗어나가는 지붕 선에서, 오방색으로 물든 단청에서, 정전 앞 넓게 깔린 월대에서 그런 아름다움을 느낀다. 고궁을 걷다 인적이 드문 대청마루에 걸터앉아 사색하는 것도 또 다른 즐거움이다. 여러 취재 현장에서 느꼈던 복잡한 감정들이 사색 속에서 차분히 가라앉는다. 내 머릿속에도 여백의 미를 넣어주는 순간이다.


 서울의 5대 궁궐 중 내가 가장 즐겨 찾는 곳은 창경궁이다. 창경궁은 왕이 아닌 왕의 부모인 상왕이나 대비 등이 기거하던 궁궐이었다. 그 때문에 경복궁이나 창덕궁에 비해 다소 소박한 규모로 권위보단 친근한 인간미가 느껴지는 공간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찾는 사람이 적고 울창한 나무들이 숲을 이루고 있어 혼자 여유롭게 산책하기에 좋다. 창경궁 내에 있는 연못인 춘당지는 창덕궁 후원과 더불어 서울에서 사계의 변화를 가장 아름답게 느낄 수 있는 곳이다. 봄이 오면 꽃이 피고, 여름이면 녹음이 푸르고, 가을이 되면 단풍이 물든다. 해설사 인솔하에 정해진 시간 동안만 관람이 가능한 창덕궁 후원과 달리, 창경궁 춘당지는 항시 자유관람이 가능해 훨씬 더 한가로이 계절의 정취를 즐길 수 있다. 선선한 날씨에 가을이 물들고 있는 요즘이 창경궁을 산책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다.
 

 세계 10대 도시로 손꼽히면서도 600년 역사의 기품이 흐르는 곳이 바로 서울이다. 그리고 그 중심엔 도심 속 고궁이 있다. 경복궁 근정전에 서서 뒤를 돌아보면 광화문 너머 도심 속 빌딩들이 보인다. 고도(古都)의 궁궐 속에서 바라보는 높은 고도(高度)의 빌딩 숲 풍경은 이 도시의 품격을 느끼게 한다. 서울은 그렇게 과거와 현재가 공존한다. ‘서울은 어떤 도시인가?’ 누군가 나에게 이렇게 묻는다면 서울의 고궁을 걸어보라고 말해주고 싶다.

 

 


 라웅비 / MBN (사진) 라웅비 증명사진.jpg

 

 

 


  1. 우리 삶과 닮아 있는 정치

    우리 삶과 닮아 있는 정치 사전투표장에 갔다. 한 시간 일찍 도착해 선거관리위원회 직원, 정의당 대변인과 취재 동선 등에 대해서 논의했다. 정의당 심상정 대표가 투표하러 투표장에 오려면 아직 30여 분의 시간이 남아 있었다. 26살인 오디오맨에게 시간 괜...
    Date2020.05.07 Views237
    Read More
  2. 도심 속 고궁 산책

    도심 속 고궁 산책 ▲ 올여름, 경복궁 근정전 앞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의 모습 “서울은 천박한 도시.” 지난여름, 여당 대표의 입에서 나온 말이다. 서울을 가리켜 아파트값만 얘기하게 되는 천박한 도시로 표현해 논란이 됐다. 행정수도 이전의 필...
    Date2020.11.17 Views236
    Read More
  3. 디지털 경험을 통해 새롭게 보이는 것들

    디지털 경험을 통해 새롭게 보이는 것들 현장에 도착해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던 경험, 누구에게 있을 것이다. 그럴 땐 현장에서 좀 떨어져 먼 곳에서 바라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높은 곳에 올라가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것도 비슷한 원리로 도...
    Date2020.01.08 Views234
    Read More
  4. 지금은 할 수 없는, 여행을 위하여

    지금은 할 수 없는, 여행을 위하여 ▲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필자 9시 15분 피렌체행 기차는 2시간이나 연착됐다. 역무원에게 물어보니 “토스카니에서 지진이 나서 어쩔 수 없다.”고 한다. ‘넘어 진 김에 쉬어간다.’ 생각하고 아침을 먹고 있는데 연착 시간이 9...
    Date2020.07.16 Views228
    Read More
  5. 판문점 북미정상회담과 보도영상

    판문점 북미정상회담과 보도영상 2019년 6월 30일, 판문점에서 역사적인 북미 정상회담이 열렸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만나는 순간이 라이브로 전파를 탔다. 이전 라이브 영상처럼 정제되지 않고 끊임없이 흔들리는 TV 화면이 보는 이에...
    Date2019.09.09 Views226
    Read More
  6. 힌츠페터 어워즈, 히어로 메이커 2.0

    힌츠페터 어워즈, 히어로 메이커 2.0 ▲ 3월 5일 〈힌츠페터국제보도상〉 조직위원들은 라이펜슈튤 독일대사를 만나, 이 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5.18이 다가온다. 대한민국의 민주화를 이야기하려면 광주를 빼고 이야기할 수 없고, 광주의 5.18을 이야기 ...
    Date2021.05.06 Views222
    Read More
  7. 심상찮은 전광훈 목사 현상

    심상찮은 전광훈 목사 현상 ‘하나님 나한테 까불면 죽어’ 이 발언으로 논란이 됐던 전광훈 목사가 최근 코로나19 상황에서 광화문 집회를 독려해 감염병 재확산의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전 국민이 그의 이름을 알게 되었다. 사실 그의 이름은 2005...
    Date2020.11.17 Views220
    Read More
  8. 우리만 모르는, 우리 안의 갑질은 없을까?

    우리만 모르는, 우리 안의 갑질은 없을까? ▲ 지난 6월 30일 울산 스타벅스, 매장 직원에게 폭언하는 갑질 손님 ▲ 지난 5월 19일 울산 울주군, 경비업무 중인 아파트 경비원 <사진/CCTV> # 장면 1 손님 : 내가 분명히 아이스 라떼 하나, 따뜻한 라떼 하나! 내가...
    Date2020.09.15 Views220
    Read More
  9. 전에 없던 새로움을 탐하다 ②

    전에 없던 새로움을 탐하다 ② 6개월간의 대장정 선거 방송을 준비하며 UHD 실사 촬영 이번에는 포맷용 실사 촬영을 UHD급 이상, 10bit 이상 영상으로 하기로 했다. 최종단에서 전체 영상 톤을 맞추기도 용이하고 HD 화면의 4배 사이즈이기 때문에 CG용 재가공 ...
    Date2020.09.15 Views218
    Read More
  10. 부동산 정책? 건강한 인식(認識)이 먼저

    부동산 정책? 건강한 인식(認識)이 먼저 ▲ 새 집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필자의 가족 <사진/김원> 결혼을 하고 5년째 되든 해, 어린 시절부터 살던 동네에 작은 집을 하나 마련하게 됐다. 1기 신도시라 연식도 오래됐고, 많은 사람이 선호하는 인 서울...
    Date2020.09.15 Views216
    Read More
  11. 길(路)의 재발견

    길(路)의 재발견 ▲ 성산대교 밑 보도 한쪽에 잠자리를 사냥한 거미의 모습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19가 시작됐다. 첫 보도는 원인 모를 폐렴으로 우한 시민들이 목숨을 잃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그때는 이것이 나의 삶과는 상관없을 줄 알았다. 그러...
    Date2020.11.17 Views179
    Read More
  12. ‘불특정 그룹 샷의 난민사진을 본 사람들, 반난민정책 더 선호’

    [영상저널리즘 연구소] ‘불특정 그룹 샷의 난민사진을 본 사람들, 반난민정책 더 선호’ - 취재윤리, 국가가 중심의 언론 통제가 아닌 현장기자들의 주체적 판단 속 정립돼야 지난 늦봄에서 이번 여름까지 캐나다 토론토와 프랑스 리옹에서 열린 두 개의 국제...
    Date2023.08.31 Views170
    Read More
  13. [뉴스VIEW] 졸속과 파행의 공영방송 공격

    [뉴스VIEW] 졸속과 파행의 공영방송 공격   정권이 바뀌면 새로운 정책이 입안된다. 그 정책에 많은 관심이 쏠린다. 자원과 사람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정책의 종류는 다양하다. 미디어정책도 그 하나다. 정권을 잡았다고 해서 정책이 반드시 성공하는 것은...
    Date2023.06.29 Views145
    Read More
  14.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투쟁과 한국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2023 광주민주포럼 발표문 요약1]  민주주의를 위한 벨라루스의 투쟁과 한국의 힌츠페터 국제보도상  미하일 아르신스키 (Mikhail Arshynski, 제1회 힌츠페터국제보도상 '기로에 선 세계상(대상) 수상자)  루카센코 장기독재에 신음하는 벨라루스 민주주...
    Date2023.06.29 Views144
    Read More
  15. 박수칠 때 떠나자: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의 자립 선언

    [2023 광주민주포럼 발표문 요약3]  박수칠 때 떠나자: 한국 언론의 국제뉴스의 자립 선언  김성해 (대구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과 교수)  국제뉴스를 향한 타는 목마름과 분열의 자화상: 미,영의 언론들을 통해 세계를 보아 온 한국 언론의 관성과 학습된 ...
    Date2023.06.29 Views144
    Read More
  16. 취재를 잊은 언론, 진실을 숨긴 언론

    [뉴스VIEW] 취재를 잊은 언론, 진실을 숨긴 언론  #장면1. 11월 22일 우리 대통령이 영국 다우닝가 10번지 총리 관저를 패스해 홀로 직진하는 장면이 생중계되었다. 현장 외신 기자들은 “어디로 가는 거야?”, “이거 다 촬영했지?”라며 웅성거렸다. 영국 언론...
    Date2023.12.21 Views126
    Read More
  17. 영상을 통한 공감과 연결, 더 나은 미래의 모색

    [2023 광주민주포럼 발표문 요약2]  영상을 통한 공감과 연결, 더 나은 미래의 모색  브루노 페데리코 (Bruno Federico, 제1회 힌츠페터국제보도상 특집상 수상자)  권력과 자본이 저지른 폭력과 범죄의 고발을 위해 시작한 영상기자로서의 삶 저는 영상저...
    Date2023.06.29 Views123
    Read More
  18. [뉴스VIEW] 진실을 가짜로 만드는 무소불위의 힘은 누구인가

    [뉴스VIEW]  진실을 가짜로 만드는 무소불위의 힘은 누구인가 ‘가짜’에 상을 수여한다는 희괴한 소식을 들었다. ‘자유언론국민연합’이라는 단체 주최의 ‘2023 상반기 10대 가짜뉴스 시상식 & 기념토론회’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이 3천만 원이나 지원한다니 ...
    Date2023.08.31 Views110
    Read More
  19. 여름 휴가에 가서 세네카를 만나자

    [책 추천]  여름 휴가에 가서 세네카를 만나자  세네카는 고대 로마의 철학자이자 정치인, 문인이다. 한 백과에 따르면 그는 대표적인 스토아 학파의 철학자 중 한명으로, 로마제국 최초의 공인된 폭군 네로의 스승으로도 유명하다. 3대 황제 칼리굴라 시대...
    Date2023.06.28 Views106
    Read More
  20. 내가 사랑한 영화 '냉정과 열정사이'

    [프레임 밖에서] - 영화 추천 내가 사랑한 영화 '냉정과 열정사이'  극장으로 가는 발걸음에 묘한 설레임과 두려움이 교차했다. 영화를 보러 가며 이런 감정을 느껴본 적이 있었던가? 마치 오래전 첫사랑을 재회하듯, 기대감과 실망감 언저리의 정의할 수 없...
    Date2023.12.20 Views105
    Read More
  21. 우리가 찾던 ‘저항의 언어’

    <2023 광주민주포럼을 다녀와서…>  우리가 찾던 ‘저항의 언어’ <채종윤 한국영상대학교 교수> 2차세계대전 이후 인간의 실존적 주체성을 강조하는 측과 구조 속에 인간됨을 이해하려는 측, 과연 ’인간은 주제적일 수 있는가‘에 관한 뜨거운 논쟁이 서양 사상...
    Date2023.06.28 Views10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