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29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좋은 취미’에 관하여

 취미를 선택받는 모든 사람에게

 

(사진) 좋은 취미’에 관하여.jpg

▲ 만화를 좋아해 땡땡(tin-tin)의 대모험 전시회에 참석한 필자

 

 

 취미란 무엇인가? 취미의 ‘취(趣)’는 ‘서두르다’, ‘빨리 달려간다’는 뜻이고, ‘미(味)’에는 ‘맛’ 뿐만 아니라 ‘취향’, ‘기분’이라는 뜻이 있다. 말 그대로 자신이 좋아하는 바를 부지런히 좇아간다는 뜻이다. 이처럼 취미는 이성의 영역이기보다는 감성의 영역이다. 그리고 지극히 사적인 것이다.


 개인의 은밀한 취미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누군가의 구설수에 오르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예전부터 사람들이 흔히 꼽는 3대 취미가 있다. ‘카카오’라 불리는 자동차(카) 튜닝·카메라 수집·오디오 튜닝이 바로 그것이다. 이것들의 공통점은 발을 들여놓기 시작하면 월급이 들어오자마자 사라진다는 것이다. 한 가지 장비만 갖춰서는 무언가 아쉽고, 세트를 갖춰도 이보다 더 좋은 스펙, 다른 기능을 가진 장비에 눈길이 간다. 이런 취미는 한번 주머니가 열리면 다시 잠그기 쉽지 않아 과소비자로 낙인찍힐 수 있다.
 

 투자되는 비용 때문이 아니라 시간 때문에 눈초리를 받는 취미도 있다. 낚시, 게임, 골프 등이 대표적이다. 다음날 지구가 멸망해도 이들은 오늘 마지막 찌를 던지고, 막판 접속을 하고, 최후의 라운드를 즐기리라. 자신의 취미에 몰두하는 이 은둔자들과 자주 어울리고 싶다면 취미를 공유하는 수밖에 없다.
 

 시간, 비용이 아니라 분위기 때문에 취향의 순수성을 의심받는 취미도 있다. 와인 모임, 등산회, 댄스, 서핑 등이 그 예다. 순수하게 취미를 즐기는 사람만큼, 선입견을 갖는 사람도 많다. ‘염불에는 관심 없고 잿밥에만 마음 있다’는 편견과 싸워 진정성을 증명해야 하는 것은 이들이 종종 마주치는 과제다.
 

 이 밖에도 고스톱이나 포커, 경마 같은 사행성 취미, 이종격투기나 익스트림 스포츠와 같은 취미도 뭇사람에게 환영받기 쉽지 않다. 불건전하다고 핀잔을 듣거나 주변 사람을 염려하도록 만들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개인의 SNS 활동도 검열당하고 제지당한다. 본인이 온라인에 올린 콘텐츠가 의도치 않게 고용주나 타인에게 피해를 끼칠 수 있어서다.
 

 따지고 보면, 취미라는 이름의 개인 영토는 타인에 의해 쉽게 침략당한다. 좋아하는 것을 있는 그대로 좋아하기가 쉽지 않다. 앞서 언급한 비용, 시간, 선입견, 윤리, 안전 등의 요소만 고려해도 바람직한 취미의 선택지는 많지 않아 보인다. 위의 기준을 충족하는 취미 중 당장 떠올릴 수 있는 것은 산책·요리·독서·간단한 보드게임·영화감상·가벼운 운동 정도다. 누구에게 취미로 소개해도 무난한 것들이지만 어딘가 허전하다. 만약 운이 좋지 않아 위의 취미들이 자신에게 맞지 않는 것들이면 더더욱 끔찍할 것이다. 그렇다고 해도, 자신의 취미를 묻는 공적인 순간에 ‘화투’나 ‘피규어 수집’을 언급할 용기가 우리에게 있을까?
 

 이런 절제된 영토 위에 살려니 처음 좇고 있던 것이 무엇인지 자꾸 잊어버린다. ‘취향은 논쟁의 대상이 아니’라고 하는데, 대한민국에서는 공염불로 들린다. 어쩌면 역설적으로, 자신의 취향을 숨기고 양보하는 것이 이 땅에서 ‘가장 좋은 취미’가 되어버린 것은 아닐까?

 

 


 안민식 / KBS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미지와 권력 Image and Power file 2018.04.27 905
공정보도와 보도영상조직의 역할 file 2018.04.27 704
그들은 왜 조용필을 불렀나 file 2018.04.27 1335
‘제31회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시상식’ 축사 file 2018.04.05 568
조용필 평양공연 지켜지지 않은 합의서 file 2018.04.05 628
특별기고 한반도 주변 불안정과 달러 위기의 연관성 file 2018.03.15 739
다가오는 '본격' 지방자치시대 지역방송사, 무엇부터 준비해야 하나? file 2018.01.10 686
방송환경의 변화에 영상기자들의 변화 file 2018.01.10 757
일곱 번의 연기 끝에 성사된 '조용필 평양공연' file 2018.01.10 1461
국제정세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file 2018.01.10 83912
故 MBC 김경철 기자 10주기 추모글 file 2018.01.10 715
특별기고-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위해 file 2017.11.04 674
한국 미디어가 주시해야 하는 ‘소리 없는 세계통화전쟁’ file 2017.11.04 637
북한 개성 방문기 file 2017.11.04 893
필사는 창작의 왕도 file 2017.11.04 651
수중 촬영에서 피사체를 쉽게 찍을 수 없을까 file 2017.11.04 565
아시아·태평양전쟁에 있어서 원자폭탄의 정치·군사적 함의 file 2017.08.30 631
드론의 구체적인 제도화가 필요하다 file 2017.08.30 606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한일 합의의 문제점과 해결의 길 file 2017.07.21 996
‘가짜 단독’을 없애기 위한 우리의 ‘진짜 노력’ file 2017.07.21 640
다기능 멀티플레이어가 요구되는 시대 file 2017.07.21 742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