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87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언시 장수생이 언시 장수생들에게

 

 모두가 힘든 코로나 시국입니다. 이 시국에 안 힘들 사람이 누가 있겠습니까만, 오래된 불안이 불행으로 번지고 있을 ‘언시 장수생’들에 대한 걱정이 앞섭니다. 얼굴도 모를 장수생들을 걱정하는 건 지나친 오지랖이란 생각도 들지만, 저 역시 약 5년 간의 준비 기간을 거친, 그 사이 뚜렷한 직업도 갖지 못한 '쌩' 장수생이었기에 지금 이 순간 장수생의 길을 걷고 계신 분들에 대한 걱정이 드는가 봅니다. 제가 여기서 무슨 이야기를 한들 장수생 여러분들에게 위로가 되지 않을 걸 알고 지금 느끼는 불안감을 줄여줄 수도 없다는 걸 잘 알지만, 그래도 혹여나 제 이야기가 장수생분들의 ‘버티기’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 하여 몇 마디 남겨봅니다.

 

 무엇 하나에 지나치게 집착하면 행복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언시를 준비하면서 얻은 깨달음이라곤 이거 하나밖에 없습니다. 언시를 준비하면서 제 삶은 아주 단순해져 갔습니다. 예전엔 영화도 찍고 축구도 하고 연애도 하고 자전거도 타고 여행도하고, 이것저것하며 다양한 활동을 했습니다. 많은 활동을 하다 보니 그 속에서 행복을 느낄 여지가 많았을 것이고 항상은 아닐 지라도 아주 가끔은 행복이나 작은 즐거움 정도는 느끼며 살았습니다. 하지만 언시를 준비하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저는 제 활동 범위를 점점 더 줄였습니다. 영화를 찍기는커녕 보지도 않았고 축구나 자전거는 커녕 아무런 운동도 하지 않았습니다. 연애나 여행은 사치처럼 느껴졌습니다. 언시공부를 하는 것 외에 모든 것들이 합격을 방해하는 요소들로 느껴졌고 그 방해 요소들을 하나둘씩, 종국엔 전부 다 제 삶속에서 지워 버렸습니다. 그렇게 해야 빨리 합격할 수 있을거라 생각했습니다.

 

 이렇게 삶이 단순해지니 당연히 행복의 여지가 줄 수밖에 없었습니다. 열 가지를 하면 열 가지 종류의 행복을 맛볼 가능성이 있겠지만, 한 가지에만 집착하면 그 하나에서 창출되는 행복말고는 다른 종류의 행복이란 있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그 하나마저 마음대로 되지 않으니 저에게 주어질 행복이란게 존재할리 없는 겁니다.

 

 돌이켜 보면 입사를 준비하는 기간은 언제나 고통이었고 단 한 줌의 행복도 없었던 거 같습니다. 결과가 좋으면 고통스러운 시간도 추억으로 남는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적어도 저는 아니었습니다. 결과가 좋다고 해서 고통이 미화되진 않습니다. 결과가 좋은 건 좋 은 거고 고통은 그대로 고통일 뿐입니다.

 

 피할 수 없는 고통이라면 견디고 인내해야겠지만, 조금이라도 그 고통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불행을 줄여가며 준비를 하는 게 장기전을 대비하는 현명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시험을 준비하는 기간에 최대한 적게 포기하라고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포기하면 포기할수록 행복할 여지가 줄어들고 불행에 빠질 확률만 높아집니다. 모든 걸 다 안고 갈 순 없겠지만 적어도 나를 위한 3가지 활동은 남겨둬야 한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제 이야기에 어느 정도 공감이 되신다면, 포기하기 싫었는데 포기했던 어떤 활동을 다시 시작해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이 외에도 힘든 상황일수록 스터디를 꼭 해야 한다거나, 플랜 B와 C를 구체적으로 짜 두면 플랜 A를 좀 더 길게 끌고 갈 동력이 생긴다거나 따위의 이야기를 더 하고 싶지만 허락된 지면 관계상 글은 이쯤에서 줄여야 할 것 같습니다. 힘든 시국을 딛고 현장에서 만날 여러분들을 기다리겠습니다.

 

 

 

황종원/ KBS  (사진) KBS 황종원 증명사진.jp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조회 수
<특별기고> 콘텐츠 빠진 새로운 판짜기 file 2017.05.23 576
‘한반도 위기설’을 선동하는 일본의 의도 file 2017.05.23 685
<특별기고> ‘보도되는 자의 권리’이자 ‘보도하는 자의 윤리’로서 ‘초상권’ -류종현 초빙교수 - 부산신문방송학과 file 2017.06.06 808
<특별기고> 대통령선거와 카메라기자 - 이민규 교수 -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file 2017.06.06 734
<새 정부에 바란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해야 할 언론 개혁 과제 file 2017.06.06 611
<새 정부에 바란다> 방송의 공공성을 회복하고 공정성을 확보해야 -김우철 /MBC - file 2017.06.06 767
알면 알수록 재미있는 몸짓 언어의 세계 file 2017.07.20 3114
지상파 UHD 방송 현황 file 2017.07.20 1519
다기능 멀티플레이어가 요구되는 시대 file 2017.07.21 741
‘가짜 단독’을 없애기 위한 우리의 ‘진짜 노력’ file 2017.07.21 639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한일 합의의 문제점과 해결의 길 file 2017.07.21 995
드론의 구체적인 제도화가 필요하다 file 2017.08.30 605
아시아·태평양전쟁에 있어서 원자폭탄의 정치·군사적 함의 file 2017.08.30 630
수중 촬영에서 피사체를 쉽게 찍을 수 없을까 file 2017.11.04 563
필사는 창작의 왕도 file 2017.11.04 649
북한 개성 방문기 file 2017.11.04 887
한국 미디어가 주시해야 하는 ‘소리 없는 세계통화전쟁’ file 2017.11.04 635
특별기고-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위해 file 2017.11.04 672
故 MBC 김경철 기자 10주기 추모글 file 2018.01.10 713
국제정세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file 2018.01.10 83890
일곱 번의 연기 끝에 성사된 '조용필 평양공연' file 2018.01.10 145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