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43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멈춰있는 시간의 현장

 

(사진) 멈춰있는 시간의 현장.jpg

▲지난 1월 20일, 서울의료원 음압병동 안으로 들어가기 전 방역복을 입고 있는 필자

 

 

 

 우리 직업의 매력 중 하나는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제껏 수많은 제한구역과 여러 나라를 경험했다. 주변 친구들은 그런 나를 부러워하기도 한다. 물론 나 스스로도 굉장히 즐거움을 느낀다.

 

 일을 하다 보니 장소와 경험의 다양함 속에도 일정한 패턴과 규칙이 생겼다. 장소와 내용, 대상만 바뀔 뿐 내가 하는 일 - 정확히는 카메라로 현장을 담는 것 - 은 시간이 흐를수록 패턴화되었다. 그런 것에 빠지지 않으려 노력하는 편이지만 익숙함에 자연스럽게 물들어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노릇이다. 그러던 중 코로나19라는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새로운 환경을 맞게 됐다.

 

 지난 1년은 코로나19 이슈에 묻혀 살았다. 처음엔 확진자가 발생하는 곳이면 어디든지 바로 달려갔다. 시간이 흐른 뒤엔 코로나19로 인해 문을 닫거나 어려워진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을 만나러 다녔다. 새로운 이슈도 늘 반복되면 무뎌지기 마련이다. 그렇게 조금씩 일상에 익숙해질 때쯤 나를 긴장하게 하는 특별한 지시를 받았다.

 

 “음압병동 안에 들어가야 한다.”

 

 음압병동 제한구역 앞까지만 가면 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실상은 음압병동에 근무하는 의료진과 함께 환자 병동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그 사실을 알았을 때 두 가지 생각이 들었다.

 

 ‘들어가도 되나?’ 그리고 또 하나는 ‘꼭 들어가고 싶다.’였다.

 

 코로나19 환자가 있는 음압병동 안에 처음 들어가는 거라 걱정이되면서도 한편으로 내 일에 대한 욕심도 있었다. 음압병동으로 들어가는 과정은 굉장히 까다로웠다. 개인방역, 장비, 취재범위, 취재 후 조치 등 생각해야 할 것들이 많았다. 장비는 최소한으로 가져가기로 했다. 쵤영 장비는 취재 후 여러 번 소독 과정을 거친 후 밀봉하여 한 달간사용하지 않기로 했다.

 

 감염관리실에서 방역복 교육을 받고 적응 훈련을 했다. 뉴스로만 접했던 방역복을 실제로 입어보니 생각 이상으로 답답했다. 숨을 제대로 쉬기 힘들고 한겨울인 날씨에도 금세 땀이 흘렀다. 문득 지난 여름 이 방역복을 입고 고군분투했을 의료진들이 얼마나 힘들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엘리베이터 문이 열리고 의료진 뒤를 따라 음압병동에 첫 발을 내디뎠다. 긴장감이 흐르는 것도 잠시. 의료진들은 분주하게 움직였다. 

 

 그들의 숙달된 모습이 지난 1년을 압축적으로 말해줬다. 나는 무엇부터 담아야 할지 혼란스러웠다. 굉장히 흥분됐지만 욕심내지 말자, 하고 되뇌며 차분히 지켜봤다. 간호사들의 동선을 파악하고 조심히 뒤따라갔다. 처음 간 병실에서 코로나19 완치 판정을 받고 퇴원을 준비하는 분을 만날 수 있었다. 인터뷰하는 내내 그분은 가족이라도 이만큼 못 해 줄 거라며 의료진들에 대한 고마움을 전했다.

 

 중증환자가 있는 병실은 전쟁터가 따로 없었다. 기저귀를 갈아주고 몸을 닦아주며 일일이 밥까지 떠먹여 주어야 한다. 그 안에서는 적극적으로 카메라를 들 수가 없었다. 환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 최소한의 동선으로 필요한 만큼만 촬영했다.

 

 음압병동 안에는 최소한의 인력만 출입하기 때문에 환자를 돌보는 일 외에도 모든 일을 의료진이 한다. 환자가 퇴원하면 청소는 물론 구석구석 가구 꼭대기까지 소독하고 관련 의료폐기물을 처리한다. 잠시도 쉴 새가 없다. 정신없이 병동을 누비다 보면 3~4시간이 훌쩍 지나간다.

 

 코로나19, 그리고1년. 사회는 점점 적응하여 생활패턴이 전환적으로 바뀌고 그러면서 감염병에 대한 경계가 살짝 느슨해지기도 했다. 하지만 음압병동 안은 시간이 멈춘 것 같았다. 지난 1년동안 변함없이 코로나19와의 전쟁을 치르고 있었다. 결혼 직후 음압병동에 오게 되어 1년째 신혼을 포기하고, 가족들에게 피해가 갈까 임시 숙소를 이용하고, 개인 생활은 모두 접어둔 채 환자 치료에만 집중하는 의료진의 정신, 모습은 정말 경이로웠다. 해외여행 못 간다고 아쉬워하고 카페에 앉을 수 없다고 툴툴거렸던 내가 새삼 부끄럽게 느껴졌다.

 

 음압병동 1년의 시간을 다 담아낼 순 없지만 보는 이에게 일종의 경각심을 줄 수 있길 바랐다. 내가 느꼈던 것처럼. 언제 끝날지 모르는 코로나19의 시간. 모든 것을 포기한 이들을 생각하면서 마지막 남은 힘을 다해 각자가 방역에 힘을 보탰으면 하는 바람이다.

 

 

류재현/ KBS  (사진) 류재현 증명사진 (KBS).jpg

 


  1. 바다에 잠길 운명의 섬나라, 투발루

    바다에 잠길 운명의 섬나라, 투발루 필자: “Hi, nice to meet you. Thank you for letting me in this cockpit. 만나서 반가워 그리고 이 비행기 조종실에 날 들여보내줘서 고맙고. 조종사: So, I'm going to be on TV, right? 그럼, 이제 내 얼굴이 텔레비전...
    Date2010.01.13 Views13353
    Read More
  2. 하버드대의 운동벌레들

    제목 없음 하버드대의 운동벌레들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에도 KBS 스포츠국에서는 학교 체육에 관한 특집물을 제작하였다. 그 동안 우리나라의 학교 체육은엘리트 운동부를 중심으로 한 체육교육이었다. 이러한 형태의 체육 교육은 운동부 학생들의 수업 참...
    Date2010.11.16 Views12684
    Read More
  3. 맷값 폭행사건과 재벌2세

    ‘chaebol’ 위키피디아 영영사전에서 처음 이 단어를 접했을 땐 단어의 뜻을 잠시 고민 했었다. 발음그대로 읽으면‘채볼(?)’이라고 발음되어지는데, 한글을 영어로 고유명사화 시켰다는 정보로 단어를 유추한 필자는‘체벌을 한국의 교육방식 중 하나’라고 여긴...
    Date2010.12.16 Views12324
    Read More
  4. 작전중인 군과 취재진은 협력관계 유지해야

    지난 23일 북한이 연평도에 무차별적으로 포격을 감행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북의 도발소식이 전파를 타고 전국에 퍼진 이후 온나라는 엄청난 혼란에 휩싸였고, 이를 취재하고 방송하는 기자들은 그들만의 또 다른 전쟁을 치러야했다. 어렵사리 연평도에 올라...
    Date2010.12.16 Views12157
    Read More
  5. 한번의만남, 두번의헤어짐

    제목 없음 한 번의만남, 두 번의헤어짐 추석계기 남북이산가족 1차 상봉 행사를 마치며... 1차 상봉행사가 지난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금강산에서 이루어졌다. 분단으로 인해 자신이 원하지 않은 삶을 살아야만 했던 가족들의 이야기. 한국 근∙현...
    Date2010.11.15 Views12025
    Read More
  6. 이집트 출장 지원자를 받습니다.

    이집트 출장 지원자를 받습니다. 여느날과 다름없는 일상의 아침은 짧은 문자와 함께 요동쳤다. 무라바크의 퇴진을 요구하는 이집트 반정부 시위가 많은 사상자를 내고 있는 그 시점이었다. 기자로서 이런 역사적 순간에 국제적 수준에서 취재할 수 있다는 것...
    Date2011.03.26 Views11986
    Read More
  7. 서울시장선거취재기 - ‘시민이 시장이다’ 박원순 시민단체에서 시청으로

    서울시장 선거 취재기 ‘시민이 시장이다’ 박원순 시민단체에서 시청으로 세종문화회관 한 카페에 수십 명의 기자들이 대기하고 있는 가운데 안철수 교수가 들어왔다. 서울시장 후보 물망에 오르던 안철수 교수는 이날 공개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명했다. "박...
    Date2011.12.27 Views11968
    Read More
  8. 반값 등록금 촛불집회 취재 후기

    돌잡이로 ‘초심’을 잡아본다! -반값 등록금 촛불집회 취재 후기- 뜻밖의 만남 “형!” 누군가 날 형이라 부르며 내 팔을 건드렸다. 집회 현장에서 날 형이라 부를 사람은 없었다. 그래서 의아한 시선으로 고개를 돌렸는데, 이게 웬걸. 대학교 후배였다. 반값 등...
    Date2011.08.05 Views11952
    Read More
  9. 핵안보 정상회의 HB(주관방송)취재

    기분 좋은 스트레스 - 핵안보 정상회의 HB(주관방송)취재 내가 촬영한 영상이 전 세계 뉴스에 방송된다 HB(Host Broadcaster)는 행사를 개최하는 특정 국가의 주요 방송국이 행사에 참여하는 모든 방송사들의 혼잡과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방송 제작 업무를 ...
    Date2012.05.04 Views11933
    Read More
  10. 히말라야 낭가파르밧 취재기 - 故 고미영 대장을 추모하며

    ‘고미영 대장이 제 2캠프 도착 바로 전에 실족해서 생사를 장담할 수 없습니다.’ 이게 무슨 소린가! 산소 부족으로 가뜩이나 머리가 띵-했는데 옆에서 전해오는 본부의 무전 소리를 들으니 정신이 멍해지며 아뜩해졌다. 바로 몇 시간전에 낭가파르밧 정상을 ...
    Date2009.10.16 Views11922
    Read More
  11. 시라아 내전 취재기-이승주

    YTN순회특파원 첫 번째 Mission 완료 드디어, 순회특파원 첫 번째 Mission, 시리아내전을 취재하라는 출장명령이 떨어졌다. 취재지역은, 시리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터키 ‘안타키아’ 라는 도시였다. 6월29일 유럽, 중동, 아프리카지역 순회특파원 인사명령...
    Date2012.11.02 Views11731
    Read More
  12. 제19차 유엔 인권이사회 취재기

    <제19차 유엔 인권이사회 취재기> 남과 북의 충돌로 외신의 관심이 집중된 취재 파리에서 TGV로 3시간 30분... 스위스 제네바에 도착했다. 탈북자 송환 문제로 유엔 인권이사회를 참관하는 우리 국회 대표단을 취재하기 위해서 였다. 제네바는 국제적인 회의...
    Date2012.05.04 Views11584
    Read More
  13. 울릉도 동남쪽 뱃길따라 이백리, 독도 고유 식물 취재기

    울릉도 동남쪽 뱃길따라 이백리, 독도 고유 식물 취재기 섬기린초, 섬초롱꽃, 섬괴불나무. 처음듣는 생소한 식물. 그러나 이름에서 느낌이 오듯 우리 땅 울릉도와 독도에서만 자생하는 고유식물이다. 다시말해 일본에서는 볼 수 없고, 우리나라에만 자라는 식...
    Date2013.07.30 Views11579
    Read More
  14. 한 점의 빛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의 촬영

    제목 없음 칠흙같은 어둠속에서 ENG로 촬영을 해야 할 경우 어떻게 해야 가능할까? 물론 렌즈에 아스트로스코프(Astro Scope-주변의 미약한 불빛을 증폭해서 어두운 곳에서도 볼수 있도록 만들어진 장비. 적외선을 감지하기 때문에 녹색을 띠고 있음) 를 장착...
    Date2009.05.18 Views11495
    Read More
  15. 따뜻한 방에 앉아 ENG로 닭 잡아먹는 삵 찍는 법

    제목 없음 “민가에 야생 동물들이 밤마다 내려와 닭을 잡아먹는다.” 이 이야기는 오래전 할머니 무릎 위에서 듣던 옛날이야기가 아니다. 실제 상황이다. 그럼, 닭을 한 마리라도 더 먹으려는 야생동물과 밤마다 닭을 지키려는 주인의 치열한 전쟁(?)을 영상취...
    Date2009.04.14 Views11459
    Read More
  16. '2011세계육상선수권대회' 달구벌 뜨거운 열기에도 나의 열정은 식어있었다

    ‘2011세계육상선수권대회’ 달구벌 뜨거운 열기에도 나의 열정은 식어있었다. A, “야! 가지고 있는 카메라, 망원렌즈, 트라이포드, 스트로보 모두 꺼내고 짐이 많은 것 처럼하고 뛰어 들어가자.” B, “입구는 한 곳인데 경찰이 저렇게 열을 지어 있는데 저기로?...
    Date2011.11.18 Views11447
    Read More
  17. 폭설과의 사투, 72시간...

    폭설과의 사투, 72시간... # 반갑다, 눈아!!! 내가 태어나고, 자란 산업수도 울산은 겨울에도 눈이 잘 내리지 않는 도시이다. 변변한 패딩조차 없던 내게, 눈이라는 존재는 신기하고 반가움 그 자체였다. 그러나 이번 1월 4일에 내린 25.8cm의 기록적인 폭설...
    Date2010.01.13 Views11419
    Read More
  18. 멀티형 카메라기자 과정 연수기

    멀티-'한개 이상의', '다중의'의 의미를 갖는 접두어로, 영어의 접두어인 'multi-' (많은, 여러, 다중의, 한개 이상의, 다양한, 곱절의)에서 유래되었다. 멀티+촬영기자=멀티형 촬영기자 란 무엇일까? 지난 6월 7일부터 이틀동안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와 방...
    Date2012.07.25 Views11398
    Read More
  19. 고단했지만 활력이 된 설악산 빙벽 등반 교육

    고단했지만 활력이 된 설악산 빙벽 등반 교육 고영민 / KBS 보도영상팀 지난 1월 23일부터 7일 간 설악산 일대에서 고산지대 취재능력 향상을 위한 위탁연수를 받았다. 외부 위탁연수여서 KBS 선후배 동료들도 있었지만, 사회에서 각자 다른 일들을 하다가 모...
    Date2010.02.23 Views11378
    Read More
  20. 남극, 그곳에 사람들이 있다...

    남극 취재기 남극, 그곳에 사람들이 있다... 한국을 떠나 순수 비행시간으로만 33시간 만에 칠레 최남단의 도시인 푼타아레나스에 도착했다. 정말 멀고도 먼 곳이었다. 푼타아레나스는 남극대륙으로 향하는 여행자나 취재진들이 대부분 경유하는 칠레의 작은 ...
    Date2012.02.22 Views11372
    Read More
  21. 춘천 산사태 취재후기 - 여기서 먹고살아야지 어디를 가나?

    춘천 산사태 취재후기 7월 27일 AM 12:40 늦은 시간 갑자기 울리는 전화벨. 불길한 예감에 전화기를 들여다본다. 취재기자의 전화. 심상치 않게 내리던 비에 깨어있던 터라 바로 사무실로 향했다. “별 피해도 없는데 괜히 가는 것 아냐?” 볼멘소리를 해보지만...
    Date2011.11.18 Views1132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