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인쇄 첨부

영상 저널리즘의 위기와 기회

 1912년 타이타닉호가 침몰했을 때 생존자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 베인즈 뉴스 픽쳐스(Bain’s News Picture)를 통해 공개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 사진이 가능했던 이유는 당시 생존자 중 아마추어 사진가가 있었고, 그를 통해 미학적으로는 조악하지만 현장의 생생함이 전해지는 사진이 가능했기 때문이었다.

 

그로부터 약 100년이 지난 현재 영상 저널리즘은 그때와는 훨씬 더 개방적이고 대중적인 영역이 되어 가고 있다. 오늘날 현장을 이야기할 때 흔히들 영상 저널리즘은 위기라고 이야기한다. 시민들보다 적은 특권을 누리는 현장, 정보를 직접 컨트롤하는 정부와 기업들, 이미지의 쓰임은 압도적으로 늘어났지만 이를 엄격하게 연출하려는 권력, 거짓 이미지가 쉽게 만들어지는 기술적 배경. 분명 이 모두에 둘러싸인 영상 저널리즘은 방송뉴스에서 가장 변화와 부침을 겪고 있는 영역 중에 하나일 것이다.

 

실정은 외국도 다르지 않다. 미국에선 퓰리처상을 탄 베테랑 사진 기자 존 화이트(John white) 조차 해고되기도 하고, 영국 BBC 취재 기자 출신의 한 교수는 BBC에서도 영상의 품질보다는 영상의 있고 없음에만 관심을 갖는다고 우리와 다르지 않은 분위기를 설명했다. 또 영국 주류 방송사인 ITV의 베테랑 카메라 기자 역시 아이폰이 우리의 적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더 넓은 시장을 가진 영미권의 주류 미디어의 어려움이 이 정도이니 우리가 겪고 있고 또 겪게 될 어려움은 더욱 혹독할지도 모른다.

 

이 시점에서 답답한 점은 현재의 상황을 위기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많지만 이를 극복할 대안의 모색과 새로운 시도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지난 5년 회사가 시대착오적으로 부서를 없애고 영상의 새로운 포맷과 플랫폼에 투자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회사 밖에서 그 대안을 찾는 과정에서 발견한 흥미로운 지점은 영국과 미국 등 서구 미디어 기업들은 20여 년 전부터 우리가 현재 겪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고민과 대안을 모색해 왔다는 점이다. 이들이 추구하는 새로운 시도의 방향은 단순한 스타일과 포맷의 문제가 아니라 근본적인 두 가지 이슈를 건드리고 있다.

 

 첫 번째는 보도하는 자의 자격의 문제인 주체(subject)의 문제로, 쉽게 말해‘ 너희가 누구인데 우리를 관찰하고 우리를 규정할 권리를 갖는가’의 이슈이다. 새로운 촬영기기 등 새로운 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서구의 매체들은 주체의 자격 문제를 끊임없이

건드려왔다. 현재 일반적인 뉴스의 포맷은 정보의 효율적 가공과 전달에는 용이하지만, 보도하는 자와 보도되는 자 사이에 불평등한 권력관계가 내재되어 있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적 시도들은 새로운 기술과 장비가 등장할 때마다 계속되어 왔다. 보다 객관적인 제작자의 위치를 찾기 위해 시도된 다이렉트 시네마(Direct Cinema)에서부터 객관의 한계를 인정하고 제작자의 개입을 인정한 시네마 베리테(Cinema Verite)를 넘어 진실을 체험적 주관적 범위로 좁힌 1인칭 다큐멘터리의 등장 모두 제작자와 취재원의 비대칭적인 권력관계에 대한 대안적 양식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오늘날 주류 미디어에 대항할 수 있는 표현의 창구를 가진 시청자들의 반응 역시 일방적 커뮤니케이션(Top-down)을 거부하고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을 지향하는 흐름 안에 있음을 카스텔스(Castells) 등 뉴미디어 연구자들 역시 강조하고 있다.

 

 서구 미디어 혁신의 두 번째 방점은 새롭게 등장한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의 플랫폼과 어울리는 새로운 스토리텔링(Storytelling)에 대한 이슈이다. ‘매체가 그 시대의 지배적인 커뮤니케이션 양식을 규정한다’라는 플루셔(Flusser)의 말처럼 새롭게 등장한 플랫폼은 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 전체를 바꾸고 있고 영상은 그 핵심적 재료가 되고 있다. 문제는 영상 촬영이 대중화된 시대에 현장의 생생함은 타이타닉의 사례에서처럼 점점 더 시민의 카메라에 의존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이다. 이런 흐름은 새로운 제작방식을 요구한다. 리들리 스콧(Ridley Scott) 감독이 전 세계 시청자들이 제공한 이미지로 만든 콜라 주식 다큐멘터리‘ 하루 동안의 삶(Life in a day)’은 이미 십여 년에 시도되었고, 영국 가디언(Guardian)이나 미국 뉴욕 타임스(Newyork Times) 등 혁신을 통해 생존을 모색하는 다양한 영상 에세이들과 프로젝트는 지금도 끊임없이 영상중심의 실험을 계속하고 있다.

 

 이 두 가지 교점 위에서 미디어 기업들이 그리는 공통된 전략은 결국 시청자와 어떻게 더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수평적 눈높이에서 올바른 포맷과 기술로 대응할 수 있는가로 요약할 수 있다. 2016년 로이터 연구소(Reuters Institute)가 BBC 등 30여 명의 주류 미디어 경영진과 매체 전략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서 담당자들은 생존을 위한 핵심어로 시청자와의 관계 맺음 (Audience Engagement)을 꼽았고 그 지점에 상당 부분 공을 들이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런 흐름은 영상이 생산되는 방식의 중요한 변화를 요구한다. 지난 방송산업은 부침은 있을지언정 호황의 시기를 지나왔고 그래서 영상기자들은 혁신의 필요성을 크게 체감할 기회가 없었을지 모른다. 하지만 현장의 특권적 지위와 포디즘(Fordism)식의 효율적 표준화를 기준

으로 했던 영상 저널리즘은 피할 수 없는 커다란 변곡점에 와있다. 이는 비단 우리 직종만의 문제가 아니며 이 시점만의 문제도 아니다. 지금 4차 산업혁명의 파고는 모든 직종에게 각 직종이 고등 지식 산업에 편입할 수 있는가 아니면 단순노동으로 표준화될 것인가를 묻고 있다. 이 질문에 응답하면 우리는 살아남을 것이고 그렇지 못하면 지금보다 혹독한 부침을 겪을 것이다. 분명 답은 기존의 낡은 방식으로 도달할 수 없는 언덕 너머의 혁신 위에 있다.   

김우철.jpg

김우철 / MBC      

 

 


  1. ‘제31회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 시상식’ 축사

    존경하는 방송카메라기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박원순 서울시장입니다. 한국방송카메라기자협회의 창립 30주년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이 귀한 자리의 주인공이신 제31회 한국방송카메라기자상 수상자 여러분께도 천만 서울시민과 함께 큰 박수를 보냅니다. ...
    Date2018.04.05 Views527
    Read More
  2. 영상 저널리즘의 위기와 기회

    영상 저널리즘의 위기와 기회 1912년 타이타닉호가 침몰했을 때 생존자들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 베인즈 뉴스 픽쳐스(Bain’s News Picture)를 통해 공개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 사진이 가능했던 이유는 당시 생존자 중 아마추어 사진가가 있었고, 그...
    Date2018.10.19 Views521
    Read More
  3. 수중 촬영에서 피사체를 쉽게 찍을 수 없을까

    안녕하세요~ 스쿠버라이프 김원국 강사입니다. 아! 여기서는 영화사 숨비 촬영감독 김원국입니다.~^^ 이번에 한국방송 카메라기자협회 TV뉴스 촬영교육을 다녀와서 저 또한 좀 더 많은 공부가 된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TV뉴스를 이끌어가는 여러분들과 함께 ...
    Date2017.11.04 Views516
    Read More
  4. MNG가 바꿔놓은 풍경

    MNG가 바꿔놓은 풍경 2017년 8월. ‘혹시 모르니까.’ 전국이 이글이글 불타고 있던 대한민국보다 조금 더 기온이 높은 필리핀으로 ARF(아세안 지역 포럼) 출장을 떠나게 되었다. ‘혹시 모르니까’ 하는 생각으로 MNG 장비를 챙겼다. 데...
    Date2019.09.09 Views510
    Read More
  5. 저작자의 성명표시권, 실효적으로 관리ㆍ개선되어야 마땅

    저작자의 성명표시권, 실효적으로 관리ㆍ개선되어야 마땅 ▲ 이호흥 호원대 초빙교수 / (사)한국저작권법학회 명예회장 우리나라 저작권법 제12조 제1항은“ 저작자는 저작물의 원본이나 그 복제물에 또는 저작물의 공표 매체에 그의 실명 또는 이명(異名)을 표...
    Date2020.07.17 Views501
    Read More
  6. 가슴이 뛰는 일, 한국에서 다시 시작합니다

    가슴이 뛰는 일, 한국에서 다시 시작합니다 ▲지난 2019년 6월 12일 정부 중앙 청사를 급습하려는 시위대와 대치 중인 홍콩 경찰(사진=필자) ▲지난 2019년 7월 1일, 매년 열리는 홍콩 반환 22주년 기념식이 열리던 날, 홍콩 시민 수십만 명이 범죄인 인도법 반...
    Date2021.03.10 Views492
    Read More
  7. 클라우드시대의 영상기자

    클라우드시대의 영상기자 보도영상 관련 기술은 계속 발전해왔다. 화질은 SD에서 HD로, 기록 매체는 테이프에서 메모리로 진화했다. 이러한 변화는 영상취재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지만 영상기자의 역할까지 바꾼 것은 아니다. 하지만 MNG는 기존의 위성 장비를...
    Date2020.03.11 Views486
    Read More
  8. 피의자 신상공개 결정의 고뇌와 함의

    피의자 신상공개 결정의 고뇌와 함의 서울지방경찰청은 3월 24일 텔레그램 박사방 운영자 조주빈의 신상을 공개했다. 4월 16일에는 조주빈의 공범으로 구속된 피의자 강훈의 신상정보를 공개했다. 성명과 나이가 공개되었다. 얼굴은 다음 날 피의자를 송치할 ...
    Date2020.05.11 Views483
    Read More
  9. [뉴스VIEW] ‘공공기록’으로서 보도영상의 가치, 영상기자가 끌어올려야 할 때

    [뉴스VIEW] ‘공공기록’으로서 보도영상의 가치, 영상기자가 끌어올려야 할 때 최근 방송·영상 산업 분야 안팎에서 ‘아카이브(우리말로는 ’기록‘)’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주요 지상파 방송사에서는 자사 영상자료를 비교적 높은 비중으로 편집하여 이른바 ‘회...
    Date2022.08.31 Views467
    Read More
  10. [줌인] 고(故) 안정환 선배를 추모하며

    고(故) 안정환 선배를 추모하며 동료들이 검은 옷을 입고 모인 빈소. 차고 건조한 느낌의 형광등 불빛 아래 놓인 영정사진. 그 안에서 환하게 웃고 있는 사람. 왜 그랬는지, 무슨 상황에서였는지 선배는 엄지를 치켜세우고, 비현실적인 미소를 짓고 있다. 지난...
    Date2019.11.06 Views462
    Read More
  11. [줌인] 다름과 깊이가 있는 뉴스

    다름과 깊이가 있는 뉴스 나열 뉴스는 독재 시대의 욕망을 반영한다. 독재 사회에서 뉴스는 특권과 긴밀하게 연결돼 있다. 특권을 지속시키기 위해 뉴스는 깊이 들어갈 수 없다. 독재 사회에서 뉴스는 깊이 들어가는 순간 그들(언론)이 가진 특권을 잃는다. 역...
    Date2019.07.02 Views461
    Read More
  12. 북⋅미정상회담 이후 예상 시나리오

    북⋅미정상회담 이후 예상 시나리오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이에 정상회담이 열렸다. 국내‧외 전문가들 사이에서 회담에 대한 희망적 관측과 더불어 과거 정권교체 대상이었던 김정은 정권이 핵무기를 포기할 가능성이 거의...
    Date2018.07.04 Views451
    Read More
  13. 무분별한 운영, 드론의 위험성

    무분별한 운영, 드론의 위험성 ▲ 지난 7월 18일 한 방송사에서 대구 스크린골프장 화재현장을 감식하고 있는 소방대원의 가까이에 드론을 날리고 있는 장면 4차 산업의 아이콘으로 주목받고 있는 드론은 손쉽게 온·오프라인에서 구매가 가능하다. 소방...
    Date2019.09.09 Views446
    Read More
  14. 호모 비디오쿠스는 진화 중

    호모 비디오쿠스는 진화 중 내가 KBS에 입사한 2006년. KBS 9시 뉴스 시청률은 보통 20% 초중반, 잘 나올 땐 30%가 넘었다. 2019년 현재, 시청률은 반 토막이 났다. 다행인 것일까? 아직 시청률은 1위를 고수하고 있으니. 우리가 즐겨보는 네이버뉴스에서 KBS...
    Date2019.09.09 Views435
    Read More
  15. 다양한 경험, 재치 그리고 순발력 뉴미디어 콘텐츠 만드는 데 밑거름

    다양한 경험, 재치 그리고 순발력 뉴미디어 콘텐츠 만드는 데 밑거름 ▲KBS대전뉴미디어팀에서근무하고있는필자 지난 2월 KBS 대전총국 내 새로운 조직인 디지털 관련 부서가 생긴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다큐멘터리 제작을 갈망해 왔지, 사실 디지털 분야는 그...
    Date2021.01.08 Views429
    Read More
  16. 아리랑 ‘영상기자’만이 갖는 독특한 영역

    아리랑 ‘영상기자’만이 갖는 독특한 영역 ▲ 아리랑국제방송 스튜디오 ‘아리랑국제방송’은 국내에서 ‘국제방송’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방송 중인 거의 유일한 채널이다. 어느덧 개국한 지 20여년이 흘렀다. 긴 세월이 말...
    Date2019.07.02 Views427
    Read More
  17. 영상기자가 가져온 내 삶의 변화

    영상기자가 가져온 내 삶의 변화 사람은 한 치 앞일도 알 수가 없다. 불과 작년만 해도 나는 아직 학생이었다. 그러다가 영상기자라는 직업 명사는 불현듯 내게 왔다. 영상기자가 된 후 세 번째 봄을 기다리고 있다. 모든 이에게는 저마다 인생 전환점이 있을 ...
    Date2020.01.09 Views424
    Read More
  18. 이상한 출장

    이상한 출장 “카메라 기자 인생 30년에 가장 굴욕적이었어.” “오죽했으면 내가 출장기간에 억울한 부분을 하루하루 메모를 해놨다니까.” “이런 출장 인지도 모르고 갔지.” “갔다 와서 엄청 싸우고 다신 안 간다고 ...
    Date2019.07.02 Views418
    Read More
  19. 새해를 맞아 다짐하는 세 가지

    새해를 맞아 다짐하는 세 가지 다사다망(多事多忙). 2018년 직장인들 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로‘ 일이 많아 눈코 뜰 새 없이 바쁨’을 뜻한다. 보름도 채 남지 않은 나의 2018년을 되돌아봤 다. 1월 평창동계올림픽을 시작으로 4.27 남북정상회담,...
    Date2019.01.03 Views418
    Read More
  20. K리그가 EPL보다 재미있는 3가지 이유

    K리그가 EPL보다 재미있는 3가지 이유 ▲ 지난해 11월, 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원정석에서 아들과 함께 축구 좋아하시나요? 해외축구는 EPL, 국내축구는 국가대표팀 보신다고요? 맞습니다. 역시 축구는 EPL이죠. 그곳에서는 월드 클래스 선수들의 최고의 기...
    Date2020.09.15 Views413
    Read More
  21. 1년차 지역총국 영상기자의 반성

    1년차 지역총국 영상기자의 반성 8시 50분. 커피 한 잔과 함께 회사에 들어서며 하루가 시작됩니다. 9시 10분. 취재 일정이 나옵니다. 하루에 리포트 하나 정도를 제작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보통은 오전 10시쯤 시작해 3시경이면 현장 취재는 끝납니다. 취재...
    Date2020.01.08 Views41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CLOSE